Linear Transformation
Contents
Linear Transformation✔
선형변환(linear transformation, 선형사상, linear map, 벡터공간 준동형사상, vector space homomorphism)
-
지금까지 벡터공간을 살펴보았는데 이제 벡터공간의 구조를 보존하는 함수를 다룬다. 이런 함수를 선형변환이라고 한다.
미분연산자나 적분연산자가 선형변환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런 연산자는 미분방정식과 적분방정식을 특정한 벡터공간에서 정의된 선형변환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기하학에서의 선형변환은 회전, 대칭, 사영 같은 것들이 있다.
인데 이므로 가 벡터공간의 구조를 보존한다고 하는 것이다. 스칼라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
이면 2) 는 1) 에서 도출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1) 과 2) 는 독립된 명제이다. -
가 선형변환이라는 것을 편의상 " 는 선형(linear) 이다" 라고 한다. -
벡터공간의 준동형사상(vector space homomorphism) 이라는 정의는 준동형사상의 정의에 의하여 직관적을 알 수 있다.
선형변환의 성질
선형변환
-
가 선형이면 이다. -
가 선형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
가 선형이면 이다. -
가 선형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하는 것이다.
-
증명
1:
으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2), 3), 4) 의 증명은 자명하다. ■
-
1) 의
은 영벡터이다. -
어떤 함수가 선형임을 보일 때 주로 2) 를 사용한다.
-
예시
을 이라 정의하고 이것이 선형인지 확인하자. 라 하면 이므로이고
도이다. 그러므로
는 선형이다. -
선형대수학은 기하학에서 널리 사용되는데, 이는 중요한 기하 변환들이 선형이기 때문이다.
-
예시
각
에 대하여 을와 같이 정의하면
는 2차원 좌표평면의 벡터를 만큼 회전하는 선형변환이다. 참고로 는 형식적으로로 정의할 수 있다.
-
예시
는 축 대칭(reflection about x-axis)이라는 선형변환이다. -
예시
는 축으로 사영(projection on the x-axis)이라는 선형변환이다. -
예시
는 선형변환이다. -
예시
무한번 미분가능한 함수
의 집합 을 정의하면 는 -벡터공간이된다. 이때 로 정의하면이므로 선형변환이다.
-
예시
를 에서 정의한 모든 연속함수 집합으로 정의하고, 에 대하여 로 정의하면 이는 선형변환이다. 왜냐하면이기 때문이다.
Identity Transformation✔
항등변환(identity transformation)
- 항등변환
을 편의상 라 표기하기도 한다.
Zero Transformation✔
영변환(zero transformation)
Null Space, Range✔
영공간(null space, kernel)
벡터공간
-
선형변환
의 영공간을 또는 또는 로 표기한다. -
예시
항등변환
에 대하여 이다.영변환
에 대하여 이다.
상공간(range, image)
벡터공간
-
선형변환
의 상공간을 또는 또는 으로 표기한다. -
예시
항등변환
에 대하여 이다.영변환
에 대하여 이다.
정리 2.1
벡터공간
-
다음 그림과 같다.

-
증명
의 영벡터를 각각 라 하자. 이므로 이다. , 에 대하여이므로
이다. 따라서 은 의 부분공간이다. ▲ 이므로 이다.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따라서
이고,
이다. 그러므로 는 의 부분공간이다. ■
정리 2.2
벡터공간
-
이 정리는 선형변환의 상공간을 생성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
이 정리는
가 무한집합일 때도 성립한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이고 가 부분공간이므로 정리 1.5 에 의하여이다. ▲
이면 을 만족하는 가 존재하는데 가 의 기저이므로 에 대하여이다.
는 선형이므로이다. 이는
을 뜻하므로이 된다. ■
-
다음 예시는 이 정리를 사용하여
의 기저와 의 기저를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예시
선형변환
을선형변환
을와 같이 정의하자.
의 기저는 이므로 이 정리를 사용하여 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이로써
의 기저를 찾았고 임을 알 수 있다. ▲이제
의 기저를 찾아보자. 영행렬 에 대하여 이므로이다.
라 하면이므로
이다. 따라서
의 기저는 이다. ▲ -
위 예시에서
이 성립하였는데 이는 정리 2.3 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성립한다.
Nullity✔
영공간의 차원(Nullity)
벡터공간
- 지금까지 우리는 부분공간의 크기를 가늠할 때 차원을 사용했다. 영공간의 차원은 특히 중요하므로 새로운 이름
을 붙혀서 다룬다.
Rank✔
랭크(rank), 계수
벡터공간
- 지금까지 우리는 부분공간의 크기를 가늠할 때 차원을 사용했다. 상공간의 차원은 특히 중요하므로 새로운 이름
을 붙혀서 다룬다.
Dimension Theorem✔
정리 2.3 차원정리(dimension theorem, rank-nullity theorem, fundamental theorem of linear mapping)
벡터공간
-
직관적으로 선형변환에서 nullity 가 커질수록 랭크는 작아진다. 즉, 더 많은 벡터가 영벡터
로 갈수록 상공간은 작아진다. 역으로 랭크가 커질수록 nullity 는 작아진다. 이 정리가 랭크과 nullity 의 관계를 말해준다.
-
증명
라 하고 의 기저를 라 하면 정리 1.11 따름정리 에 의하여 를 확장하여 의 기저 을 얻을 수 있다. ▲그러면
이
의 기저임을 보이자. 먼저 임을 보이기 위하여 과 정리 2.2 를 사용하면이다. ▲
가 선형독립임을 보이기 위하여 에 대하여 라고 하면 가 선형이므로이다. 그러면 다음 식을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이때
가 기저, 즉 일차독립이므로 이 식이 성립하려면 반드시 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는 일차독립이다. 그러므로 는 의 기저이다. ▲ 가 의 기저이므로 는 최소한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라고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이다. ■
Properties of Linear Map, Range, Null Space✔
정리 2.4
벡터공간
-
가 단사사상이다. -
-
증명
이면 인데, 가 단사이므로 이다. 또한 이는 을 의미하므로 이다. ▲역으로
과 을 가정하자. 선형변환의 성질 3) 에 의하여 이므로이다. 즉,
이므로 는 단사함수이다. ■
정리 2.5
유한차원 벡터공간
-
는 단사이다. -
는 전사이다. -
-
이 정리는 차원이 같은 유한차원 사이의 선형사상이 단사이면 전단사임을 말해준다. 그러나 무한차원
에 대한 선형사상 에 대해서는 단사와 전사가 동치가 아니다. -
증명
이다. 그런데 정리 1.11 에 의하여
이다. 상공간과 공역이 같으므로
는 전사이다. ■ -
예시
선형변환
이와 같이 정의되면
이므로 는 전단사이다.
벡터공간
-
가 일차독립이다. -
가 일차독립이다.
-
증명
-
예시
선형변환
이와 같이 정의되면
는 단사이다. 라고 하면 가 에서 일차독립이므로 도 일차독립이다.
정리 2.6
을 만족하는 선형변환
-
이 정리는 선형변환이 기저에 따라 어떻게 행동할지 완벽하게 결정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 정리와 따름정리는 매우 중요해서 선형대수학 전반에 널리 사용된다.
-
증명
를 다음과 같이 에 대하여 기저의 유일한 일차결합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다.이때 선형변환
를 로 정의하자. ▲그리고 먼저
가 선형임을 보이자. 와 와 에 대하여이다. 그러면
이므로이다. ▲
또한 정의에 의하여
이다. ▲마지막으로
의 유일성을 보이자. 선형변환 가 를 만족한다고 하면 에 대하여이므로
이다. ■
정리 2.6 따름정리
벡터공간
-
이 정리는 두 선형변환이 기저에서 상이 같으면 같은 선형변환임을 말하고 있다.
-
예시
선형변환
이와 같이 정의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이 의 기저이므로 선형변환 이 이면 이다.
Coordinate Vector✔
순서기저(ordered basis)
유한차원 벡터공간의 순서가 주어진 기저이다.
-
즉, 순서기저란 일차독립이고 벡터공간을 생성하는 수열이다.
-
예시
에서 은 순서기저이다. 순서기저의 관점에서 이다. -
표준기저와 마찬가지로 표준순서기저(standard ordered basis)도 정의할 수 있다.
-
예시
벡터공간
에서 을 표준순서기저라고 한다.벡터공간
에서 이 표준순서기자이다.
좌표벡터(coordinate vector)
유한차원 벡터공간
-
를 라는 벡터를 기저 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낸 것의 coefficient matrix 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
변환
는 선형변환이다. -
예시
순서기저
를 가지는 벡터공간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예시
표준순서기저를 순서기저
로 갖는 벡터공간 에 대하여 벡터 가 이라면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예시
다음과 같이 똑같은 벡터도 다른 좌표 시스템에서는 다른 좌표를 갖게 된다.

벡터공간
-
이는 어떤 벡터의 좌표벡터를 표준순서기저로 나타낸다면 그 결과가 결국 본래의 벡터라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Matrix Representation of Linear Map✔
선형변환의 행렬표현(matrix representation)
유한차원 벡터공간
을 만족하는 유일한 스칼라
라 한다.
-
스칼라
의 유일성은 정리 1.8 이 보장해준다. -
우리는 이렇게 행렬과 선형변환을 연결했는데, 정리 2.8 은 이 연결이 합과 스칼라 곱을 보존함을 말해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형변환의 합과 스칼라 곱을 정의해볼 것이다.
-
이면 간단하게 라고 표기한다. -
의 열은 이다. -
선형변환
가 를 만족하면 정리 2.6 따름정리 에 의하여 이다. -
예시
선형변환
를 정의하고 의 순서기저 를 각각의 표준순서기저로 두면가 성립하므로
이다. 만약
의 순서기저로써 를 가져오면 다음과 같이 된다. -
예시
선형변환
가 와 같이 정의되었고, 의 순서기저 를 표준순서기저라 하면이 성립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영변환의 행렬표현은 영행렬이다.
-
예시
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순서기저를 이라 하면이므로
이다. 는 영행렬이다.
항등변환의 행렬표현은 항등행렬이다.
-
예시
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순서기저를 이라 하면이므로
의 열은 이다. 따라서이다.
는 항등행렬 이다.
문제 2.2-12
벡터공간
-
증명
가 상삼각행렬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를 가정하면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는 상삼각행렬이다. ■
Kronecker delta✔
크로네커 델타(Kronecker delta)
-
예시
항등행렬 의 성분은 이다.
Addition, Multiples of Linear Maps✔
- 이는 함수의 합의 스칼라 곱에 대한 보편적 정의인데 선형변환의 합과 스칼라 곱이 여전히 선형임을 다음 정리가 말해준다.
Set of All Linear Maps is Vector Space✔
정리 2.7
-
에 대하여 은 선형이다. -
에서 정의된 모든 선형변환의 집합은 -벡터공간이다.
-
증명
1: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는 선형이다. ■2:
위의 정의는 임의의 함수에 대한 두 함수의 합, 스칼라 곱을 정의한 것이므로 선형변환의 합과 스칼라곱에도 적용된다. 그러므로 이 합과 스칼라 곱을 만족하는 선형변환 집합이 벡터공간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면 된다.
에서 정의된 모든 선형변환의 집합을 라고 하자. 그러면 영변환 는 에서 영벡터의 역할을 한다. 또한 가 벡터공간의 8 가지 조건을 만족한다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그러므로
는 -벡터공간이다. ■
벡터공간
벡터공간
-
이면 간단하게 라 표기한다. -
참고로 2.4 절에서 차원
인 벡터공간 에 대하여 와 가 본질적으로 같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정리 2.8
체
-
증명
에 대하여을 만족하는 유일한 스칼라
가 존재한다. 즉,이고
이다. ▲
두번째도 행렬의 원소가 같다는 것을 보이는 방식으로 증명가능하다. ■
-
예시
선형변환
을와 같이 정의하고,
의 순서기저로써 각각의 표준순서기저 를 두면이고,
의 경우도 표준순서기저의 일차결합의 스칼라를 구해보면이 성립한다. ▲
는 정의에 따라이다. 그러면
이므로
이다. 그러므로
임을 알 수 있다. ■
Composition of Linear Map✔
정리 2.9
-
두 선형변환
의 합성 을 편의상 로 표기하자. -
증명
에 대하여이 성립한다. ■
문제 2.3-12
-
가 단사이면 도 단사이다. -
가 전사이면 도 전사이다. -
가 전단사이면 도 전단사이다.
-
증명
1:
가 단사이면 을 만족하는 변환 가 존재한다. 함수의 합성은 결합법칙을 만족하므로이다. 단사함수와의 동치명제에 대한 정리에 의하여
는 단사이다. ▲이로써
가 단사임을 가정할 수 있다. 이제 가 단사이면 도 단사여야 하는지 살펴보자. 가 단사가 아니라고 가정하면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라고 하면이므로
가 단사인 것에서 이다. 그러면 이다. 이는 모순이다. 그러므로 는 단사이다.그러나
를 가정할 수 없는 경우 즉, 의 함수값이 에서 정의되지 않은 경우 가 단사라는 것을 보장 할 수 없다. 실제로 가 위에서 단사가 아니어도 의 함수값이 정의된 곳에서, 즉 위에서는 가 단사라면 가 단사라는 조건에 모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 반드시 단사라고 할 수 없다. ▲2:
가 전사이면 을 만족하는 변환 가 존재한다. 함수의 합성은 결합법칙을 만족하므로이다. 전사함수와의 동치명제에 대한 정리에 의하여
는 단사이다. ▲이로써
가 전사임을 가정할 수 있다. 도 전사여야 하는지 살펴보자. 가 전사가 아니라면 인 가 존재한다. 가 전사이므로 의 함수값이 정의되지 않은 에 대한 함수값 가 항상 존재한다. 따라서 가 전사이기 위하여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해야 한다. 즉, 조건이 만족된다면
가 전사일 필요는 없다. ▲3:
가 전단사이면 역함수 가 존재한다. 또한 함수의 합성은 결합법칙을 만족하므로이다. 역함수가 존재함은 전단사 함수인 것과 동치 이므로
는 전단사이다. ■
정리 2.10
체
-
1), 2) 는 선형변환이 분배법칙을 만족한다는 것을, 3) 은 선형변환이 결합법칙을 만족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1:
함수의 덧셈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 결과는 선형변환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과 같아진다.
이 결과는 다시 함수의 덧셈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과 같아진다.
따라서
이다. ▲2:
함수의 덧셈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3:
함수의 합성은 결합법칙을 만족한다. 선형변환은 함수이다. ▲
4:
자명하다. ▲
5:
함수의 스칼라곱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다시 함수의 스칼라곱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선형변환의 정의에 의하여 스칼라
를 바깥으로 뺄 수 있다. -
이 정리는 선형변환의 정의역과 공역이 같은 경우를 말하고 있지만, 선형변환의 정의역과 공역이 같지 않으면 더 일반적인 결과가 성립한다.
벡터공간
-
예시
무한번 미분가능한 실함수 집합
에 대하여 와 같이 정의된 선형변환의 합성을 표현할 때와 같이 표현한다.
Matrix Multiplication✔
행렬곱(matrix multiplication, matrix product)
-
예시(애니메이션)


-
를 의 행과 의 열의 성분들을 곱하고 합한 것으로 보면 편하다. -
행렬곱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자.
행렬 , 행렬 의 실제모습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자.이 두 행렬의 행렬곱
행렬 의 실제 모습은 다음과 같다.그러므로
행렬 의 열 행 성분은 다음과 같다. -
지금까지 하고 있는 일은 선형변환과 행렬 간의 대응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먼저 선형변환과 행렬의 대응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형변환의 합과 스칼라곱을 정의한 다음 이 연산이 행렬에서의 합과 스칼라곱의 구조를 보존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제 두 선형변환의 합성에 어떤 행렬의 연산이 대응되는지 연구해야 한다. 즉, 행렬곱에 대하여 정의할 차례인 것이다.
그렇다면 행렬 곱은 어째서 이렇게 정의되었나? 행렬 곱 정의가 두 선형변환의 합성의 구조를 보존해야 하기 때문이다.
유한차원 벡터공간
와 선형변환 를 생각하자. 이때 의 순서기저를 각각으로 정의하고 선형변환
의 행렬표현을라고 하자. 그러면
에 대하여가 성립하도록 행렬곱
를 정의하면 된다.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행렬곱
를 다음과 같은 행렬로 정의할 수 있다. -
행렬
의 형상이 다음과 같이 맞아야 행렬곱 연산을 할 수 있다.내부 차원이 맞아야 행렬 곱
가 정의되고, 외부 차원이 행렬 의 크기를 결정한다. -
예시
다음과 같이
이다. -
함수의 합성에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행렬곱에도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
예시
다음은 두 행렬
가 을 만족한다.
- 증명
-
증명
정리 2.11
유한차원 벡터공간
- 이 정리가 행렬 곱 연산이 두 선형변환의 합성의 구조를 보존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행렬곱의 정의에 의하여 이 정리가 성립함을 쉽게 알 수 있다.
-
예시
선형변환
를로 정의하면
이다. 를 의 표준순서기저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2.11 따름정리
유한차원 벡터공간
정리 2.12
-
-
임의의 스칼라
에 대하여 -
-
1) 의 증명
-
3) 의 증명
정리 2.12 따름정리
- 증명
행렬곱에서 소거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
증명
이다. 이때 소거법칙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이다. 이는 모순이다. ■
정리 2.13
-
-
(단, 는 의 번째 표준벡터)
-
증명
1:
2:
정리 2.14
유한차원 벡터공간
-
이 정리는 선형변환에 어떤 벡터를 입력하여 행렬로 표현한 것과 선형변환과 벡터를 행렬로 표현한 후 행렬곱 한 것이 같음을 말해준다.
-
증명
를 고정하고 다음과 같은 선형변환 를 정의하자. 의 표준순서기저를 라고 하자. 선형변환의 조건 에 의하여 이므로 이다.행렬의 각 열을 벡터로 보고 정리 2.11 을 적용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Left Multiplication Transformation✔
좌측 곱 변환(left multiplication transformation)
체
-
는 의 열벡터이다. -
좌측 곱 변환은 선형변환의 성질로 행렬의 성질을 유추하거나, 행렬의 성질로 선형변환의 성질을 유추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는 도구이다.
-
예시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2.15
체
또한 체
-
-
-
-
-
이 선형이면 인 행렬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또한 이다. -
행렬 에 대하여 이다. -
- 이 정리는
가 선형이고 유용한 도구를 많이 제공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는 선형이다:정리 2.12 에 의하여
이다. 이는 임을 뜻한다.또한 정리 2.12 에 의하여 스칼라
에 대하여 이다. 이는 임을 뜻한다. 그러므로 는 선형이다. ▲1:
일단
이고 이다. 의 열은 인데 는 의 열이다. 또 는 표준순서기저로 의 열을 나타낸 행렬이므로 결국 다시 의 열이 된다. 이는 의 모든 열이 의 열임을 뜻한다. 그러므로 이다. ▲2:
이미 증명한 1) 에 의하여
이다. 그 역도 쉽게 증명가능하다. ▲
3:
이미 증명한 1) 과 정리 2.8 - 1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4:
5:
라고 하자. 정리 2.14 에 의하여 이므로이다. 이는
을 의미한다. 이로써 의 존재성이 증명되었다. 의 유일성은 2) 에서 곧바로 알 수 있다. ▲6:
는 의 열이다. 정리 2.13 - 1 에 의하여 의 열은 이다. 그러므로이다. 정리 2.6 따름정리 에 의하여
이다. ▲7:
먼저
이다. 의 열은 이다. 이는 를 뜻한다. 그러므로 이다. ■
정리 2.16
-
가 정의되어 있다. -
가 성립한다.
- 2) 는 행렬곱 연산에서 결합법칙이 성립함을 말해준다.
-
증명
2:
함수의 합성은 결합법칙을 만족한다. 또한 정리 2.15 - 6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정리 2.15 - 2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이 정리는 지금까지 했던 것처럼 행렬의 성분을 비교하는 방식으로도 증명 가능하다. 그러나 그렇게 번거로운 방법보다 지금까지 정립해온 정리를 사용하면 위와 같이 세련되게 증명할 수 있다.
정리 2.16 따름정리
행렬곱 연산에서 결합법칙이 성립한다.
-
증명
정리 2.16 - 2 에 의하여 본 정리가 성립한다.
Invertibility✔
역함수(inverse)
벡터공간
-
선형변환의 역함수 정의는 일반적인 함수의 역함수 정의와 같다.
-
역함수가 존재하는 선형변환을 가역(invertible)이라 한다.
선형변환의 역함수는 유일하다.
-
증명
함수의 역함수는 유일하다. 선형변환은 함수이다. ■
선형변환이 가역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전단사라는 것이다.
-
증명
함수의 역함수가 존재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전단사라는 것이다. 선형변환은 함수이다. ■
가역인 함수
-
-
이다. 특히 는 가역이다. -
인 벡터공간 에 대하여 선형변환 가 가역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
증명
3:
정리 2.5 에 의하여
가 전단사라는 것과 은 동치이다. 선형변환이 가역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전단사라는 것이다. ■ -
예시
선형변환
의 역함수는 다음과 같다.
정리 2.17
선형변환의 역함수는 선형이다.
-
증명
벡터공간
와 가역인 선형변환 에 대한 역함수 가 선형임을 보이자. 가 전단사이므로 에 대한 를 만족하는 벡터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그러므로 스칼라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2.17 따름정리
선형변환
-
가 유한차원인 것과 가 유한차원인 것은 동치이다. -
가 유한차원이면 이다.
-
증명
가 유한차원이라고 하고 기저를 이라고 하자. 가 전단사이므로 공역과 치역이 같다. 그러면 정리 2.2 에 의하여 이다. 유한집합이 를 생성하므로 정리 1.9 에 의하여 는 유한차원이다. ▲역으로
가 유한차원임을 가정하면 를 사용하여 비슷한 논법으로 가 유한차원임을 증명할 수 있다. ▲이제
가 유한차원이라는 사실을 사용할 수 있다. 가 단사이므로 정리 2.4 에 의하여이다. 또한
가 전사이므로 공역과 치역이 같다. 그러므로이다. 그러면 차원정리 에 의하여
임을 알 수 있다. ■
유한차원 벡터공간
-
가 단사이다. -
가 전사이다. -
가 전단사이다. -
가 가역이다.
-
증명
정리 2.5 에 의하면 같은 차원을 갖는 두 유한차원 벡터공간 사이에 정의된 선형변환에 대하여 단사, 전사가 동치이다. 이로써 전단사도 동치이며 가역도 동치이다.
Invertible matrix✔
가역행렬(invertible matrix)
- 이는 역함수의 정의와 비슷하다. 선형변환을 행렬과 대응시키고 그 연산도 보존해보았듯이 선형변환과 행렬의 역연산도 연결시켜볼 것이다.
역행렬(inverse matrix)
-
예시
의 역행렬은 이다.
역행렬은 유일하다.
-
증명
역행렬을 선형변환의 역함수와 연결시킨다면 역함수가 유일하다 는 정리로도 증명가능하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도 증명할 수 있다.
를 만족하는 또 다른 행렬 가 존재한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Properties of Invertibility✔
정리 2.18
유한차원 벡터공간
-
가 가역인 것과 가 가역인 것은 동치이다. -
-
이 정리는 선형변환의 역함수와 행렬의 역행렬을 연결시켜준다.
-
증명
가 가역이면 정리 2.17 따름정리로부터 이다. 라고 하면 는 행렬이다. 또 역함수 에 대하여 이다. 이러한 사실들과 항등변환의 행렬표현은 항등행렬이다 와 정리 2.11 에 의하여이다. 같은방식으로
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가 가역임을 가정했을 때 는 가역이고, 이다. ▲ 가 가역이면 을 만족하는 행렬 가 존재한다. 우선 이라고 하자. 그러면 정리 2.6 에 의하여을 만족하는 선형변환
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이는 임을 말해준다. 그러면 정리 2.11 에 의하여이다. 따라서
이다. 같은 방식으로 를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가 가역임을 가정했을 때 도 가역이다. ■
정리 2.18 따름정리 1
유한차원 벡터공간
-
가 가역인 것과 가 가역인 것은 동치이다. -
- 증명
정리 2.18 따름정리 2
-
가 가역인 것과 가 가역인 것은 동치이다. -
- 증명
문제 2.4-4
-
가 가역이다. -
-
증명
가 가역이므로 , 인 가 존재한다. 정리 2.16 따름정리 에 의하여 행렬의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는 가역이고, 이다. ■
문제 2.4-5
가역행렬
-
증명
인 가 존재한다.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다.
문제 2.4-9
-
증명
정리 2.18 따름정리 2 에 의하여
가 가역이면 도 가역이다. 정리 2.15 - 1 에 의하여 는 위에서 정의된 선형변환이다. 정리 2.15 - 6 에 의하여 이다. 가 전단사이므로 가 단사이고, 는 전사이다. 그런데 이므로 와 는 가역이다. 그러면 다시 정리 2.18 따름정리 2 에 의하여 와 도 가역이다. ■
문제 2.4-10
-
는 가역이다. -
-
증명
1:
정리 2.15 - 1 에 의하여
은 이다. 이는 정리 2.15 - 6, 7 에 의하여 가 된다. 그러므로 는 전사이고, 는 단사이다. 그런데 이므로 와 는 가역이다. 그러면 정리 2.18 따름정리 2 에 의하여 와 도 가역이다. ■2:
가 가역이므로 인 가 존재한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Isomorphism✔
동형(isomorphic)
벡터공간
-
공간 사이의 구조를 보존하는 사상이 있으면 두 공간은 동형이다. 동형인 두 공간은 구조만 봤을 때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예시
의 원소 를 의 원소 에 대응시키면 벡터 합과 스칼라 곱이 비슷하게 작동한다. 이는 두 벡터공간이 구조적으로 동형임을 뜻하고, 그러므로 구조만 살펴봤을 때 두 공간을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동형사상(isomorphism)
벡터공간
-
동형사상이 정의된 두 대수구조는 본질적으로 서로 같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서로 동형인 대상은 완전히 같은 구조와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구조적으로만 따졌을 때 동형인 두 대상을 구분하기란 불가능하다.
-
일반적으로 동형사상은 전단사인 준동형사상으로 설명된다. 본 정의에서는 전단사라는 조건이 가역으로, 준동형사상이라는 조건이 선형변환으로 설명된 것뿐이다.
-
예시
와 사이에 동형사상이 존재하므로 이 두 벡터공간은 동형이다. 두 공간의 구조는 동일하다.
동형은 동치관계이다.
-
증명
-벡터공간을 원소로 가지는 집합족 의 임의의 두 원소 가 동형이라는 것을 관계 로 표기하자. 이 동치관계임을 보여야 한다. 은 에서 정의된 가역인 선형변환이다. 그러므로 이다. ▲ 에 대하여 가역인 선형변환 가 정의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가역인 선형역변환 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이다. ▲ 에 대하여 가역인 선형변환 와 가 정의되었다고 하자. 두 변환의 합성 은 선형이고, 전단사이다. 따라서 이다. ■
정리 2.19
같은 체 위에서 정의된 유한차원 벡터공간
-
이 정리는 차원이 같은 벡터공간 사이에는 동형사상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는 차원이 같은 벡터공간은 본질적으로 서로 같음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동형사상이 존재하면 아무런 손실도 없이 한 벡터공간을 다른 벡터공간으로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증명
를 가정하면 정리 2.17 따름정리 에 의하여 이다. ▲ 를 가정하자. 그리고 의 각각의 기저를 라고 하자. 정리 2.6 에 의하여 인 선형변환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정리 2.2 에 의하면이므로
는 전사이다. 그러면 정리 2.5 에 의하여 는 단사이다. 그러므로 는 동형사상이고 결국 이다. ■ -
예시
행렬의 벡터 공간 과 길이 의 벡터의 벡터 공간 사이에 동형사상이 존재한다.
두 벡터공간
-
증명
정리 2.17 따름정리 에 의하여 증명이 끝난다. ■
정리 2.19 따름정리
-
증명
정리 2.17 따름정리 에 의하여 증명이 끝난다. ■
Linear Map and Matrix are essentially the same✔
정리 2.20
차원이 각각
-
이 정리는 모든 선형변환이 유일한 행렬로 표현가능하고, 행렬 또한 유일한 선형변환으로 표현가능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즉, 이 정리는 선형변환과 행렬은 본질적으로 같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정리 2.8 에 의하여
가 선형임은 쉽게 알 수 있다. ▲이제
가 전단사임을 보이자. 임의의 행렬마다 선형변환 가 유일하게 존재함을 보이면 된다. 에 대하여 정리 2.6 에 의하여 다음 선형변환 이 유일하게 존재한다.그러면 선형변환의 행렬표현 에 의하여
이다. 그러므로 은 전단사이고, 결국 동형사상이다. ■
차원이 각각
-
선형 변환들로 이루어진 벡터공간과 행렬로 이루어진 벡터 공간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
증명
정리 2.20 에 의하여 주어진 두 벡터공간 사이에 동형사상이 존재한다. ■
정리 2.20 따름정리
유한차원 벡터공간
-
이 정리는 차원이 각각
인 벡터공간 에 대하여 임을 말해준다. -
증명
이고 이다. 그러면 정리 2.19 에 의하여 증명이 끝난다. ■
Standard Representation✔
표준표현(standard representation)
체
-
이는 추상적인 벡터공간에 정의된 선형변환과
에서 정의된 선형변환의 관계를 보여준다. -
예시
의 두 순서기저 와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유한차원 벡터공간
-
증명
선형변환의 성질 에 의하여
를 증명하면 된다. 이는 를 증명하는 것이다. 에 대하여 일 때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2.21
유한차원 벡터공간
-
증명
라고 하자. 에 대하여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야 한다. 라고 하면 좌표벡터의 정의 에 의하여 인 가 존재한다.벡터
의 일차결합 표현은 정리 1.8 에 의하여 유일하다. ■
-
증명
정리 2.19 따름정리와 정리 2.21 에 의하여 증명이 끝난다. ■
Relation between Linear Map and Matrix✔
그림 2.2
차원이 각각
-
동형사상
를 통해 와 을 동일시할 수 있고 동형사상 를 통해 와 을 동일시할 수 있다.물론
가 동형사상이면 와 을 동일시할 수 있고 가 동형사상이면 와 을 동일시할 수 있다. -
이 그림은 다루기 힘든 추상적인 두 벡터공간 사이에 정의된 연산을 우리에게 친숙한
와 사이에 정의된 연산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예시
선형변환
에서 를 각각 의 순서기저라 하자.또한
을 각각의 기저에 대한 표준표현이라고 하자. 의 행렬표현은 다음과 같다.이제 위 그림이 말하는
가 정말 성립하는지 다항식 에 대하여 확인해보자.
문제 2.4-17
유한차원 벡터공간
-
은 의 부분공간이다. -
-
증명
1:
선형변환의 성질 에 의하여
이다. ▲ 에 대하여 이다. 이때 이 부분공간이므로 이다. 그러므로 이다. ▲ 에 대하여 가 부분공간이므로 이다. 그러므로 이다. ▲정리 1.3 에 의하여
은 의 부분공간이다. ■2:
변환
의 제한 은 전사이다. 동형사상 가 단사이므로 의 대응규칙을 유지한채 논의영역을 축소시킨 도 단사이다. 그러므로 는 동형사상이며 이다. 그러므로 정리 2.19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문제 2.4-20
-
증명
1:
그러므로
이다. 가 의 부분공간이고 정리 2.21 에 의하여 가 동형사상이므로 이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2:
이면 에 대하여 이다. 그러므로 와 가 선형인 것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즉,
이므로 이다. ▲역으로
이면 이다. 가 전사이므로 인 가 존재한다.만약
이라면 이다. 그러면 이므로 이고 결국 가 된다. 그러면 가 의 부분공간 이고 정리 2.21 에 의하여 가 동형사상이므로 을 얻고 모든 증명이 끝난다.다음이 성립한다.
가 단사이므로 정리 2.4 에 의하여 이다. ■
Change of basis✔
정리 2.22
유한차원 벡터공간
-
는 가역행렬이다. -
좌표변환 행렬(change of coordinate matrix, change of basis matrix)
유한차원 벡터공간
-
예시
의 서로 다른 기저 에 대하여이므로
이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이것은 벡터공간
의 서로 다른 기저 와 어떤 벡터 에 대하여와 같이 좌표벡터를 구한 것에서
와 같이 어떤 좌표를 다른 기저에 대한 좌표로 변환하는 수학적 장치이다.
-
유한차원 벡터공간
가 차원이 이고 서로 다른 기저 을 갖는다고 하자. 어떤 벡터 가 나 와 같은 좌표벡터로 표현되어 있을 때 이것으로부터 어떻게 다른 기저에 대한 좌표벡터를 구할 수 있을까? 이것을 정리 2.14 를 사용하지 말고 행렬 성분을 실제로 다뤄보면서 알아보자.먼저 좌표벡터 의 정의에 의하여
는 다음과 같은 기저 의 일차결합이다. 은 스칼라이다.이때 기저
의 벡터 들을 다음과 같이 기저 에 대한 좌표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들은 스칼라이다.그러므로
를 다음과 같이 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그렇다면
와 같이 표현된 일차결합에서 들을 위와 같은 의 일차결합 표현으로 치환해버리면 를 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이 의 일차결합 표현을 일차결합 표현으로 변환하는 것이다.그렇다면 좌표벡터 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된다.
그러면 행렬
은 좌표벡터 를 로 변환해주는 변환행렬이 되는 것이다. 이 행렬을 라고 하면 기저 를 로 변환해준다는 의미로 아래첨자를 써서 로 표기하기도 한다. 그러면 간략하게라고 표기할 수 있다.
-
그러면 어떤 기저
를 다른 기저 로 변환해주는 행렬 이 정말로 다음을 만족할까?선형변환의 행렬표현 에 의하여
의 열은 인데 항등변환의 정의에 의하여 이는 곧 가 되고 좌표벡터 의 정의와 위에서 정의했었던 의하여 결국가 된다. 즉,
의 열과 의 열이 같으므로 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유한차원 벡터공간
-
증명
Linear Operator✔
선형연산자(linear operator)
벡터공간
정리 2.23
유한차원 벡터공간
- 정리 2.22 가 한 기저로 표현된 벡터를 다른 기저 표현의 벡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려주었다면, 이 정리는 한 기저로 표현된 선형변환을 다른 기저로 표현된 선형변환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
증명
항등변환
가 인 것과 정리 2.11 인 것으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이다.
정리 2.23 따름정리
-
이 정리는 좌측곱변환을 임의의 기저로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
증명
정리 2.23 에 의하여
의 표준순서기저 와 좌표를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행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정리 2.15-(1) 에 의하여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다. 즉, 는 의 벡터들을 열로 구성한 행렬이다. ■ -
예시
다음과 같은 집합
와 의 순서기저를 생각하자.그러면
은 다음과 같다.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Matrix Similarity✔
행렬의 닮음(matrix similarity)
-
행렬의 닮음은 두 행렬이 같은 선형변환의 서로 다른 기저에 대한 행렬표현임을 나타내는 관계이다.
-
행렬의 닮음은 동치관계이다.
정리 2.23 의 일반화
유한차원 벡터공간
-
증명
-
이 정리는 서로 다른 벡터공간
사이에 정의된 선형변환에서도 성립한다. 이 경우 의 기저를 바꾸듯이 의 기저도 바꿀 수 있다.
문제 2.5-13
유한차원
집합
-
증명
이므로 가 일차독립임을 보이면 된다.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의 열을 라 하면 이다. 가 가역이므로 이다. 또한 랭크는 행렬의 열들의 극대 일차독립 집합의 기수를 뜻하므로 의 모든 열이 일차독립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이는 다음이 성립함을 뜻한다.
따라서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는 기저이다. ▲선형변환의 행렬표현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는 것은
의 행 열 성분이 임을 뜻한다.즉,
이다. 좌표변환 행렬의 정의에 의하여 는 좌표를 좌표로 변환하는 좌표변환 행렬이다. ■
Dual Space✔
선형범함수(linear functional, linear form, one-form, covector)
- 체
는 에서의 1차원 벡터공간이다.
-
예시
에 대하여 함수 는 선형범함수이다.
Coordinate Function✔
좌표함수(coordinate function)
순서기저
-
좌표함수는
의 선형범함수이다. -
이다.
쌍대공간(dual space)
은 함수의 합과 스칼라곱 이 정의된 의 모든 선형범함수로 이루어진 벡터공간이다.
유한차원 벡터공간
-
증명
는 1차원 벡터공간이므로 이다. 따라서 정리 2.20 따름정리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정리 2.19 에 의하여
와 은 동형이다. ■
Double Dual✔
이중 쌍대공간(double dual)
벡터공간
정리 2.24
순서기저
-
증명
이므로 다음과 같이 가 을 생성함을 보이면 증명이 끝난다. 로 두면 에 대하여 함수의 합의 정의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정리 2.6 따름정리에 의하여
이다. ■
Dual Basis✔
쌍대기저(dual basis)
순서기저
-
순서기저
의 원소 에 대하여 인 것은 좌표함수라는 뜻이다. 따라서 쌍대기저의 정의는 정리 2.24 에서의 집합 와 같다.또한 정리 2.24 는 쌍대기저
의 존재성을 보장해준다.쌍대기저의 존재성이 보장된 것을 기반으로 이 쌍대기저의 정의는 정리 2.24 에서 말하는 쌍대공간
의 기저를 구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아래 예시를 보자. -
예시
벡터공간
의 순서기저 에 대한 의 쌍대기저 를 구해보자.연립방정식을 풀면
을 얻는다. 따라서 이다. 같은 방식으로 를 얻을 수 있다.
Transpose of Linear Map✔
정리 2.25
함수
-
정리 2.20 은 선형변환
에 대응하는 행렬 가 존재함을 말해준다. 이 정리는 에 대응하는 선형변환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
증명
는 에서 정의된 선형변환이다. 따라서 는 의 선형범함수이다. 그러므로 이다. 따라서 는 에서 정의된 함수이다. ▲이제
가 선형인지 확인하자. 먼저 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면
에 대하여 함수의 합과 스칼라 곱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함수의 합과 스칼라 곱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는 선형이다.순서기저를
, 으로 두고 각각의 쌍대기저를 로 두고 로 두자. 선형변환의 행렬표현을 구하기 위하여 의 열을 구하기 위해 를 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내자. 이므로 정리 2.24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의 열은 이다. 따라서 행 열의 성분은 일 때 의 번째 순서기저 를 제외한 스칼라 이다. 이때 선형변환의 행렬표현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다. ■
선형변환의 전치(transpose of linear map)
-
이렇게 정의한
가 를 만족하기 때문에 선형변환의 전치라고 부른다. -
예시
선형변환
를 로 정의하자. 의 표준순서기저 와 의 표준순서기저 에 대하여 이다. 이제 를 구해보자. 와 에 대하여 로 두면 선형변환의 행렬표현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므로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또한
이므로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즉,
이다. 같은 논리로 를 얻는다. 결국 를 직접 계산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본 정리와 같은 결과이다.
정리 2.25 보조정리
유한차원 벡터공간
-
이 의 선형범함수라는 것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이다. -
증명
대우명제
를 보여도 된다. 즉, 일 때 인 가 존재함을 보이면 된다. 인 의 순서기저 가 존재한다. 정리 2.24 는 기저 에 따른 쌍대기저 의 존재를 보장해준다. 이다. 로 두면 증명이 끝난다. ■ 인 순서기저 의 존재성을 보장하는 정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증명을 보완해야 함. 하지만 not now..
정리 2.26
유한차원 벡터공간
-
이 정리가 보여주는
와 사이의 대응으로 유한차원 벡터공간 와 이중 쌍대공간 을 동일화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이는 두 벡터공간의 기저와 관계없이 와 사이의 동형사상이 존재함을 뜻한다. -
증명
와 임의의 에 대하여 함수의 합의 정의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즉,
이다. 따라서 는 선형이다. ▲ 에 대하여 를 으로 두자. 그러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이다. 정리 2.25 보조정리에 의하여 를 얻는다. 이는 을 뜻한다. 정리 2.4 에 의하여 는 단사이다. ▲ 가 단사이므로 정리 2.5 에 의하여 는 가역이다. 또한 이므로 는 동형사상이다. ■
유한차원 벡터공간
-
동형사상
는 정리 2.26 과 같이 정의된 것이다. -
증명
정리 2.26 따름정리
유한차원 벡터공간
-
증명
먼저
와 에 대한 함수 를 정의하자. 의 순서기저를 으로 두자.정리 2.24 와 정리 2.26 에 의하여
의 기저와 에 대하여 인 쌍대기저 가 존재한다. 쌍대기저의 정의 에 의하여 는 의 쌍대기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