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
Summation✔
Summation
Summation 은 수열
-
수열은 숫자, 함수, 벡터, 행렬, 다항식 등 임의의 타입의 수학적 대상들로 구성 될 수 있다.
-
무한수열의 Summation 을 series 라고 한다.
-
쉽게 말해 Summation 은 다음과 같다.
를 summation 의 index 라고 한다. 을 summation 의 하계(lower bound)라고 하고, 을 summation 의 상계(upper bound)라고 한다. -
예시
-
만약 index 와 하계, 상계를 일일이 표기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맥락이 명확하다면 다음과 같이 생략을 하기도 한다.
임의의 논리 조건이 필요하다면 Summation 의 표기법을 일반화시켜서 조건을 충족하는 모든 수열의 덧셈을 표현할 수도 있다.
-
예시
다음은 특정 범위 내의
에 대한 의 덧셈을 표현한다.다음은 집합
의 원소 에 대한 의 덧셈을 표현한다. -
Summation 의 index 를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기법들은
에서도 통용된다.
Properties of Summation✔
Distributivity (1)
- 증명
Commutativity and Associativity (1)
- 증명
Commutativity and Associativity (2)
- 증명
Commutativity and Associativity (3)
- 증명
Distributivity (2)
- 증명
Distributivity (3)
- 증명
Powers and logarithm of arithmetic progression✔
등차수열의 합(Sum of arithmetic progression)
자연수
- 증명
홀수의 합(Sum of odd natural numbers)
자연수
- 증명
짝수의 합(Sum of even natural numbers)
자연수
- 증명
제곱수의 합(Sum of squares)
자연수
- 증명
Nicomachus's theorem
자연수
- 증명
Faulhaber's formula
- 증명
Summation index in exponents✔
등비수열의 합(sum of a geometric progression) (1)
자연수
- 증명
등비수열의 합(sum of a geometric progression) (2)
자연수
- 증명
산술기하수열의 합(sum of an arithmetico-geometric sequence)
- 증명
Multiplication✔
곱셈(Multiplication)
덧셈의 반복이다.
-
곱셈은 덧셈
이 정의된 수학적 대상에 대하여 덧셈을 반복하는 것이다. 가령 다음과 같이 는 를 번 더한 것이다. -
곱셈(Multiplication) 의 결과를 product 라 한다.
수열의 곱셈(Product of a sequence)
수열
-
수열은 숫자, 함수, 벡터, 행렬, 다항식 등 임의의 타입의 수학적 대상들로 구성 될 수 있다.
-
예시
Properties of Multiplication✔
Properties of Multiplication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에서 곱셈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Commutative property) -
(Associative property) -
(Distributive property) -
(Identity property) -
(Zero property) -
인 에 대하여 이다. 또한 이다. (Negation) -
이 아닌 에 대하여 인 가 존재한다. (Inverse element)
Associativity and Commutativity (1)
- 증명
Associativity and Commutativity (2)
- 증명
- 증명
Exponentiation✔
Integer Exponent✔
정수 제곱(integer exponent)
Rational Exponent✔
유리수 제곱(rational exponent)
-
이 홀수면 에 대하여 로 정의한다. -
이 짝수면 에 대하여 로 정의한다.
이 짝수일 경우 음의 실수를 밑으로 가지는 유리수 제곱은 정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값이 복소수가 되기 때문이다. 가령 가 된다.
Natural Exponential Function✔
자연지수함수(natural exponential function)
자연지수함수
-
이항정리에 의하여 이 무한급수는 다음과 같다.
자연지수함수의 성질 (1)
자연지수함수
-
가 모든 에 대하여 절대수렴한다. -
가 에서 미분가능하고, 이다. -
-
-
-
이 정리에 의하여
가 실질적으로 지수함수의 모든 기능을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증명
오일러의 수(Euler's number)
자연지수함수
-
다음과 같이 정의된 것과 동치이다.
로 두면 이므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는 다음과 같은 값을 갖는다.
자연지수함수의 성질 (2)
자연지수함수
-
-
-
가 다음을 만족하는 역함수 를 가진다. -
-
-
-
-
1) 에 의하여
를 를 만큼 거듭제곱한 것으로 볼 수 있다.7) 로 실수 지수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
증명
Real Exponent✔
정의 8.4.2 실수 제곱(real exponent)
-
이 정의에 의하여
같은 제곱도 정의할 수 있다. -
코시 수열을 통하여 유리수로 실수를 얻어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도 실수 제곱을 정의할 수 있다.
가령
를 다음과 같이 정의된 모든 축소구간열에 포함되는 원소로 정의한다.축소구간성질에 의하여 극한 구간의 길이는
이고, 이 축소구간열들은 하나의 공통된 원소를 가지며, 이 원소를 로 정의하는 것이다.
Complex Exponents✔
복소수 제곱(complex exponents)
-
복소수 제곱은 자연 지수 함수에 의하여 정의된 실수 제곱을 단지 복소수로 바꾸어 정의한 것이다.
-
오일러 공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Euler's Formula✔
오일러 공식(euler's formula)
-
증명
자연지수함수의 정의와 사인/코사인 함수의 멱급수 전개에 의하여 이 증명이 성립한다.
복소수
-
증명
복소수의 극형식과 오일러 공식에 의하여 증명된다. ■
Most Beautiful Theorem in Mathematics✔
오일러 항등식(Euler's identity)
-
수학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리라고 알려져있다.
이고 이므로, 러프하게 에 허수 를 곱한 것을 에 제곱하면 이 나온다는 것이다. -
다음과 같이 쓰면 수학의 최중요 다섯 원소
와 수학의 근본 기호 이 가장 아름답고 간결한 형태로 나타난다고 하여 이 형태로도 많이 쓴다. -
증명
오일러 공식에
를 대입하면 바로 나온다. ■
Trigonometry✔
Radian✔
라디안(호도법, radian)
주어진 각에 대하여 각의 꼭짓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
-
주의해야 할 점은
축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라디안을 측정하면 음수이고, 반시계방향으로 라디안을 구하면 양수로 정의한다는 것이다.
-
은 원의 선택과 관계없이 주어진 각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값으로 각을 잘 정의 수 있다.
-
라디안의 장점은 길이와 길이의 비율로 정의되어 길이라는 단위가 사라져서 무차원 단위가 된다는 것이다. 즉, 라디안은 단위를 생략할 수 있는 순수한 수이다. 따라서 수학에서 각을 표현할 때 라디안을 널리 사용한다.

-
예시
는 길이가 인 호를 대하므로 라디안이다.
Trigonometric Ratio✔
밑변(adjacent), 높이(opposite), 빗변(hypotenuse)
직각삼각형의 직각이 아닌 각
-
로부터 직각으로 향하는 선분을 밑변이라 한다. -
로부터 직각으로 향하지 않는 선분을 빗변이라 한다. -
와 마주보는 선분을 높이라 한다.
-
다음 그림은 직각삼각형의 밑변, 빗변, 높이를 보여준다.

삼각비(trigonometric ratio)
삼각비는 직각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의 비율로써 직각삼각형의 직각이 아닌 각
-
빗변에 대한 높이의 비율을 사인(sine)
이라 한다. -
빗변에 대한 밑변의 비율을 코사인(cosine)
이라 한다. -
밑변에 대한 높이의 비율을 탄젠트(tangent)
이라 한다. -
높이에 대한 빗변의 비율을 코시컨트(cosecant)
이라 한다. -
밑변에 대한 빗변의 비율을 시컨트(secant)
이라 한다. -
높이에 대한 밑변의 비율을 코탄젠트(cotangent)
이라 한다.
-
삼각법은 이를 통하여 각도만으로 변의 길이를 비교 할 수 있었기에 고대로부터 개발되었다.
-
삼각비의 정의역은
이다.
Trigonometric Functions✔
삼각함수(trigonometric functions)
-
사인함수를
로 정의한다. -
코사인함수를
로 정의한다. -
탄젠트함수를
로 정의한다. -
코시컨트함수를
로 정의한다. -
시컨트함수를
로 정의한다. -
코탄젠트함수를
로 정의한다.
-
다음 표는 삼각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을 보여준다.

-
다음 그림은 단위원의 좌표
와 반지름 과 주어진 라디안 각 를 보여준다. 위 정의는와 같이 유도된다.

-
다음 그림은
와 와 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
다음 그림은
와 와 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코시컨트 함수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그려진다.
삼각함수의 특수각
직각삼각형의 성질에 의하여 특정한 각에서 삼각함수의 정확한 값을 알 수 있다.

-
탄젠트 함수
는 분모 가 이 되는 지점인 와 에서 값이 정의되지 않는다. -
증명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하여 직각삼각형이 다음과 같은 특정한 각을 이루면 변들이 특수한 비율을 갖는다.

나머지 값들은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자명하다. ■
Properties of Trigonometric Functions✔
주기함수(periodic function)
함수
삼각함수의 주기(periods of trigonometric functions)
-
증명
삼각함수 그래프를 적절히 이동시켜보면 바로 알 수 있다. ■
Even/Odd Function✔
홀함수(기함수, odd function), 짝함수(우함수, even function)
함수
-
이면 를 홀함수라 한다. -
이면 를 짝함수라 한다.
-
홀함수는 원점에 대한 대칭 함수이고, 짝함수는
축 대칭 함수이다. -
예시

삼각함수의 홀짝성
삼각함수의 홀짝성은 다음과 같다.
-
는 짝함수이다. -
는 홀함수이다.
-
증명
삼각함수 그래프를 적절히 원점, 또는
축에 대하여 대칭시켜보면 바로 알 수 있다. ■
삼각함수의 대칭

-
증명
삼각함수의 그래프를 보면서 적절히
축 대칭, 원점 대칭을 시행하고 만큼 이동시켜보면 바로 알 수 있다. ■
삼각함수의 주기성

-
증명
삼각함수 그래프를 적절히 이동시켜보면 바로 알 수 있다. ■
Theorem of Trigonometric Functions✔
Trigonometric Identities
삼각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1:
을 단위원의 방정식 에 대입하면 바로 나온다. ■2, 3:
1) 에
를 나누면 2) 를 얻고 를 나누면 3) 을 얻는다.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Addition Formulas)
삼각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1, 2, 3, 4:
오일러 공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 결과의 허수부에 의하여 1) 이 증명되고, 실수부에 의하여 3) 이 증명된다. 2) 는 1) 에
를 적용하여 얻고, 4) 는 3) 에 를 적용하여 얻는다. ■5, 6:
5) 는 이 증명에 의하여 증명되고, 6) 은
를 적용하여 얻는다. ■
배각의 공식(Double-Angle Formulas)
삼각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1:
사인함수의 덧셈정리
에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2:
코사인함수 덧셈정리
에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3:
탄젠트함수 덧셈정리
에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반각의 공식(Half-Angle Formulas)
삼각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1:
배각의 공식으로부터
를 얻고, 곧 다음이 성립한다. 대신 를 대입하면 정리가 나온다. ■2:
배각의 공식으로부터
를 얻고, 곧 다음이 성립한다. 대신 를 대입하면 정리가 나온다. ■3:
탄젠트는 코사인 값에 대한 사인 값의 비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코사인 법칙(Law of Cosines)
삼각형
-
증명
3:
다음 그림처럼 삼각형
의 세 점 의 각을 각각 로 두고 마주하는 변을 각각 로 잡자.
다음 그림은 코사인의 정의에 의하여
가 성립함을 보여준다.
같은 원리로 다음을 얻는다.
이를 기반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과 를 더하고 을 빼면 다음이 성립한다.이것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코사인 법칙을 얻는다.
1, 2:
3) 을 증명했듯이 1), 2)도 같은 논리로 증명할 수 있다. ■
사인법칙(Law of Sines)
삼각형
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s✔
삼각함수의 역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s)
정의역이 제한되어 전단사 함수가 된 삼각함수의 역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삼각함수는 전단사가 아니므로 역함수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정의역을 제한하면 전단사가 되고, 역함수를 갖게 된다.

이것을 통하여 삼각함수의 역함수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yperbolic Functions✔
쌍곡선 함수(hyperbolic functions)
쌍곡선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Hyperbolic sine:
-
Hyperbolic cosine:
-
Hyperbolic tangent:
-
Hyperbolic cosecant:
-
Hyperbolic secant:
-
Hyperbolic cotangent:
-
삼각함수를 단위원으로 정의했듯이, 쌍곡함수는 쌍곡선으로 정의한다. 삼각함수와 쌍곡함수는 매우 유사한 성질을 가지지만, 쌍곡함수는 주기함수가 아니다.
단위원
의 좌표를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로 나타낼 수 있고, 곧 다음이 성립한다.단위 쌍곡선
의 좌표는 로 나타낼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
쌍곡함수는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갖는다.

Theorems of hyperbolic functions✔
Identities for hyperbolic functions
쌍곡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