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s
Contents
- Determinants of 2 × 2 Matrix
- Determinants
- Determinants of Identity Matrix
- Properties of Determinant
- Redefining the Determinant
- Determinant and Rank
- Determinant and Elementary Operation
- Determinant of Upper Triangular Matrix
- Determinant of Elementary Matrix
- Determinant of Transpose
- Determinant of Submatrix
- Cramer's Rule
- n-dimensional volume of parallelepiped
- Determinant of Similar Matrices
Determinants of 2 × 2 Matrix✔
Properties of Determinants of 2 × 2 Matrix✔
함수
-
증명
행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함수
은 선형이 아니다. ■
정리 4.1
함수
-
이 정리는 함수
가 선형이 아니지만, 그래도 선형적 성질을 갖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1:
와 스칼라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2:
1) 과 비슷하게 증명된다. ■
정리 4.2
행렬
-
-
는 가역이고, 이다.
-
증명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된 행렬 에 대하여 가 성립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이는
가 가역이고 임을 뜻한다. ▲역으로 다음과 같은 가역행렬
의 존재를 가정하자. 행렬 가 가역이면 이다. 이는 을 뜻한다. 를 가정하면 에 기본연산을 적용하여 다음 행렬을 얻는다.정리 3.4 따름정리 에 의하여 기본연산은 행렬의 랭크를 보존한다. 이는 다음을 뜻한다.
즉,
이다. 를 가정해도 비슷한 논리로 를 얻는다. ■
Area of a parallelogram✔
각(angle)
-
예시
다음과 그림에서 왼쪽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은 같은 크기와 방향을 가지고 시점이 원점인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이다.

향(orientation)
-
이 정리와 정리 4.2 에 의하여 위 식의 분모는
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다. -
가 일차종속(서로 평행)이면 행렬 가 가역이 아니라서 이지만 편의상 가 일차종속이면 으로 정의한다.
- 증명
오른손 좌표계(right-handed coordinate system)
-
예시

왼손 좌표계(left-handed coordinate system)
-
예시

행렬식
- 증명
문제 4.1-11
함수
-
행렬의 한 행이 고정되어 있을 때, 나머지 행에 대하여
는 선형함수이다. -
행렬
의 두 행이 같으면 이다. -
함수
-
기본행렬
에 대하여 이다. -
행렬
, 기본행렬 에 대하여 이다.
-
증명
성질 1) 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
이때 성질 1), 2), 3) 으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
또한 성질 1), 2), 3) 으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다음을 얻는다.
그러므로
이다. 그러므로 이다. 조건 1) 은 이것의 특수한 경우이다. ▲조건 2) 는
에서 바로 나온다. ■
문제 4.1-12
문제 4.1-11 의 함수
-
증명
문제 4.1-11 의 증명에 의하여 증명이 끝난다.
가 오른손 좌표계이다.
- 증명
평행사변형(parallelogram)
원점을 시점으로 하는 벡터
-
가 일차종속(서로 평행)이면 의 평행사변형은 선분이 된다. -
예시

-
예시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
다음 증명은 이 정리가
에서도 성립함을 유추할 수 있게 해준다. -
증명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라고 두면 향(orientation)의 정의에 의하여 본 정리는 다음과 같다. 이므로 이것을 곱한 식인 다음을 증명해도 된다.이때
라고 정의한 다음 가 문제 4.1-11 에서의 3 가지 성질을 만족함을 보이면 문제 4.1-12 에 의하여 이 증명되어 모든 증명이 끝난다. ▲먼저 벡터
와 스칼라 에 대하여 성질 1) 의 스칼라 곱이 보존됨을 성립함을 보이자. 즉, 다음을 보이자. 이면 이므로 성립한다. 가 일차종속이므로 가 로 정의되고,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이기 때문이다. 인 경우를 살펴보자.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와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의 관계는 이렇다. 두 벡터 가 이루는 각 에 대하여 평행사변형의 높이는 이다. 그러므로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밑변 과 높이를 곱하여 이다. 반면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밑변 가 로 변형된 것이므로 이다. 그러므로 이다. 의 평행사변형의 향과 의 평행사변형의 향의 관계는 이렇다. 로 두면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이로써
가 성질 1) 의 스칼라 곱에 대한 선형성을 만족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같은 변으로 구성된 평행사변형은 선분이 되어 넓이가
이 된다. 즉, 이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이로써
가 성질 2) 를 만족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제 성질 1) 의 벡터합을 증명하자. 즉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자. 이면 평행사변형의 넓이가 이 되므로 자명하게 성립한다. 를 가정하자. 와 일차독립인 벡터 를 아무거나 선정하면 이므로 정리 1.10 따름정리 2 에 의하여 는 의 기저가 된다. 그러므로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스칼라 가 존재한다.그러므로 성질 2)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같은 논리로 다음을 증명할 수 있다.
이로써
가 성질 1) 의 벡터합을 만족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 성질 3) 을 증명하자.
의 평행사변형은 정사각형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즉,
이다. 이로써 모든 증명이 끝났다. ■
Determinants✔
소행렬식(minor)
-
예시
여인수(cofactor)
스칼라
여인수 전개(cofactor expansion, 라플라스 전개, Laplace expansion)
- 즉,
의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는 의 행의 각 성분에 여인수를 곱하여 더한 결과이다.
행렬식(determinant)
행렬
-
행렬 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이는 연립 일차 방정식의 풀이를 연구하다가
의 값에 따라 연립 방정식의 해가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관찰에 의하여 정의되었다. -
의 행 열에 대한 여인수를 로 표기하면 의 행렬식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즉,
의 행렬식은 의 1행의 각 성분에 여인수를 곱하여 더한 결과이다. 이는 행렬의 행렬식이란 1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라는 것을 말해준다. -
예시
에 대한 1행의 여인수 전개는 다음과 같다. 행렬의 행렬식 정의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eterminants of Identity Matrix✔
-
증명
일 때 이다. 일 때 을 가정하자. 를 항등행렬이라고 하자. 그러면 이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Properties of Determinant✔
정리 4.3
-
이 정리는 2형 기본행연산과 행렬식 사이의 관계를 말해준다. 즉, 위 정리에서
으로 두면 정리 4.3 따름정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이는 행렬
의 한 행에 스칼라 를 곱하여 얻은 행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의미한다. -
증명
일 때 자명하게 성립한다. ▲ 와 행렬에 대하여 성립함을 가정하자. 행렬 의 각 행 과 인 과 와 스칼라 에 대하여 로 두자. 의 행을 로 바꾼 행렬을 각각 로 두면 를 보이면 증명이 끝난다. 일 경우를 증명해보자. 의 1행은 다음과 같다.이는
임을 뜻한다. 또한 는 행을 제외하고 서로 같으므로 이다. 그러므로 는 다음과 같다.그러므로
일 때 행렬에 대하여 본 정리가 성립한다. ▲ 인 경우 에 대하여 는 행을 제외한 나머지 행이 서로 같다. 의 행은 다음과 같다.이는
의 행과 의 행의 배와의 합이다. 는 행렬이므로 가정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행을 제외하면 는 서로 같으므로 이다. 따라서 는 다음과 같다.그러므로
행렬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
정리 4.3 따름정리
행렬
-
증명
스칼라
에 대하여 정리 4.3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4.3 보조정리 1
-
행렬식은 정사각행렬의 1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 정의되었지만, 이 정리는 정사각행렬이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임의의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도 행렬식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일 때를 살펴보자. 행렬 의 행이 인 어떤 에 대하여 이면 임을 보이면 된다. 행이 일 경우, 행이 일 경우, 행이 일 경우, 행이 일 경우에 각각 다음과 같이 성립한다.그러므로
일 때 성립한다. ▲ 일 때 행렬에 대하여 성립함을 가정하자.행렬
의 행이 인 어떤 에 대하여 이면 임을 보이면 된다. 이면 이고 의 나머지 1행의 성분들은 모두 이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일 때 성립한다. ▲ 을 가정하자. 행렬 를 의 행, 행, 열, 열을 제거하여 얻은 행렬이라고 하자.각
에 대하여 의 행은 다음과 같은 벡터이다. 는 위 벡터가 행에 있는 행렬이다. 행렬 에서 을 제거하는 것은 의 행을 제거하는 것이다. 의 경우 행렬 에서 을 제거하는 것은 에서 를 제거하는 것인데 반해 의 경우 행렬 에서 을 제거하는 것은 에서 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리 4.3 따름정리와 가정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다. 다음이 성립한다.중괄호 안의 식은
의 1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일 때 성립한다. ■
Redefining the Determinant✔
정리 4.4
-
이 정리는 행렬식을 1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의의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 구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정리 4.8 에 의하여 임의의 열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도 행렬식을 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증명
일 때 행렬식의 정의와 같으므로 증명할 것이 없다. ▲ 일 때를 증명해보자. 에 대하여 의 행을 로 대체한 행렬을 라고 하자. 정리 4.3 은 행렬식의 덧셈과 스칼라곱 대한 선형성을 보장해주므로 다음이 성립한다.정리 4.3 보조정리 1 은
행이 인 에 대하여 임을 말해준다. 와 는 행을 제외하고 서로 같기 때문에 이다. 그러므로 이고, 이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4.4 따름정리
-
증명
일 때 자명하게 성립한다. ▲ 일 때 행렬에 대하여 정리가 성립함을 가정하자. 서로 같은 두 행을 행, 행이라 하자. 가 아니고 인 에 대하여 정리 4.4 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를 할 수 있다. 는 행렬이고 서로 다른 두 행( 행, 행)이 같으므로 가정에 의하여 이다. 그러므로 이다. ■
정리 4.5
행렬
-
이 정리는 1형 기본행연산과 행렬식 사이의 관계를 말해준다.
-
증명
의 행 에 대하여 인 행과 행을 교환하여 얻은 행은 다음과 같다. 의 행, 행을 로 바꾼 행렬은 정리 4.4 따름정리에 의하여 행렬식이 이 된다. 또한 정리 4.3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즉,
이다. ■
정리 4.6
행렬
-
이 정리는 3형 기본행연산과 행렬식 사이의 관계를 말해준다.
-
증명
의 행에 행의 배를 더하여 얻은 행렬을 라 하자. 의 행을 , 의 행을 이라 하자. 다음이 성립한다. 의 행을 로 바꾼 행렬을 라 하면 이다. 의 행에 정리 4.3 을 적용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Determinant and Rank✔
정리 4.6 따름정리
-
정리 4.2 는
행렬이 가역인 것과 행렬식이 이 아닌 것은 동치임을 말해준다. 이는 행렬에 일반화된다. 이 정리는 행렬이 가역이면 행렬식이 이 아님을 말해준다. 정리 4.7 의 따름정리는 그 역을 증명해준다. -
증명
이면 의 행 은 일차종속이다. 그러므로 어떤 행 을 다음과 같이 다른 행들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인 에 대하여 의 행에 행의 배를 더하여 얻은 행렬 는 이므로 정리 4.3 따름정리에 의하여 이다. 정리 4.6 에 의하여 이다. ■
Determinant and Elementary Operation✔
기본행[열]연산과 행렬식의 관계
기본행[열]연산과
-
의 두 행[열]을 교환하여 얻은 행렬 에 대하여 이다. -
의 한 행[열]에 영이 아닌 스칼라 를 곱하여 얻은 행렬 에 대하여 이다. -
의 한 행[열]에 다른 행[열]의 스칼라 배를 더하여 얻은 행렬 에 대하여 이다.
-
증명
정리 4.3(2형 기본행연산과 행렬식의 관계), 정리 4.5(1형 기본행연산과 행렬식의 관계), 정리 4.6(3형 기본행연산과 행렬식의 관계) 에 의하여 증명된다.
Determinant of Upper Triangular Matrix✔
문제 4.2-23
상삼각행렬
-
정사각행렬은 1형과 3형 기본행연산을 통하여 상삼각행렬이 된다. 그러므로 정사각행렬의 행렬식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정리들은 여인수 전개를 통해 행렬식을 귀납적으로 구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행렬식을 효과적으로 구할 수 있도록 기본연산과 행렬식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들이었다.
그리고 이 정리는 상삼각행렬의 행렬식이 쉽게 구해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줌으로써 기본연산의 목표를 상삼각행렬을 만드는 것으로 두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알려준다.
행렬의 행렬식을 구하기 위해 여인수 전개를 사용하면 번 이상의 곱셈이 필요한데 비해 기본행연산으로 행렬식을 계산하면 번의 곱셈이 필요하다. -
증명
이면 행렬은 상삼각행렬이므로 이다. ■ 에서 성립함을 가정하고 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자. 상삼각행렬 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인 의 1열은 영열(zero column) 이다. 1열을 다른 열들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고, 정리 4.6 따름정리에 의하여 이다. 그러나 은 상삼각행렬이고 에서 정리가 성립하므로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안 좋은 증명(이렇게 증명하는 건 대각성분이
이 아닐 거라는 가정이 필요하다.)상삼각행렬
는 다음과 같다. 에 기본행연산을 적용하여 를 항등행렬로 바꿀 수 있다.위 과정은 다음 연산을 반복한 것에 불과하다.
-
행에 스칼라를 곱한 것을 행에 더하여 를 제외한 열의 성분들을 으로 만든다. -
행에 스칼라를 곱하여 를 로 만든다.
이므로 기본행연산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역추적을 해보자. 를 에 기본행연산을 번 적용한 행렬이라고 하자.-
먼저
행에 스칼라 를 곱했다. 이다. -
행의 스칼라배를 행에 더하여 1행 2열의 성분을 으로 만들었다. 이다. -
행에 스칼라 를 곱했다. 이다. -
이를 통하여 행렬식
에 대각 성분의 곱셈의 역원이 계속해서 곱해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예시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삼각행렬
-
증명
상삼각행렬일 경우 문제 4.2-23 에서 증명이 끝났다. ▲
하삼각행렬일 경우 문제 4.2-23 의 증명과정과 거의 비슷하게 증명 가능하다. ■
Determinant of Elementary Matrix✔
기본행렬의 행렬식(Determinant of Elementary Matrix)
-
의 두 행의 위치를 바꾸어 얻은 기본행렬 에 대하여 이다. -
의 한 행에 영이 아닌 스칼라 를 곱하여 얻은 기본행렬 에 대하여 이다. -
의 한 행에 다른 행의 스칼라 배를 더하여 얻은 기본행렬 에 대하여 이다.
-
증명
행렬식과 기본행연산의 관계와
에 의하여 바로 증명된다. ■
정리 4.7
-
이 정리는 행렬식이 곱을 보존하는 함수임을 말해준다.
-
증명
가 의 두 행의 위치를 바꾸어 얻은 기본행렬이면 인데, 정리 3.1 에 의하여 행렬 는 의 두 행을 바꾼 것이다. 그러면 정리 4.5 에 의하여 이다. 가 의 한 행에 영이 아닌 스칼라 를 곱하여 얻은 기본행렬이면 이다. 정리 3.1 에 의하여 행렬 는 의 한 행에 스칼라 를 곱한 것이다. 그러면 정리 4.3 에 의하여 이다. 가 의 한 행에 다른 행의 스칼라 배를 더하여 얻은 기본행렬 기본행렬이면 이다. 정리 3.1 에 의하여 행렬 는 의 한 행에 다른 행의 스칼라 배 를 곱한 것을 더하여 얻은 것이다. 그러면 정리 4.6 에 의하여 이다.이렇게
가 기본행렬일 경우 정리가 성립한다. ▲정리 4.6 따름정리 에 의하여
이면 이다. 정리 3.7 에 의하여 이므로 이다. 따라서 이다. ▲ 이면 는 가역이다. 그러므로 는 기본행렬의 곱이다. 로 두자. 기본행렬에 대하여 본 정리를 가정할 수 있으므로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므로
일 때 정리가 성립한다. ■
정리 4.7 따름정리
-
는 가역이다. 이 경우 이다. -
-
증명
가 가역이 아니면 이므로 이다. 가 가역이면 다음이 성립한다.이는
를 뜻한다. ■
문제 4.2-29
기본행렬
-
증명
의 행과 행을 교환하여 얻은 행렬 는 의 행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의 행 은 벡터 의 번째 성분으로 구성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모든 행이 서로 같으므로
이다. 그러므로 기본행연산 1형을 한 번 적용한 기본행렬의 경우 정리가 자명하게 성립한다. ▲ 의 행에 스칼라 를 곱하여 얻은 행렬 는 의 행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의 행 은 벡터 의 번째 성분으로 구성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모든 행이 서로 같으므로
이다. 그러므로 기본행연산 2형을 한 번 적용한 기본행렬의 경우 정리가 자명하게 성립한다. ▲ 의 행에 스칼라 를 곱하여 행에 더하여 얻은 행렬 는 의 행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의 행 은 벡터 의 번째 성분으로 구성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가 의 행에 스칼라 를 곱하여 행에 더한 행렬인데 비해 는 행에 스칼라 를 곱해 행에 더한 행렬임을 알 수 있다. 가 상삼각행렬임을 가정하면 이다. 는 하삼각행렬이므로 이다. 가 하삼각행렬이고 가 상삼각행렬일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기본행연산 3형을 한 번 적용한 기본행렬의 경우 정리가 성립한다. ▲이제 기본행연산을 한번 적용한 기본행렬의 행렬식이 전치행렬의 행렬식과 같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이제 임의의 기본행렬
를 생각하자. 기본행렬은 가역이고 가역은 기본행렬의 곱이다. 그러므로 다음을 만족하는 에 기본행연산을 한번 적용한 기본행렬 가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시킨다.기본행연산을 한번만 적용한 기본행렬의 행렬식이 전치행렬의 행렬식이 같다는 것과 정리 4.7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로써 모든 증명이 끝났다. ■
Determinant of Transpose✔
정리 4.8
-
지금까지의 정리들은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 기본행연산과 행렬식의 관계 등등 행의 관점에서 행렬식을 연구한 결과이다. 그러나 이 정리는 지금까지의 정리들이 열의 관점에서도 그대로 성립함을 말해준다.
의 행이 에서는 열이기 때문이다.즉, 열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도 행렬식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기본행연산 대신 기본열연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본열연산에 따른 행렬식의 변화는 기본행연산에 따른 행렬식의 변화와 같기 때문이다.
-
증명
가 가역이 아니면 이다. 정리 3.6 따름정리 2 에 의하여 이므로 도 가역이 아니다. 정리 4.6 따름정리 에 의하여 이다. ▲ 가 가역이면 는 기본행렬의 곱이다. 으로 두면 문제 4.2-29 와 정리 4.7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이로써 모든 증명이 끝났다. ■
열에 의한 행렬식
Determinant of Submatrix✔
문제 4.3-20
정사각행렬
-
증명
에 대하여 를 행렬 라고 하자. 이면 문제 4.2-23 에 의하여 이다. ▲ 에서 성립함을 가정하고 에서 정리를 증명해보자. 이다. 왜냐하면 의 행이 영행(zero row)이 되므로 정리 4.3 따름정리에 따라 행렬식이 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에서 정리가 성립하므로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문제 4.3-21
정사각행렬
-
증명
가 가역이 아니면 의 행집합은 일차종속이다. 이는 의 행집합이 일차종속임을 뜻하고 결국 이 가역이 아님을 뜻한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가 가역이면 다음이 성립한다.문제 4.3-20 과 정리 4.7 따름정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Cramer's Rule✔
정리 4.9 Cramer's Rule
-
이 정리를
와 같이 정의된 함수로 표현할 수 있나? -
증명
이면 정리 4.7 따름정리 에 의하여 는 가역이다. 그러면 정리 3.10 에 의하여 는 유일한 해를 가진다. 에 대하여 의 열을 라고 하고 는 의 열을 로 바꾼 행렬이라 하자. 그러면 의 열은 일 때 를 에 곱하는 것과 같으므로 이다. 반면 이면 이다. 그러므로 이다. 의 행은 번째 성분이 이고 나머지는 이다. 그러므로 의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에 의한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정리 4.7 은 행렬식의 곱의 보존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이다. ■ -
예시
다음과 같이 행렬표현으로 나타낸 연립일차방정식
을 풀어보자. 이므로 정리를 사용할 수 있다. 정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유일한 해가 존재한다.
n-dimensional volume of parallelepiped✔
나란히꼴의
행렬
-
정사각행렬의 행렬식이 기하학에서 평행사변형의 넓이로 해석되었듯이 정사각행렬의 행렬식은 차원 나란히꼴의 부피로 해석된다. -
증명
-
예시
행렬
의 행렬식의 절댓값은 이다. 따라서 벡터 을 이웃한 변으로 가지는 직육면체의 부피는 이다.실제로 다음 그림을 보면 해당 평행육면체의 세 변의 길이는
이므로 부피는 이다.
Determinant of Similar Matrices✔
문제 4.3-15
두 행렬
-
증명
가 닮음이면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