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연산

Summation

Summation

Summation 은 수열 g(i)g(i) 의 덧셈으로써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i=abg(i)={0b<ag(b)+i=ab1g(i)ba \sum_{i=a}^{b}g(i) = \begin{cases} 0 & b < a\\ g(b) + \displaystyle \sum_{i=a}^{b-1}g(i) & b \geq a\\ \end{cases}
  • 수열은 숫자, 함수, 벡터, 행렬, 다항식 등 임의의 타입의 수학적 대상들로 구성 될 수 있다.

  • 무한수열의 Summation 을 series 라고 한다.

  • 쉽게 말해 Summation 은 다음과 같다.

    i=mnai=am+am+1++an1+an \sum_{i=m}^{n}a_i = a_m + a _{m+1} + \dots + a _{n-1} + a_n

    ii 를 summation 의 index 라고 한다. mm 을 summation 의 하계(lower bound)라고 하고, nn 을 summation 의 상계(upper bound)라고 한다.

  • 예시

    i=36i2=32+42+52+62=86 \sum_{i=3}^{6}i ^{2} = 3 ^{2} + 4 ^{2} + 5 ^{2} + 6 ^{2} = 86
  • 만약 index 와 하계, 상계를 일일이 표기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맥락이 명확하다면 다음과 같이 생략을 하기도 한다.

    ai2=i=1nai2 \sum a_i ^{2} = \sum_{i=1}^{n}a ^{2}_i

    임의의 논리 조건이 필요하다면 Summation 의 표기법을 일반화시켜서 조건을 충족하는 모든 수열의 덧셈을 표현할 수도 있다.

  • 예시

    다음은 특정 범위 내의 kk 에 대한 f(k)f(k) 의 덧셈을 표현한다.

    0k<100f(k) \sum_{0 \leq k < 100}^{}f(k)

    다음은 집합 SS 의 원소 xx 에 대한 f(x)f(x) 의 덧셈을 표현한다.

    xSf(k) \sum_{x \in S}^{}f(k)
  • Summation 의 index 를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도 있다.

    ij=i,j \sum_{i}^{}\sum_{j}^{} = \sum_{i,j}^{}

    이러한 표기법들은 \displaystyle \prod_{}^{} 에서도 통용된다.

Properties of Summation

Distributivity (1)

n=skCf(n)=Cn=skf(n) \sum_{n=s}^kC \cdot f(n) = C \cdot \sum_{n=s}^kf(n)
  • 증명

Commutativity and Associativity (1)

n=skf(n)±n=skg(n)=n=sk(f(n)±g(n)) \sum_{n=s}^kf(n) \pm \sum_{n=s}^kg(n) = \sum_{n=s}^k(f(n) \pm g(n))
  • 증명

Commutativity and Associativity (2)

i=k0k1j=l0l1aij=j=l0l1i=k0k1aij \sum_{i=k_0}^{k_1}\sum_{j=l_0}^{l_1}a _{ij} = \sum_{j=l_0}^{l_1}\sum_{i=k_0}^{k_1}a _{ij}
  • 증명

Commutativity and Associativity (3)

kjinaij=i=knj=kiaij=j=kni=jnaij=j=0nki=knjai+j,i \sum_{k \leq j \leq i \leq n}^{} a _{ij} = \sum_{i=k}^{n}\sum_{j=k}^{i}a _{ij}= \sum_{j=k}^{n}\sum_{i=j}^{n}a _{ij}= \sum_{j=0}^{n-k}\sum_{i=k}^{n-j}a _{i+j, i}
  • 증명

Distributivity (2)

(i=0nai)(j=0nbj)=i=0nj=0naibj \bigg (\sum_{i=0}^{n}a_i \bigg ) \bigg (\sum_{j=0}^{n}b_j \bigg ) = \sum_{i=0}^{n}\sum_{j=0}^{n}a_ib_j
  • 증명

Distributivity (3)

(i=smai)(j=tnbj)=i=smj=tnaibj \bigg (\sum_{i=s}^{m}a_i \bigg ) \bigg (\sum_{j=t}^{n}b_j \bigg ) = \sum_{i=s}^{m}\sum_{j=t}^{n}a_ib_j
  • 증명

Powers and logarithm of arithmetic progression

등차수열의 합(Sum of arithmetic progression)

자연수 i,nNi, n \in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0ni=i=1ni=n(n+1)2 \sum_{i=0}^{n}i = \sum_{i=1}^{n}i = \frac{n(n+1)}{2}
  • 증명

홀수의 합(Sum of odd natural numbers)

자연수 i,nNi, n \in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1n(2i1)=n2 \sum_{i=1}^{n}(2i - 1) = n ^{2}
  • 증명

짝수의 합(Sum of even natural numbers)

자연수 i,nNi, n \in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1n2i=n(n+1) \sum_{i=1}^{n}2i = n(n + 1)
  • 증명

제곱수의 합(Sum of squares)

자연수 i,nNi, n \in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0ni2=i=1ni2=n(n+1)(2n+1)6=n33+n22=n6 \sum_{i=0}^{n}i ^{2} = \sum_{i=1}^{n}i ^{2} = \frac{n(n+1)(2n+1)}{6} = \dfrac{n ^{3}}{3} + \frac{n ^{2}}{2} = \frac{n}{6}
  • 증명

Nicomachus's theorem

자연수 i,nNi, n \in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0ni3=(i=0ni)2=(n(n+1)2)2=n44+n32+n24 \sum_{i=0}^{n}i ^{3} = \bigg (\sum_{i=0}^{n}i \bigg ) ^{2} = \bigg (\frac{n(n+1)}{2} \bigg ) ^{2} = \dfrac{n ^{4}}{4} + \dfrac{n ^{3}}{2} + \frac{n ^{2}}{4}
  • 증명

Faulhaber's formula

p>1p > 1 와 Bernoulli number BkB_k 와 binomial coefficient (pk)\displaystyle \binom{p}{k}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k=1nkp=np+1p+1+12np+k=2p(pk)Bkpk+1npk+1 \sum_{k=1}^{n}k ^{p} = \dfrac{n ^{p+1}}{p + 1} + \frac{1}{2}n ^{p} + \sum_{k=2}^{p}\binom{p}{k}\dfrac{B_k}{p - k + 1}n ^{p - k + 1}
  • 증명

Summation index in exponents

등비수열의 합(sum of a geometric progression) (1)

자연수 i,nNi, n \in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0n1ai=1an1a \sum_{i=0}^{n-1}a ^{i} = \dfrac{1 - a ^{n}}{1 - a}
  • 증명

등비수열의 합(sum of a geometric progression) (2)

자연수 i,nNi, n \in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0n1iai=anan+(n1)an+1(1a)2 \sum_{i=0}^{n-1}ia ^{i} = \dfrac{a - na ^{n} + (n - 1)a ^{n+1}}{(1 - a) ^{2}}
  • 증명

산술기하수열의 합(sum of an arithmetico-geometric sequence)

i=0n1(b+id)ai=bi=0n1ai+di=0n1iai=b(1an1a)+d(anan+(n1)an+1(1a)2)=b(1an)(n1)dan1a+da(1an1)(1a)2 \begin{align}\begin{split} \sum_{i=0}^{n-1}(b + id)a ^{i} &= b \sum_{i=0}^{n-1}a ^{i} + d \sum_{i=0}^{n-1}ia ^{i} \\ &= b \bigg ( \dfrac{1 - a ^{n}}{1 - a} \bigg ) + d \bigg (\dfrac{a - na ^{n} + (n-1)a ^{n+1}}{(1 - a) ^{2}} \bigg ) \\ &= \dfrac{b(1-a ^{n}) - (n-1)da ^{n}}{1 - a} + \dfrac{da(1 - a ^{n-1})}{(1 - a) ^{2}} \\ \end{split}\end{align} \tag*{}
  • 증명

Multiplication

곱셈(Multiplication)

덧셈의 반복이다.

  • 곱셈은 덧셈 ++ 이 정의된 수학적 대상에 대하여 덧셈을 반복하는 것이다. 가령 다음과 같이 3×43 \times 44433 번 더한 것이다.

    3×4=4+4+4=12 3 \times 4 = 4 + 4 + 4 = 12
  • 곱셈(Multiplication) 의 결과를 product 라 한다.

수열의 곱셈(Product of a sequence)

수열 xix_i 의 곱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mnxi=xmxm+1xm+2xn1xn \prod_{i=m}^{n}x_i = x_m \cdot x _{m+1} \cdot x _{m+2} \cdot \dots \cdot x _{n-1} \cdot x_n
  • 수열은 숫자, 함수, 벡터, 행렬, 다항식 등 임의의 타입의 수학적 대상들로 구성 될 수 있다.

  • 예시

    i=14i=24 \prod_{i=1}^{4} i = 24

Properties of Multiplication

Properties of Multiplication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에서 곱셈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xy=yxx \cdot y = y \cdot x (Commutative property)

  2. (xy)z=x(yz)(x \cdot y) \cdot z = x \cdot (y \cdot z) (Associative property)

  3. x(y+z)=xy+xzx \cdot (y + z) = x \cdot y + x \cdot z (Distributive property)

  4. x1=xx \cdot 1 = x (Identity property)

  5. x0=0x \cdot 0 = 0 (Zero property)

  6. (x)+x=0(-x) + x = 0x-x 에 대하여 (1)x=(x)(-1) \cdot x = (-x) 이다. 또한 (1)(1)=1(-1) \cdot (-1) = 1 이다. (Negation)

  7. 00 이 아닌 xx 에 대하여 x(1x)=1x \cdot \bigg (\dfrac{1}{x} \bigg ) = 11x\dfrac{1}{x} 가 존재한다. (Inverse element)

Associativity and Commutativity (1)

i=1nxiyi=(i=1nxi)(i=1nyi) \prod_{i=1}^{n}x_iy_i = \bigg (\prod_{i=1}^{n}x_i \bigg )\bigg (\prod_{i=1}^{n}y_i \bigg )
  • 증명

Associativity and Commutativity (2)

(i=1nxi)a=i=1nxia \bigg (\prod_{i=1}^{n}x_i \bigg ) ^{a} = \prod_{i=1}^{n}x_i ^{a}
  • 증명
aN,xiR>0:i=1nxai=xi=1nai a \in \N, x_i \in \R _{>0} : \prod_{i=1}^{n}x ^{a_i} = x ^{\sum_{i=1}^{n}a_i}
  • 증명

Exponentiation

Integer Exponent

정수 제곱(integer exponent)

aR,nZ>0a \in \R, n \in \Bbb{Z}_{>0} 에 대하여 aann제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n=a×a××an a ^{n} = \overbrace{a \times a \times \dots \times a}^{n}

Rational Exponent

유리수 제곱(rational exponent)

m,nZ,n>0,gcd(m,n)=1m,n \in \Bbb{Z}, n > 0, \gcd (m, n) = 1m,nm, n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nn 이 홀수면 aRa \in \R 에 대하여 am/n=amna ^{m/n} = \sqrt[n]{a ^{m}} 로 정의한다.

  • nn 이 짝수면 aR0a \in \R _{\geq 0} 에 대하여 am/n=amna ^{m/n} = \sqrt[n]{a ^{m}} 로 정의한다.

  • nn 이 짝수일 경우 음의 실수를 밑으로 가지는 유리수 제곱은 정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값이 복소수가 되기 때문이다. 가령 1=i\sqrt[]{-1} = i 가 된다.

Natural Exponential Function

자연지수함수(natural exponential function)

자연지수함수 exp:RR\exp:\R \to \R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exp(x)=n=0xnn!=1+x+x22!+x33!+ \exp (x) = \sum_{n=0}^{\infty}\dfrac{x ^{n}}{n!} = 1 + x + \dfrac{x ^{2}}{2!} + \dfrac{x ^{3}}{3!} + \dots
  • 이항정리에 의하여 이 무한급수는 다음과 같다.

    exp(x)=limn(1+xn)n \exp (x) = \lim_{n \to \infty} \left( 1 + \frac{x}{n} \right) ^{n}

자연지수함수의 성질 (1)

자연지수함수 exp(x)\exp (x)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exp(x)\exp (x) 가 모든 xRx \in \R 에 대하여 절대수렴한다.

  2. exp(x)\exp (x)R\R 에서 미분가능하고, exp(x)=exp(x)\exp '(x) = \exp (x) 이다.

  3. x,yR:exp(x+y)=exp(x)exp(y)\forall x, y \in \R : \exp (x + y) = \exp (x)\exp (y)

  4. exp(0)=1,exp(x)=1exp(x)\exp (0) = 1, \exp (-x) = \dfrac{1}{\exp (x)}

  5. xR:exp(x)>0\forall x \in \R : \exp (x) > 0

  • 이 정리에 의하여 exp(x)\exp (x) 가 실질적으로 지수함수의 모든 기능을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증명

오일러의 수(Euler's number)

자연지수함수 exp(x)\exp (x) 에 대하여 e=exp(1)e = \exp (1) 라고 정의한다.

  • 다음과 같이 정의된 것과 동치이다.

    limn(1+1n)n=e \lim_{n \to \infty } \left( 1 + \frac{1}{n} \right) ^{n} = e

    t=1nt = \dfrac{1}{n} 로 두면 xt0x \to \infty \implies t \to 0 이므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limt0(1+t)1/t=e \lim_{t \to 0} (1 + t)^{1/t} = e
  • ee 는 다음과 같은 값을 갖는다.

    e=2.718281 e = 2.718281 \dots

자연지수함수의 성질 (2)

자연지수함수 exp(x)\exp (x)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m,nZ:exp(mn)=(en)m\forall m, n \in \Bbb{Z} : \exp \left( \frac{m}{n} \right) = (\sqrt[n]{e})^{m}

  2. nN:limxxnex=0\displaystyle \forall n \in \N : \lim_{x \to \infty} x ^{n}e ^{-x} = 0

  3. exe ^{x} 가 다음을 만족하는 역함수 lnx:R>0R\ln x:\R _{>0} \to \R 를 가진다.

    (yR:lney=y)(x>0:elnx=x) (\forall y \in \R : \ln e ^{y} = y) \land (\forall x > 0 : e ^{\ln x} = x)
  4. (lnx)=1x(\ln x)' = \dfrac{1}{x}

  5. x,y>0:lnxy=lnx+lnyx,y > 0 : \ln xy = \ln x + \ln y

  6. nN,t>0:tn=enlntn \in \N, t > 0 : t ^{n} = e ^{n \ln t}

  7. xR,t>0:tx=exlntx \in \R, t > 0 : t ^{x} = e ^{x \ln t}

  • 1) 에 의하여 exp(x)\exp (x)eexx 만큼 거듭제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7) 로 실수 지수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 증명

Real Exponent

정의 8.4.2 실수 제곱(real exponent)

aR>0,xRa \in \R _{>0}, x \in \R 에 대하여 실수 제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x=exlna a ^{x} = e ^{x \ln a}
  • 이 정의에 의하여 3π3^{\pi } 같은 제곱도 정의할 수 있다.

  • 코시 수열을 통하여 유리수로 실수를 얻어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도 실수 제곱을 정의할 수 있다.

    aR>0,xR,rQ:ax=limrxar a \in \R _{>0}, x \in \R, r \in \Bbb{Q} : a ^{x} = \lim_{r \to x} a ^{r}

    가령 3π3 ^{\pi } 를 다음과 같이 정의된 모든 축소구간열에 포함되는 원소로 정의한다.

    [33,34],[33.1,33.2],[33.14,33.15],[33.141,33.142], [3 ^{3}, 3 ^{4}], [3 ^{3.1}, 3 ^{3.2}], [3 ^{3.14}, 3 ^{3.15}], [3 ^{3.141}, 3 ^{3.142}], \dots

    축소구간성질에 의하여 극한 구간의 길이는 00 이고, 이 축소구간열들은 하나의 공통된 원소를 가지며, 이 원소를 3π3 ^{\pi } 로 정의하는 것이다.

Complex Exponents

복소수 제곱(complex exponents)

aR>0,zCa \in \R _{>0}, z \in \Bbb{C} 에 대하여 복소수 제곱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z=ezlna a ^{z} = e ^{z \ln a}
  • 복소수 제곱은 자연 지수 함수에 의하여 정의된 실수 제곱을 단지 복소수로 바꾸어 정의한 것이다.

  • 오일러 공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x+iy=ax(cos(ylna)+isin(ylna)) a ^{x + iy} = a ^{x}(\cos (y \ln a) + i \sin (y \ln a))

Euler's Formula

오일러 공식(euler's formula)

xRx \in \R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eix=cosx+isinx e ^{ix} = \cos x + i \sin x

복소수 z=r(cosθ+isinθ)z = r(\cos \theta + i \sin \theta)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z=reiθ z = r e ^{i \theta}

Most Beautiful Theorem in Mathematics

오일러 항등식(Euler's identity)

eiπ=1 e ^{i \pi } = - 1
  • 수학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리라고 알려져있다.

    π3.14\pi \approx 3.14 이고 e2.71e \approx 2.71 이므로, 러프하게 3.143.14 에 허수 ii 를 곱한 것을 2.712.71 에 제곱하면 1-1 이 나온다는 것이다.

  • 다음과 같이 쓰면 수학의 최중요 다섯 원소 e,i,π,0,1e, i, \pi , 0, 1 와 수학의 근본 기호 +,=+, = 이 가장 아름답고 간결한 형태로 나타난다고 하여 이 형태로도 많이 쓴다.

    eiπ+1=0 e ^{i \pi } + 1 = 0
  • 증명

    오일러 공식에 x=πx = \pi 를 대입하면 바로 나온다. ■

Trigonometry

Radian

라디안(호도법, radian)

주어진 각에 대하여 각의 꼭짓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 r>0r > 0 을 갖는 원 OO 를 취하자. OO 에서 주어진 각에 대한 호의 길이 ll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llrr 의 비를 각의 라디안 값으로 정의한다.

lr \frac{l}{r}
  • 주의해야 할 점은 xx축으로부터 시계방향으로 라디안을 측정하면 음수이고, 반시계방향으로 라디안을 구하면 양수로 정의한다는 것이다.

    image

  • l/rl/r 은 원의 선택과 관계없이 주어진 각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값으로 각을 잘 정의 수 있다.

  • 라디안의 장점은 길이와 길이의 비율로 정의되어 길이라는 단위가 사라져서 무차원 단위가 된다는 것이다. 즉, 라디안은 단위를 생략할 수 있는 순수한 수이다. 따라서 수학에서 각을 표현할 때 라디안을 널리 사용한다.

  • 예시

    180°180 \degree 는 길이가 πr\pi r 인 호를 대하므로 π\pi 라디안이다.

Trigonometric Ratio

밑변(adjacent), 높이(opposite), 빗변(hypotenuse)

직각삼각형의 직각이 아닌 각 θ\theta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θ\theta 로부터 직각으로 향하는 선분을 밑변이라 한다.

  • θ\theta 로부터 직각으로 향하지 않는 선분을 빗변이라 한다.

  • θ\theta 와 마주보는 선분을 높이라 한다.

  • 다음 그림은 직각삼각형의 밑변, 빗변, 높이를 보여준다.

삼각비(trigonometric ratio)

삼각비는 직각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의 비율로써 직각삼각형의 직각이 아닌 각 θ\theta 에 대한 빗변 hh, 밑변 bb, 높이 aa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빗변에 대한 높이의 비율을 사인(sine) sinθ=ah\sin \theta = \dfrac{a}{h} 이라 한다.

  • 빗변에 대한 밑변의 비율을 코사인(cosine) cosθ=bh\cos \theta = \dfrac{b}{h} 이라 한다.

  • 밑변에 대한 높이의 비율을 탄젠트(tangent) tanθ=ab\tan \theta = \dfrac{a}{b} 이라 한다.

  • 높이에 대한 빗변의 비율을 코시컨트(cosecant) cscθ=ha\csc \theta = \dfrac{h}{a} 이라 한다.

  • 밑변에 대한 빗변의 비율을 시컨트(secant) secθ=hb\sec \theta = \dfrac{h}{b} 이라 한다.

  • 높이에 대한 밑변의 비율을 코탄젠트(cotangent) cotθ=ba\cot \theta = \dfrac{b}{a} 이라 한다.

  • 삼각법은 이를 통하여 각도만으로 변의 길이를 비교 할 수 있었기에 고대로부터 개발되었다.

  • 삼각비의 정의역은 0°<x<90°0 \degree < x < 90 \degree 이다.

Trigonometric Functions

삼각함수(trigonometric functions)

R\R 에서 정의된 삼각함수는 단위원 x2+y2=1x ^{2} + y ^{2} = 1 의 좌표 P(x,y)P(x, y) 에 대하여 주어진 라디안 각 θ\theta 을 삼각비로 나타내는 함수로써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사인함수를 sinθ=y\sin \theta = y 로 정의한다.

  • 코사인함수를 cosθ=x\cos \theta = x 로 정의한다.

  • 탄젠트함수를 tanθ=yx=sinθcosθ\tan \theta = \dfrac{y}{x} = \dfrac{\sin \theta}{\cos \theta} 로 정의한다.

  • 코시컨트함수를 cscθ=1y=1sinθ\csc \theta = \dfrac{1}{y} = \dfrac{1}{\sin \theta} 로 정의한다.

  • 시컨트함수를 secθ=1x=1cosθ\sec \theta = \dfrac{1}{x} = \dfrac{1}{\cos \theta} 로 정의한다.

  • 코탄젠트함수를 cotθ=xy=cosθsinθ\cot \theta = \dfrac{x}{y} = \dfrac{\cos \theta}{\sin \theta} 로 정의한다.

  • 다음 표는 삼각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을 보여준다.

  • 다음 그림은 단위원의 좌표 P(x,y)P(x, y) 와 반지름 r=1r = 1 과 주어진 라디안 각 θ\theta 를 보여준다. 위 정의는

    sinθ=yr=y,cosθ=xr=x,cscθ=ry=1y,secθ=rx=1x\sin \theta = \dfrac{y}{r} = y, \enspace \cos \theta = \dfrac{x}{r} = x, \enspace \csc \theta = \dfrac{r}{y} = \dfrac{1}{y}, \enspace \sec \theta = \dfrac{r}{x} = \dfrac{1}{x}

    와 같이 유도된다.

  • 다음 그림은 sinθ=y\sin \theta = ycosθ=x\cos \theta = xtanθ=yx\tan \theta = \dfrac{y}{x} 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image

  • 다음 그림은 secθ=1x\sec \theta = \dfrac{1}{x}cscθ=1y\csc \theta = \dfrac{1}{y}cotθ=xy\cot \theta = \dfrac{x}{y} 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image

    코시컨트 함수 cscθ=1y\csc \theta = \dfrac{1}{y}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그려진다.

삼각함수의 특수각

직각삼각형의 성질에 의하여 특정한 각에서 삼각함수의 정확한 값을 알 수 있다.

image

  • 탄젠트 함수 tanθ=yx\tan \theta = \dfrac{y}{x} 는 분모 xx00 이 되는 지점인 90°=π290 \degree = \dfrac{\pi }{2}90°=π2-90 \degree = -\dfrac{\pi }{2} 에서 값이 정의되지 않는다.

  • 증명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하여 직각삼각형이 다음과 같은 특정한 각을 이루면 변들이 특수한 비율을 갖는다.

    image

    나머지 값들은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자명하다. ■

Properties of Trigonometric Functions

주기함수(periodic function)

함수 f(x)f(x)p>0p > 0 에 대하여 f(x+p)=f(x)f(x + p) = f(x) 이면 주기 pp 를 갖는 주기함수라 한다.

삼각함수의 주기(periods of trigonometric functions)

tan(x),cot(x)\tan (x), \cot (x) 는 주기 π\pi 를 갖는 주기함수이고, sin(x),cos(x),sec(x),csc(x)\sin (x), \cos (x), \sec (x), \csc (x) 는 주기 2π2 \pi 를 갖는 주기함수이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tan(x+π)=tanx,cot(x+π)=cotx \tan (x + \pi ) = \tan x, \qquad \cot (x + \pi ) = \cot x
sin(x+2π)=sinx,cos(x+2π)=cosx \sin (x + 2\pi ) = \sin x, \qquad \cos (x + 2\pi ) = \cos x
sec(x+2π)=secx,csc(x+2π)=cscx \sec (x + 2\pi ) = \sec x, \qquad \csc (x + 2\pi ) = \csc x
  • 증명

    삼각함수 그래프를 적절히 이동시켜보면 바로 알 수 있다. ■

Even/Odd Function

홀함수(기함수, odd function), 짝함수(우함수, even function)

함수 f:DRf: D \to \R 의 정의역 DRD \subset \RD=D-D = D 인 구간일 때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xD:f(x)=f(x)\forall x \in D : f(-x) = -f(x) 이면 ff 를 홀함수라 한다.

  • xD:f(x)=f(x)\forall x \in D : f(-x) = f(x) 이면 ff 를 짝함수라 한다.

  • 홀함수는 원점에 대한 대칭 함수이고, 짝함수는 yy축 대칭 함수이다.

  • 예시

삼각함수의 홀짝성

삼각함수의 홀짝성은 다음과 같다.

  • cosx,secx\cos x, \sec x 는 짝함수이다.

    cos(x)=cosx,sec(x)=secx \cos (-x) = \cos x, \qquad \sec (-x) = \sec x
  • sinx,tanx,cscx,cotx\sin x, \tan x, \csc x, \cot x 는 홀함수이다.

    sin(x)=sinx,tan(x)=tanx \sin (-x) = - \sin x, \qquad \tan (-x) = - \tan x
    csc(x)=cscx,cot(x)=cotx \csc (-x) = - \csc x, \qquad \cot (-x) = - \cot x
  • 증명

    삼각함수 그래프를 적절히 원점, 또는 yy축에 대하여 대칭시켜보면 바로 알 수 있다. ■

삼각함수의 대칭

image

  • 증명

    삼각함수의 그래프를 보면서 적절히 yy축 대칭, 원점 대칭을 시행하고 kπk \pi 만큼 이동시켜보면 바로 알 수 있다. ■

삼각함수의 주기성

image

  • 증명

    삼각함수 그래프를 적절히 이동시켜보면 바로 알 수 있다. ■

Theorem of Trigonometric Functions

Trigonometric Identities

삼각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cos2θ+sin2θ=1\cos ^{2}\theta + \sin ^2 \theta = 1

  2. 1+tan2θ=sec2θ1 + \tan ^{2}\theta = \sec ^2 \theta

  3. 1+cot2θ=csc2θ1 + \cot ^{2}\theta = \csc ^2 \theta

  • 증명

    1:

    sinθ=y,cosθ=x\sin \theta = y, \cos \theta = x 을 단위원의 방정식 x2+y2=1x^2 + y^2 = 1 에 대입하면 바로 나온다. ■

    2, 3:

    1) 에 cos2θ\cos ^2 \theta 를 나누면 2) 를 얻고 sin2θ\sin ^2 \theta 를 나누면 3) 을 얻는다. ■

삼각함수의 덧셈정리(Addition Formulas)

삼각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sin(x+y)=sinxcosy+cosxsiny\sin(x +y) = \sin x \cos y + \cos x \sin y

  2. sin(xy)=sinxcosycosxsiny\sin (x - y ) = \sin x \cos y - \cos x \sin y

  3. cos(x+y)=cosxcosysinxsiny\cos (x + y) = \cos x \cos y - \sin x \sin y

  4. cos(xy)=cosxcosy+sinxsiny\cos (x - y ) = \cos x \cos y + \sin x \sin y

  5. tan(x+y)=tanx+tany1tanxtany\tan (x + y) = \dfrac{\tan x + \tan y }{1 - \tan x \tan y }

  6. tan(xy)=tanxtany1+tanxtany\tan (x - y) = \dfrac{\tan x - \tan y }{1 + \tan x \tan y }

  • 증명

    1, 2, 3, 4:

    오일러 공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cos(x+y)+isin(x+y)=ei(x+y)=eixeiy=(cosx+isinx)(cosy+isiny)=(cosxcosysinxsiny)+i(sinxcosy+cosxsiny) \begin{align}\begin{split} \cos (x + y) + i \sin (x + y)&= e ^{i(x + y)} = e ^{ix}e ^{iy}\\ &= (\cos x + i \sin x)(\cos y + i \sin y) \\ &= (\cos x \cos y - \sin x \sin y) + i(\sin x \cos y + \cos x \sin y) \end{split}\end{align} \tag*{}

    이 결과의 허수부에 의하여 1) 이 증명되고, 실수부에 의하여 3) 이 증명된다. 2) 는 1) 에 sin(x)=sinx\sin (-x) = - \sin x 를 적용하여 얻고, 4) 는 3) 에 cos(x)=cosx\cos (-x) = \cos x 를 적용하여 얻는다. ■

    5, 6:

    5) 는 이 증명에 의하여 증명되고, 6) 은 tan(x)=tanx\tan (-x) = - \tan x 를 적용하여 얻는다. ■

배각의 공식(Double-Angle Formulas)

삼각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sin2x=2sinxcosx\sin 2x = 2 \sin x \cos x

  2. cos2x=cos2xsin2x\cos 2x = \cos ^2 x - \sin ^2x

  3. tan2x=2tanx1tan2x\tan 2x = \dfrac{2 \tan x}{1 - \tan ^2x}

  • 증명

    1:

    사인함수의 덧셈정리 sin(x+y)=sinxcosy+cosxsiny\sin(x +y) = \sin x \cos y + \cos x \sin yx=yx = y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sin2x=2sinxcosx \sin 2 x = 2 \sin x \cos x \tag*{■}

    2:

    코사인함수 덧셈정리 cos(x+y)=cosxcosysinxsiny\cos (x + y) = \cos x \cos y - \sin x \sin yx=yx = y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cos2x=cos2xsin2x \cos 2 x = \cos ^{2}x - \sin ^{2} x \tag*{■}

    3:

    탄젠트함수 덧셈정리 tan(x+y)=tanx+tany1tanxtany\tan (x + y) = \dfrac{\tan x + \tan y }{1 - \tan x \tan y }x=yx = y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tan2x=2tanx1tan2x \tan 2x = \frac{2\tan x}{1 - \tan ^{2} x} \tag*{■}

반각의 공식(Half-Angle Formulas)

삼각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sin2a2=1cosa2\sin ^{2} \dfrac{a }{2} = \dfrac{1 - \cos a }{2}

  2. cos2a2=1+cosa2\cos ^{2}\dfrac{a }{2} = \dfrac{1+\cos a }{2}

  3. tan2a2=1cosa1+cosa\tan ^{2} \dfrac{a }{2} = \dfrac{1-\cos a }{1+\cos a }

  • 증명

    1:

    배각의 공식으로부터 cos2a=12sin2a\cos 2 a = 1 - 2 \sin ^{2} a 를 얻고, 곧 다음이 성립한다.

    sin2a=1cos2a2 \sin ^{2} a = \dfrac{1 - \cos 2 a }{2}

    aa 대신 a2\dfrac{a }{2} 를 대입하면 정리가 나온다. ■

    2:

    배각의 공식으로부터 cos2a=2cos2a1\cos 2 a = 2 \cos ^{2} a -1 를 얻고, 곧 다음이 성립한다.

    cos2a=1+cos2a2 \cos ^{2} a = \dfrac{1 + \cos 2 a}{2}

    aa 대신 a2\dfrac{a }{2} 를 대입하면 정리가 나온다. ■

    3:

    탄젠트는 코사인 값에 대한 사인 값의 비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tan2a2=sin2a2cos2a2=1cosa21+cosa2=1cosa1+cosa \tan ^{2} \dfrac{a }{2} = \dfrac{\sin ^{2} \dfrac{a }{2}}{\cos ^{2} \dfrac{a }{2}} = \dfrac{\dfrac{1-\cos a }{2}}{\dfrac{1+\cos a }{2}} = \dfrac{1-\cos a }{1+\cos a } \tag*{■}

코사인 법칙(Law of Cosines)

삼각형 ABCABC 에 대하여 AA 를 마주보는 변 aa, BB 를 마주보는 변 bb, CC 를 마주보는 변 cc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a2=b2+c22bccosAa^2 = b^2 + c^2 -2bc \cos A

  2. b2=c2+a22cacosBb^2 = c^2 + a^2 -2ca \cos B

  3. c2=a2+b22abcosCc^2 = a^2 + b^2 -2ab \cos C

  • 증명

    3:

    다음 그림처럼 삼각형 ABCABC 의 세 점 A,B,CA, B, C 의 각을 각각 α,β,γ\alpha , \beta , \gamma 로 두고 마주하는 변을 각각 a,b,ca, b, c 로 잡자.

    다음 그림은 코사인의 정의에 의하여 c=acosβ+bcosαc = a \cos \beta + b \cos \alpha 가 성립함을 보여준다.

    같은 원리로 다음을 얻는다.

    a=ccosβ+bcosγ a = c \cos \beta + b \cos \gamma
    b=ccosα+acosγ b = c \cos \alpha + a \cos \gamma

    이를 기반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a2=accosβ+abcosγ(1) a ^{2} = ac \cos \beta + ab \cos \gamma \tag{1}
    b2=bccosα+abcosγ(2) b ^{2} = bc \cos \alpha + ab \cos \gamma \tag{2}
    c2=accosβ+bccosα(3) c ^{2} = ac \cos \beta + bc \cos \alpha \tag{3}

    (1)(1)(2)(2) 를 더하고 (3)(3) 을 빼면 다음이 성립한다.

    a2+b2c2=2abcosγ a ^{2} + b ^{2} - c ^{2} = 2ab \cos \gamma

    이것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여 코사인 법칙을 얻는다.

    c2=a2+b22abcosC \therefore c ^{2} = a ^{2} + b ^{2} -2ab \cos C \tag*{■}

    1, 2:

    3) 을 증명했듯이 1), 2)도 같은 논리로 증명할 수 있다. ■

사인법칙(Law of Sines)

삼각형 ABCABC 와 각 A,B,CA, B, C 와 각각 마주보는 변 a,b,ca, b, c 와 삼각형 ABCABC 의 외접원의 반지름 RR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sinA=bsinB=csinC=2R \frac{a}{\sin A} = \frac{b}{\sin B} = \frac{c}{\sin C} = 2R

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s

삼각함수의 역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s)

정의역이 제한되어 전단사 함수가 된 삼각함수의 역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image

  • 삼각함수는 전단사가 아니므로 역함수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이 정의역을 제한하면 전단사가 되고, 역함수를 갖게 된다.

    image

    이것을 통하여 삼각함수의 역함수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mage

Hyperbolic Functions

쌍곡선 함수(hyperbolic functions)

쌍곡선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Hyperbolic sine: sinhx=exex2\sinh x = \dfrac{e^x - e ^{-x}}{2}

  2. Hyperbolic cosine: coshx=ex+ex2\cosh x = \dfrac{e^x + e ^{-x}}{2}

  3. Hyperbolic tangent: tanhx=sinhxcoshx=exexex+ex\tanh x = \dfrac{\sinh x}{\cosh x} = \dfrac{e^x - e ^{-x}}{e ^{x} + e ^{-x}}

  4. Hyperbolic cosecant: cschx=1sinhx=2exex\operatorname{csch} x = \dfrac{1}{\sinh x} = \dfrac{2}{e ^{x} - e ^{-x}}

  5. Hyperbolic secant: sechx=1coshx=2ex+ex\operatorname{sech} x = \dfrac{1}{\cosh x} = \dfrac{2}{e ^{x} + e ^{-x}}

  6. Hyperbolic cotangent: cothx=coshxsinhx=ex+exexex\coth x = \dfrac{\cosh x}{\sinh x} = \dfrac{e^x + e ^{-x}}{e ^{x} - e ^{-x}}

  • 삼각함수를 단위원으로 정의했듯이, 쌍곡함수는 쌍곡선으로 정의한다. 삼각함수와 쌍곡함수는 매우 유사한 성질을 가지지만, 쌍곡함수는 주기함수가 아니다.

    단위원 x2+y2=1x ^{2} + y ^{2} = 1 의 좌표를 임의의 실수 uu 에 대하여 (cosu,sinu)(\cos u, \sin u) 로 나타낼 수 있고, 곧 다음이 성립한다.

    sin2u+cos2u=1 \sin ^2u + \cos ^2u = 1

    단위 쌍곡선 x2y2=1x^2 - y^2 = 1 의 좌표는 (coshu,sinhu)(\cosh u, \sinh u) 로 나타낼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cosh2usinh2u=1 \cosh ^2u - \sinh ^2u = 1
  • 쌍곡함수는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갖는다.

    image

Theorems of hyperbolic functions

Identities for hyperbolic functions

쌍곡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cosh2xsinh2x=1\cosh ^2 x - \sinh ^2x = 1

  2. sinh2x=2sinhxcoshx\sinh 2x = 2 \sinh x \cosh x

  3. cosh2x=cosh2x+sinh2x\cosh 2x = \cosh ^2x + \sinh ^2x

  4. cosh2x=cosh2x+12\cosh ^2x = \dfrac{\cosh 2x + 1}{2}

  5. sinh2x=sinh2x12\sinh ^2x = \dfrac{\sinh 2x - 1}{2}

  6. tanh2x=1sech2x\tanh ^2x = 1 - \operatorname{sech} ^2x

  7. coth2x=1+csch2x\coth ^2x = 1 + \operatorname{csch} ^2x

  • 증명

        Abbott, S. (2015). Understanding analysis. Springer.
        Thomas, G. B., Jr, Weir, M. D., & Hass, J. R. (2014). Thomas’ calculus: Early Transcendentals. Pearson Higher Ed.
        Wikipedia contributors. (2024b, June 29). Summation.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Sum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