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terminants

Determinants of 2 × 2 Matrix

2×22 \times 2 행렬의 행렬식(Determinants of 2×22 \times 2 Matrix)

2×22 \times 2 행렬 A=(abcd)A = \begin{pmatrix} a&b\\ c&d\\ \end{pmatrix} 에 대하여 행렬식 det:F2×2F\det: \mathbf{F}^{2 \times 2} \to \mathbf{F}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 함수이다.

det(A)=adbc \det (A) = ad - bc

Properties of Determinants of 2 × 2 Matrix

함수 det:F2×2F\det : \mathbf{F}^{2 \times 2} \to \mathbf{F} 은 선형이 아니다.

  • 증명

    행렬 A=(1234),B=(3264),A+B=(4498)A = \begin{pmatrix} 1&2\\ 3&4\\ \end{pmatrix}, B = \begin{pmatrix} 3&2\\ 6&4\\ \end{pmatrix}, A+B = \begin{pmatrix} 4&4\\ 9&8\\ \end{pmatrix}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A)=2,det(B)=0,det(A+B)=4 \det(A) = -2, \det(B) = 0 , \det(A+B) = -4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det(A+B)det(A)+det(B)\det (A+B) \neq \det (A) + \det (B)

    그러므로 함수 det\det 은 선형이 아니다. ■

정리 4.1

함수 det:F2×2F\det: \mathbf{F}^{2 \times 2} \to \mathbf{F}2×22 \times 2 행렬의 한 행이 고정되었을 때, 나머지 행에 대하여 선형이다. 즉, u,v,wF2u, v, w \in \mathbf{F} ^{2} 와 스칼라 kk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det(u+kvw)=det(uw)+kdet(vw)\det \begin{pmatrix} u+kv\\ w\\ \end{pmatrix} = \det \begin{pmatrix} u\\ w\\ \end{pmatrix} + k \det \begin{pmatrix} v\\ w\\ \end{pmatrix}

  2. det(wu+kv)=det(wu)+kdet(wv)\det \begin{pmatrix} w\\ u+kv\\ \end{pmatrix} = \det \begin{pmatrix} w\\ u\\ \end{pmatrix} + k \det \begin{pmatrix} w\\ v\\ \end{pmatrix}

  • 이 정리는 함수 det:F2×2F\det: \mathbf{F}^{2 \times 2} \to \mathbf{F} 가 선형이 아니지만, 그래도 선형적 성질을 갖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1:

    u=(a1,a2),v=(b1,b2),w=(c1,c2)F2u = (a_1, a_2), v = (b_1, b_2), w = (c_1, c_2) \in \mathbf{F} ^{2} 와 스칼라 kk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uw)+kdet(vw)=det(a1a2c1c2)+kdet(b1b2c1c2)=(a1+kb1)c2(a2+kb2)c1=det(a1+kb1a2+kb2c1c2)=det(u+kvw) \begin{align}\begin{split} \det \begin{pmatrix} u\\ w\\ \end{pmatrix} + k \det \begin{pmatrix} v\\ w\\ \end{pmatrix} &= \det \begin{pmatrix} a_1&a_2\\ c_1&c_2\\ \end{pmatrix} + k \det \begin{pmatrix} b_1&b_2\\ c_1&c_2\\ \end{pmatrix} \\ &= (a_1 + kb_1)c_2 - (a_2 + kb_2)c_1 \\ &= \det \begin{pmatrix} a_1+kb_1&a_2+kb_2\\ c_1&c_2\\ \end{pmatrix} \\ &= \det \begin{pmatrix} u+kv\\ w\\ \end{pmatrix} \end{split}\end{align} \tag*{}

    2:

    1) 과 비슷하게 증명된다. ■

정리 4.2

행렬 AF2×2A \in \mathbf{F}^{2 \times 2} 에 대하여 다음은 동치이다.

  1. det(A)0\det(A) \neq 0

  2. AA 는 가역이고, A1=1det(A)(A22A12A21A11)A ^{-1} = \dfrac{1}{\det(A) }\begin{pmatrix} A_{22}&-A_{12}\\ -A_{21}&A_{11}\\ \end{pmatrix} 이다.

  • 증명

    det(A)0\det(A) \neq 0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된 행렬 MM 에 대하여 AM=MA=IAM=MA=I 가 성립함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M=1det(A)(A22A12A21A11) M = \frac{1}{\det(A) } \begin{pmatrix} A_{22}&-A _{12}\\ -A_{21}&A _{11}\\ \end{pmatrix}

    이는 AA 가 가역이고 M=A1M = A ^{-1} 임을 뜻한다. ▲

    역으로 다음과 같은 가역행렬 AA 의 존재를 가정하자.

    A=(A11A12A21A22) A = \begin{pmatrix} A _{11}&A _{12}\\ A _{21}&A _{22}\\ \end{pmatrix}

    2×22 \times 2 행렬 AA 가 가역이면 rank(A)=2\operatorname{rank} (A) = 2 이다. 이는 A110A210A _{11} \neq 0 \lor A _{21} \neq 0 을 뜻한다. A110A _{11} \neq 0 를 가정하면 AA 에 기본연산을 적용하여 다음 행렬을 얻는다.

    (A11A120A22A12A21A11) \begin{pmatrix} A _{11}& A _{12}\\ 0& A _{22} - \dfrac{A _{12} A _{21}}{A _{11}}\\ \end{pmatrix}

    정리 3.4 따름정리 에 의하여 기본연산은 행렬의 랭크를 보존한다. 이는 다음을 뜻한다.

    A22A12A21A110A _{22} - \dfrac{A _{12} A _{21}}{A _{11}} \neq 0

    즉, det(A)=A11A22A12A210\det(A) = A _{11}A _{22} - A _{12}A _{21} \neq 0 이다. A210A _{21} \neq 0 를 가정해도 비슷한 논리로 det(A)0\det(A) \neq 0 를 얻는다. ■

Area of a parallelogram

각(angle)

R2\R ^{2} 의 두 벡터의 각은 같은 크기와 방향을 가지고 시점이 원점인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이다.

  • 예시

    다음과 그림에서 왼쪽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은 같은 크기와 방향을 가지고 시점이 원점인 두 벡터가 이루는 각이다.

    image

향(orientation)

β={u,v}\beta =\{u,v\}R2\R ^{2} 의 순서기저일 때 β\beta 의 향은 다음과 같은 실수이다.

O(uv)=det(uv)det(uv)=±1 \mathcal{O} \begin{pmatrix} u\\ v\\ \end{pmatrix} = \dfrac{\det \begin{pmatrix} u\\ v\\ \end{pmatrix} }{\bigg |\det \begin{pmatrix} u\\ v\\ \end{pmatrix} \bigg |} = \pm 1
O(e2e1)=1 \mathcal{O} \begin{pmatrix} e_2\\ e_1\\ \end{pmatrix} = -1
O(e1e2)=1 \mathcal{O} \begin{pmatrix} e_1\\ e_2\\ \end{pmatrix} = 1
  • 증명

오른손 좌표계(right-handed coordinate system)

R2\R ^{2} 의 순서기저 {u,v}\{u, v\} 에 대하여 벡터 uu 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θ(0<θ<π)\theta (0 < \theta < \pi) 만큼 회전하여 벡터 vv 에 포갤 수 있으면 좌표계 {u,v}\{u, v\} 는 오른손 좌표계이다.

  • 예시

    image

왼손 좌표계(left-handed coordinate system)

R2\R ^{2} 의 순서기저 {u,v}\{u, v\} 에 대하여 벡터 uu 를 시계 방향으로 θ(0<θ<π)\theta (0 < \theta < \pi) 만큼 회전하여 벡터 vv 에 포갤 수 있으면 좌표계 {u,v}\{u, v\} 는 왼손 좌표계이다.

  • 예시

    image

행렬식 det:F2×2F\det: \mathbf{F}^{2 \times 2} \to \mathbf{F} 와 행렬 A,BF2×2A, B \in \mathbf{F}^{2 \times 2}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AB)=det(A)det(B) \det(AB) = \det(A) \det(B)
  • 증명

문제 4.1-11

함수 δ:F2×2F\delta : \mathbf{F}^{2 \times 2} \to \mathbf{F} 는 다음을 만족한다.

  1. 행렬의 한 행이 고정되어 있을 때, 나머지 행에 대하여 δ\delta 는 선형함수이다.

  2. 행렬 AF2×2A \in \mathbf{F}^{2 \times 2} 의 두 행이 같으면 δ(A)=0\delta (A) = 0 이다.

  3. δ(I2)=1\delta (I_2) = 1

함수 δ\delta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기본행렬 EF2×2E \in \mathbf{F}^{2 \times 2} 에 대하여 δ(E)=det(E)\delta (E) = \det(E) 이다.

  2. 행렬 AF2×2A \in \mathbf{F}^{2 \times 2}, 기본행렬 EF2×2E \in \mathbf{F}^{2 \times 2} 에 대하여 δ(EA)=δ(E)δ(A)\delta (EA) = \delta (E) \delta (A) 이다.

  • 증명

    성질 1) 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

    δ(abcd)=δ(a0cd)+δ(0bcd)=aδ(10cd)+bδ(01cd) \delta \begin{pmatrix} a&b\\ c&d\\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a&0\\ c&d\\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0&b\\ c&d\\ \end{pmatrix} = a\delta \begin{pmatrix} 1&0\\ c&d\\ \end{pmatrix} + b\delta \begin{pmatrix} 0&1\\ c&d\\ \end{pmatrix}

    이때 성질 1), 2), 3) 으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

    aδ(10cd)=aδ(10c0)+aδ(100d)=acδ(1010)+adδ(1001)=0+ad a\delta \begin{pmatrix} 1&0\\ c&d\\ \end{pmatrix} = a\delta \begin{pmatrix} 1&0\\ c&0\\ \end{pmatrix} + a\delta \begin{pmatrix} 1&0\\ 0&d\\ \end{pmatrix} = ac\delta \begin{pmatrix} 1&0\\ 1&0\\ \end{pmatrix} + ad\delta \begin{pmatrix} 1&0\\ 0&1\\ \end{pmatrix} = 0 + ad
    bδ(01cd)=bδ(01c0)+bδ(010d) b\delta \begin{pmatrix} 0&1\\ c&d\\ \end{pmatrix} = b\delta \begin{pmatrix} 0&1\\ c&0\\ \end{pmatrix} + b\delta \begin{pmatrix} 0&1\\ 0&d\\ \end{pmatrix}
    =bcδ(0110)+bdδ(0101)=bcδ(0110)+0 = bc\delta \begin{pmatrix} 0&1\\ 1&0\\ \end{pmatrix} + bd\delta \begin{pmatrix} 0&1\\ 0&1\\ \end{pmatrix} = bc \delta \begin{pmatrix} 0&1\\ 1&0\\ \end{pmatrix} + 0

    또한 성질 1), 2), 3) 으로부터 다음이 성립한다.

    (1111)=(1011)+(0111) \begin{pmatrix} 1&1\\ 1&1\\ \end{pmatrix} = \begin{pmatrix} 1&0\\ 1&1\\ \end{pmatrix}+ \begin{pmatrix} 0&1\\ 1&1\\ \end{pmatrix}
    =(1001)+(1010)+(0110)+(0101) =\begin{pmatrix} 1&0\\ 0&1\\ \end{pmatrix}+ \begin{pmatrix} 1&0\\ 1&0\\ \end{pmatrix}+ \begin{pmatrix} 0&1\\ 1&0\\ \end{pmatrix} + \begin{pmatrix} 0&1\\ 0&1\\ \end{pmatrix}
    =1+0+(0110)+0=0 = 1 + 0 + \begin{pmatrix} 0&1\\ 1&0\\ \end{pmatrix} + 0 = 0

    그러므로 다음을 얻는다.

    δ(abcd)=adbc \delta \begin{pmatrix} a&b\\ c&d\\ \end{pmatrix} = ad - bc

    그러므로 δ=det\delta = \det 이다. 그러므로 AF2×2:δ(A)=det(A)A \in \mathbf{F}^{2 \times 2} : \delta (A) = \det(A) 이다. 조건 1) 은 이것의 특수한 경우이다. ▲

    조건 2) 는 det(AB)=det(A)det(B)\det(AB) = \det(A) \det(B) 에서 바로 나온다. ■

문제 4.1-12

문제 4.1-11 의 함수 δ\deltaAF2×2A \in \mathbf{F}^{2 \times 2} 에 대하여 δ(A)=det(A)\delta (A) = \det(A) 이다.

  • 증명

    문제 4.1-11 의 증명에 의하여 증명이 끝난다.

R2\R ^{2} 의 순서기저 {u,v}\{u, v\} 에 대하여 다음은 동치이다.

  • O(uv)=1\mathcal{O}\begin{pmatrix} u\\ v\\ \end{pmatrix} = 1
  • {u,v}\{u, v\} 가 오른손 좌표계이다.
  • 증명

평행사변형(parallelogram)

원점을 시점으로 하는 벡터 u,vR2u, v \in \R ^{2} 에 대하여 이웃한 두 변 u,vu, v 를 가지는 평행사변형을 u,vu, v 의 평행사변형이라 한다.

  • {u,v}\{u, v\} 가 일차종속(서로 평행)이면 u,vu, v 의 평행사변형은 선분이 된다.

  • 예시

    image

u,vu, v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det(uv)\bigg |\det\begin{pmatrix} u\\ v\\ \end{pmatrix} \bigg | 이다.

  • 예시

    u=(1,5),v=(4,2)u = (-1, 5), v = (4, -2)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det(uv)=det(1542)=18 \bigg |\det \begin{pmatrix} u\\ v\\ \end{pmatrix}\bigg | = \bigg |\det \begin{pmatrix} -1&5\\ 4&-2\\ \end{pmatrix} \bigg | = 18
  • 다음 증명은 이 정리가 Rn\R ^{n} 에서도 성립함을 유추할 수 있게 해준다.

  • 증명

    u,vu, v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를 A(uv)\mathcal{A}\begin{pmatrix} u\\ v\\ \end{pmatrix} 라고 두면 향(orientation)의 정의에 의하여 본 정리는 다음과 같다.

    A(uv)=det(uv)=O(uv)det(uv) \mathcal{A}\begin{pmatrix} u\\ v\\ \end{pmatrix} = \bigg |\det\begin{pmatrix} u\\ v\\ \end{pmatrix} \bigg | = \mathcal{O}\begin{pmatrix} u\\ v\\ \end{pmatrix} \cdot \det\begin{pmatrix} u\\ v\\ \end{pmatrix}

    O(uv)=±1\mathcal{O}\begin{pmatrix} u\\ v\\ \end{pmatrix} = \pm 1 이므로 이것을 곱한 식인 다음을 증명해도 된다.

    O(uv)A(uv)=det(uv) \mathcal{O}\begin{pmatrix} u\\ v\\ \end{pmatrix} \mathcal{A}\begin{pmatrix} u\\ v\\ \end{pmatrix} = \det \begin{pmatrix} u\\ v\\ \end{pmatrix}

    이때 δ(uv)=O(uv)A(uv)\delta \begin{pmatrix} u\\ v\\ \end{pmatrix} =\mathcal{O}\begin{pmatrix} u\\ v\\ \end{pmatrix} \mathcal{A}\begin{pmatrix} u\\ v\\ \end{pmatrix} 라고 정의한 다음 δ\delta 가 문제 4.1-11 에서의 3 가지 성질을 만족함을 보이면 문제 4.1-12 에 의하여 δ=det\delta = \det 이 증명되어 모든 증명이 끝난다. ▲

    먼저 벡터 u,vu, v 와 스칼라 cc 에 대하여 성질 1) 의 스칼라 곱이 보존됨을 성립함을 보이자. 즉, 다음을 보이자.

    δ(ucv)=cδ(uv) \delta \begin{pmatrix} u\\ cv\\ \end{pmatrix} = c \delta \begin{pmatrix} u\\ v\\ \end{pmatrix}

    c=0c = 0 이면 δ(ucv)=O(u0)A(u0)=10=0\delta \begin{pmatrix} u\\ cv\\ \end{pmatrix} = \mathcal{O}\begin{pmatrix} u\\ 0\\ \end{pmatrix} \mathcal{A}\begin{pmatrix} u\\ 0\\ \end{pmatrix} = 1 \cdot 0 = 0 이므로 성립한다. (u0)\begin{pmatrix} u\\ 0\\ \end{pmatrix} 가 일차종속이므로 O\mathcal{O}11 로 정의되고, u,0u, 0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00 이기 때문이다.

    c0c \neq 0 인 경우를 살펴보자. u,vu, v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와 u,cvu, cv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의 관계는 이렇다. 두 벡터 u,vu, v 가 이루는 각 θ=arccos(abab)\theta = \arccos \bigg (\dfrac{a \cdot b}{\|a\|\|b\|}\bigg ) 에 대하여 평행사변형의 높이는 usinθ\|u\| \sin \theta 이다. 그러므로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밑변 v\|v\| 과 높이를 곱하여 A(uv)=vusinθ\mathcal{A}\begin{pmatrix} u\\ v\\ \end{pmatrix} = \|v\|\|u\| \sin \theta 이다. 반면 u,cvu, cv 의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밑변 vvcvcv 로 변형된 것이므로 cvusinθ=cvusinθ=cA(uv)\|cv\|\|u\| \sin \theta = |c|\|v\|\|u\| \sin \theta= |c| \mathcal{A}\begin{pmatrix} u\\ v\\ \end{pmatrix} 이다. 그러므로 A(ucv)=cA(uv)\mathcal{A}\begin{pmatrix} u\\ cv\\ \end{pmatrix} = |c| \mathcal{A}\begin{pmatrix} u\\ v\\ \end{pmatrix} 이다.

    u,vu, v 의 평행사변형의 향과 u,cvu, cv 의 평행사변형의 향의 관계는 이렇다. u=(a1,a2),v=(b1,b2)u = (a_1, a_2), v = (b_1, b_2) 로 두면 det(uv)=a1b2a2b1\det \begin{pmatrix} u\\ v\\ \end{pmatrix} = a_1b_2 - a_2b_1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O(uv)=a1b2a2b1a1b2a2b1 \mathcal{O}\begin{pmatrix} u\\ v\\ \end{pmatrix} = \dfrac{a_1b_2 - a_2b_1}{|a_1b_2 - a_2b_1|}
    O(ucv)=ca1b2ca2b1ca1b2ca2b1=cca1b2a2b1a1b2a2b1 \mathcal{O}\begin{pmatrix} u\\ cv\\ \end{pmatrix} = \dfrac{ca_1b_2 - ca_2b_1}{|ca_1b_2 - ca_2b_1|} = \frac{c}{|c|}\dfrac{a_1b_2 - a_2b_1}{|a_1b_2 - a_2b_1|}

    그러므로 O(ucv)=ccO(uv)\mathcal{O}\begin{pmatrix} u\\ cv\\ \end{pmatrix} = \dfrac{c}{|c|}\mathcal{O}\begin{pmatrix} u\\ v\\ \end{pmatrix}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δ(ucv)=O(ucv)A(ucv)=ccO(uv)cA(uv) \delta \begin{pmatrix} u\\ cv\\ \end{pmatrix} = \mathcal{O}\begin{pmatrix} u\\ cv\\ \end{pmatrix}\mathcal{A}\begin{pmatrix} u\\ cv\\ \end{pmatrix} = \frac{c}{|c|}\mathcal{O}\begin{pmatrix} u\\ v\\ \end{pmatrix}|c| \mathcal{A}\begin{pmatrix} u\\ v\\ \end{pmatrix}
    =cO(uv)A(uv)=cδ(uv) = c \cdot \mathcal{O}\begin{pmatrix} u\\ v\\ \end{pmatrix}\mathcal{A}\begin{pmatrix} u\\ v\\ \end{pmatrix} = c \cdot \delta \begin{pmatrix} u\\ v\\ \end{pmatrix}

    이로써 δ\delta 가 성질 1) 의 스칼라 곱에 대한 선형성을 만족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같은 변으로 구성된 평행사변형은 선분이 되어 넓이가 00 이 된다. 즉, A(uu)=0\mathcal{A}\begin{pmatrix} u\\ u\\ \end{pmatrix} = 0 이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δ(uu)=O(uu)A(uu)=0 \delta \begin{pmatrix} u\\ u\\ \end{pmatrix} = \mathcal{O}\begin{pmatrix} u\\ u\\ \end{pmatrix} \mathcal{A}\begin{pmatrix} u\\ u\\ \end{pmatrix} = 0

    이로써 δ\delta 가 성질 2) 를 만족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이제 성질 1) 의 벡터합을 증명하자. 즉 u,v1,v2R2u, v_1, v_2 \in \R ^{2}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자.

    δ(uv1+v2)=δ(uv1)+δ(uv2) \delta \begin{pmatrix} u\\ v_1 + v_2\\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u\\ v_1\\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u\\ v_2\\ \end{pmatrix}

    u=0u = 0 이면 평행사변형의 넓이가 00 이 되므로 자명하게 성립한다. u0u \neq 0 를 가정하자. uu 와 일차독립인 벡터 wR2w \in \R ^{2} 를 아무거나 선정하면 dim(R2)=2\dim (\R ^{2}) = 2 이므로 정리 1.10 따름정리 2 에 의하여 {u,w}\{u, w\}R2\R ^{2} 의 기저가 된다. 그러므로 i{1,2}i \in \{1, 2\}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스칼라 ai,bia_i, b_i 가 존재한다.

    vi=aiu+biw v_i = a_iu + b_iw

    그러므로 성질 2)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δ(uv1+v2)=δ(u(a1+a2)u+(b1+b2)w)=(b1+b2)(uw)=δ(ua1u+b1w)+δ(ua2u+b2w)=δ(uv1)+δ(uv2) \begin{align}\begin{split} \delta \begin{pmatrix} u\\ v_1 + v_2\\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u\\ (a_1+a_2)u + (b_1+b_2)w\\ \end{pmatrix} = (b_1 + b_2) \begin{pmatrix} u\\ w\\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u\\ a_1u + b_1w\\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u\\ a_2u + b_2w\\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u\\ v_1\\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u\\ v_2\\ \end{pmatrix} \end{split}\end{align} \tag*{}

    같은 논리로 다음을 증명할 수 있다.

    δ(v1+v2u)=δ(v1u)+δ(v2u) \delta \begin{pmatrix} v_1 + v_2\\ u\\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v_1\\ u\\ \end{pmatrix} + \delta \begin{pmatrix} v_2\\ u\\ \end{pmatrix} \tag*{}

    이로써 δ\delta 가 성질 1) 의 벡터합을 만족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

    마지막으로 성질 3) 을 증명하자. e1,e2e_1, e_2 의 평행사변형은 정사각형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δ(e1e2)=O(e1e2)A(e1e2)=11=1 \delta \begin{pmatrix} e_1\\ e_2\\ \end{pmatrix} = \mathcal{O}\begin{pmatrix} e_1\\ e_2\\ \end{pmatrix}\mathcal{A}\begin{pmatrix} e_1\\ e_2\\ \end{pmatrix}= 1 \cdot 1 = 1

    즉, δ(I2)=1\delta (I_2) = 1 이다. 이로써 모든 증명이 끝났다. ■

Determinants

소행렬식(minor)

n2n \geq 2 일 때 행렬 AFn×nA \in \mathbf{F}^{n \times n} 에 대하여 AAii 행과 jj 열을 제거하여 얻은 (n1)×(n1)(n - 1) \times (n - 1) 행렬을 (i,j)(i, j)-소행렬식 A~ij\tilde{A} _{ij} 라고 한다.

  • 예시

    A=(123456789)A~11=(5689)A = \begin{pmatrix} 1&2&3\\ 4&5&6\\ 7&8&9\\ \end{pmatrix} \implies \tilde{A} _{11} = \begin{pmatrix} 5&6\\ 8&9\\ \end{pmatrix}

여인수(cofactor)

스칼라 (1)i+jdet(A~ij)(-1) ^{i+j}\det(\tilde{A}_{ij})AAiijj 열 성분에 대한 여인수라고 한다.

여인수 전개(cofactor expansion, 라플라스 전개, Laplace expansion)

AAii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det(A)=j=1n(1)i+jAijdet(A~ij) \det(A) = \sum_{j=1}^{n}(-1) ^{i + j}A _{ij} \cdot \det(\tilde{A}_{ij})
  • 즉, AAii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는 AAii 행의 각 성분에 여인수를 곱하여 더한 결과이다.

행렬식(determinant)

행렬 AFn×nA \in \mathbf{F}^{n \times n} 에 대하여 행렬식 det:Fn×nF\det: \mathbf{F}^{n \times n} \to \mathbf{F} 은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det(A)={A11n=1j=1n(1)1+jA1jdet(A~1j)n2 \det(A) = \begin{cases} A _{11} & n = 1\\ \displaystyle \sum_{j=1}^{n}(-1) ^{1+j}A _{1j} \cdot \det(\tilde{A}_{1j}) &n \geq 2\\ \end{cases}
  • 2×22 \times 2 행렬 A=(abcd)A = \begin{pmatrix} a&b\\ c&d\\ \end{pmatrix} 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detA=adbc \det A = ad - bc

    이는 연립 일차 방정식의 풀이를 연구하다가 adbcad - bc 의 값에 따라 연립 방정식의 해가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관찰에 의하여 정의되었다.

  • AAiijj 열에 대한 여인수를 cij=(1)i+jdet(A~ij)c _{ij} = (-1) ^{i + j}\det(\tilde{A}_{ij}) 로 표기하면 AA 의 행렬식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det(A)=j=1nA1jc1j \det(A) = \sum_{j=1}^{n}A _{1j}c _{1j}

    즉, AA 의 행렬식은 AA 의 1행의 각 성분에 여인수를 곱하여 더한 결과이다. 이는 행렬의 행렬식이란 1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라는 것을 말해준다.

  • 예시

    AF2×2A \in \mathbf{F}^{2 \times 2} 에 대한 1행의 여인수 전개는 다음과 같다.

    det(A)=A11(1)1+1det(A~11)+A12(1)1+2det(A~12)=A11A22A12A21 \det(A) = A _{11}(-1) ^{1 + 1}\det(\tilde{A}_{11}) + A _{12}(-1) ^{1 + 2}\det(\tilde{A}_{12}) = A _{11}A _{22} - A _{12}A _{21}

    2×22 \times 2 행렬의 행렬식 정의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Determinants of Identity Matrix

nN:det(In)=1 n \in \N : \det(I_n) = 1
  • 증명

    n=1n = 1 일 때 In=(1)det(In)=1I_n = (1) \implies \det(I_n) = 1 이다.

    n2n \geq 2 일 때 det(In1)=1\det(I _{n-1}) = 1 을 가정하자. IIn×nn \times n 항등행렬이라고 하자. 그러면 I~11=In1\tilde{I} _{11} = I _{n-1} 이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det(I)=(1)2(1)det(I~11)+(1)3(0)det(I~12)++(1)1+n(0)det(I~1n)=1+0++0=1 \begin{align}\begin{split} \det(I) &= (-1) ^{2}(1) \det(\tilde{I}_{11}) + (-1) ^{3}(0) \det(\tilde{I}_{12}) + \dots + (-1) ^{1+n}(0) \det(\tilde{I}_{1n}) \\ &= 1 + 0 + \dots + 0 = 1 \\ \end{split}\end{align} \tag*{}

Properties of Determinant

정리 4.3

n×nn \times n 행렬의 행렬식은 어떤 행을 제외한 나머지 행들이 고정되었을 때, 그 행에 대하여 선형함수이다. 즉, 1rn1 \leq r \leq n, 스칼라 kk, 벡터 u,vFnu, v \in \mathbf{F}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a1ar1u+kvar+1an)=det(a1ar1uar+1an)+kdet(a1ar1var+1an) \det \begin{pmatrix} a_1\\ \vdots \\ a _{r-1}\\ u+kv\\ a _{r+1}\\ \vdots \\ a_n \\ \end{pmatrix} = \det \begin{pmatrix} a_1\\ \vdots \\ a _{r-1}\\ u\\ a _{r+1}\\ \vdots \\ a_n \\ \end{pmatrix} + k \det \begin{pmatrix} a_1\\ \vdots \\ a _{r-1}\\ v\\ a _{r+1}\\ \vdots \\ a_n \\ \end{pmatrix}
  • 이 정리는 2형 기본행연산과 행렬식 사이의 관계를 말해준다. 즉, 위 정리에서 u=0u=0 으로 두면 정리 4.3 따름정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a1ar1kvar+1an)=kdet(a1ar1var+1an) \det \begin{pmatrix} a_1\\ \vdots \\ a _{r-1}\\ kv\\ a _{r+1}\\ \vdots \\ a_n \\ \end{pmatrix} = k \det \begin{pmatrix} a_1\\ \vdots \\ a _{r-1}\\ v\\ a _{r+1}\\ \vdots \\ a_n \\ \end{pmatrix}

    이는 행렬 AA 의 한 행에 스칼라 kk 를 곱하여 얻은 행렬 BB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의미한다.

    det(A)=kdet(B) \det(A) = k \det(B)
  • 증명

    n=1n = 1 일 때 자명하게 성립한다. ▲

    n2n \geq 2(n1)×(n1)(n - 1) \times (n - 1) 행렬에 대하여 성립함을 가정하자.

    n×nn \times n 행렬 AA 의 각 행 a1,a2,,ana_1, a_2, \dots, a_n1rn1 \leq r \leq nrru=(b1,b2,,bn),v=(c1,c2,,cn)u = (b_1, b_2, \dots, b_n), v = (c_1, c_2, \dots, c_n) 와 스칼라 kk 에 대하여 ar=u+kva_r = u + kv 로 두자. AArr 행을 u,vu, v 로 바꾼 행렬을 각각 B,CB, C 로 두면 det(A)=det(B)+kdet(C)\det(A) = \det(B) + k \det(C) 를 보이면 증명이 끝난다.

    r=1r = 1 일 경우를 증명해보자. AA 의 1행은 다음과 같다.

    a1=u+kv=(b1+kc1,b2+kc2,,bn+kcn) a_1 = u + kv = (b_1+kc_1, b_2+kc_2, \dots, b_n+kc_n)

    이는 A1j=bj+kcj=B1j+kC1jA _{1j} = b_j + kc_j = B _{1j} + k C _{1j} 임을 뜻한다. 또한 A,B,CA, B, C11 행을 제외하고 서로 같으므로 A~1j=B~1j=C~1jdet(A~1j)=det(B~1j)=det(C~1j)\tilde{A}_{1j} = \tilde{B}_{1j} = \tilde{C}_{1j} \iff \det(\tilde{A}_{1j}) = \det(\tilde{B}_{1j}) = \det(\tilde{C}_{1j}) 이다. 그러므로 det(A)\det(A) 는 다음과 같다.

    det(A)=j=1n(1)1+jA1jdet(A~1j)=j=1n(1)1+j(B1j+kC1j)det(A~1j)=j=1n(1)1+jB1jdet(A~1j)+kj=1n(1)1+jC1jdet(A~1j)=j=1n(1)1+jB1jdet(B~1j)+kj=1n(1)1+jC1jdet(C~1j)=det(B)+kdet(C) \begin{align}\begin{split} \det(A) &= \sum_{j=1}^{n}(-1)^{1+j}A _{1j} \cdot \det(\tilde{A}_{1j}) \\ &= \sum_{j=1}^{n}(-1)^{1+j}(B _{1j} + k C _{1j}) \cdot \det(\tilde{A}_{1j}) \\ &= \sum_{j=1}^{n}(-1)^{1+j}B _{1j} \cdot \det(\tilde{A}_{1j}) + k\sum_{j=1}^{n}(-1)^{1+j}C _{1j} \cdot \det(\tilde{A}_{1j}) \\ &= \sum_{j=1}^{n}(-1)^{1+j}B _{1j} \cdot \det(\tilde{B}_{1j}) + k\sum_{j=1}^{n}(-1)^{1+j}C _{1j} \cdot \det(\tilde{C}_{1j}) \\ &= \det(B) + k \det(C) \end{split}\end{align} \tag*{}

    그러므로 n2,r=1n \geq 2, r = 1 일 때 n×nn \times n 행렬에 대하여 본 정리가 성립한다. ▲

    r>1r > 1 인 경우 1jn1 \leq j \leq n 에 대하여 A~1j,B~1j,C~1j\tilde{A}_{1j},\tilde{B}_{1j},\tilde{C}_{1j}r1r - 1 행을 제외한 나머지 행이 서로 같다. A~1j\tilde{A}_{1j}r1r-1 행은 다음과 같다.

    (b1+kc1,,bj1+kcj1,bj+1+kcj+1,,bn+kcn) (b_1+kc_1, \dots, b _{j-1}+kc _{j-1}, b _{j+1} + kc _{j+1}, \dots, b_n + kc_n)

    이는 B~1j\tilde{B}_{1j}r1r-1 행과 C~1j\tilde{C}_{1j}r1r-1 행의 kk 배와의 합이다. B~1j,C~1j\tilde{B}_{1j}, \tilde{C}_{1j}(n1)×(n1)(n - 1) \times (n - 1) 행렬이므로 가정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A~1j)=det(B~1j)+kdet(C~1j) \det(\tilde{A}_{1j}) = \det(\tilde{B}_{1j}) + k \det(\tilde{C}_{1j})

    r1r-1 행을 제외하면 A,B,CA, B, C 는 서로 같으므로 A1j=B1j=C1jA _{1j} = B _{1j} = C _{1j} 이다. 따라서 det(A)\det(A) 는 다음과 같다.

    det(A)=j=1n(1)1+jA1jdet(A~1j)=j=1n(1)1+jA1j(det(B~1j)+kdet(C~1j))=j=1n(1)1+jA1jdet(B~1j)+kj=1n(1)1+jA1jdet(C~1j)=j=1n(1)1+jB1jdet(B~1j)+kj=1n(1)1+jC1jdet(C~1j)=det(B)+kdet(C) \begin{align}\begin{split} \det(A) &= \sum_{j=1}^{n}(-1) ^{1+j}A _{1j} \cdot \det(\tilde{A}_{1j}) \\ &= \sum_{j=1}^{n}(-1) ^{1+j}A _{1j} \cdot ( \det(\tilde{B}_{1j}) + k\det(\tilde{C}_{1j})) \\ &= \sum_{j=1}^{n}(-1) ^{1+j}A _{1j} \cdot \det(\tilde{B}_{1j}) + k\sum_{j=1}^{n}(-1) ^{1+j} A _{1j} \cdot \det(\tilde{C}_{1j}) \\ &= \sum_{j=1}^{n}(-1) ^{1+j}B _{1j} \cdot \det(\tilde{B}_{1j}) + k\sum_{j=1}^{n}(-1) ^{1+j} C _{1j} \cdot \det(\tilde{C}_{1j}) \\ &= \det(B) + k \det(C) \end{split}\end{align} \tag*{}

    그러므로 n×nn \times n 행렬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

정리 4.3 따름정리

행렬 AFn×nA \in \mathbf{F}^{n \times n} 의 어느 행의 모든 성분이 00 이면 det(A)=0\det(A) = 0 이다.

  • 증명

    스칼라 k0k \neq 0 에 대하여 정리 4.3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A)=det(a1ar10+k0ar+1an)=det(a1ar10ar+1an)+kdet(a1ar10ar+1an) \det(A) = \det \begin{pmatrix} a_1\\ \vdots \\ a _{r-1}\\ 0+k \cdot 0\\ a _{r+1}\\ \vdots \\ a_n \\ \end{pmatrix} = \det \begin{pmatrix} a_1\\ \vdots \\ a _{r-1}\\ 0\\ a _{r+1}\\ \vdots \\ a_n \\ \end{pmatrix} + k \cdot \det \begin{pmatrix} a_1\\ \vdots \\ a _{r-1}\\ 0\\ a _{r+1}\\ \vdots \\ a_n \\ \end{pmatrix}
    det(A)=det(A)+kdet(A)kdet(A)=0det(A)=0 \iff \det(A) = \det(A) +k \det(A) \iff k \det(A) = 0 \iff \det(A) = 0 \tag*{■}

정리 4.3 보조정리 1

n2n \geq 2 인 행렬 BFn×nB \in \mathbf{F}^{n \times n}ii 행이 1kn1 \leq k \leq n 인 어떤 kk 에 대하여 eke_k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det(B)=(1)i+kdet(B~ik) \det(B) = (-1)^{i+k}\det(\tilde{B}_{ik})
  • 행렬식은 정사각행렬의 1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 정의되었지만, 이 정리는 정사각행렬이 특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임의의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도 행렬식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n=2n = 2 일 때를 살펴보자. 행렬 BF2×2B \in \mathbf{F}^{2 \times 2}ii 행이 1k21 \leq k \leq 2 인 어떤 kk 에 대하여 eke_k 이면 det(B)=(1)i+kdet(B~ik)\det(B) = (-1)^{i+k}\det(\tilde{B}_{ik}) 임을 보이면 된다.

    11 행이 e1e_1 일 경우, 11 행이 e2e_2 일 경우, 22 행이 e1e_1 일 경우, 22 행이 e2e_2 일 경우에 각각 다음과 같이 성립한다.

    B=(10cd)det(B)=(1)1+1det(B~11)=d B = \begin{pmatrix} 1&0\\ c&d\\ \end{pmatrix} \implies \det(B) = (-1) ^{1 + 1} \det(\tilde{B}_{11}) = d
    B=(01cd)det(B)=(1)1+2det(B~12)=c B = \begin{pmatrix} 0&1\\ c&d\\ \end{pmatrix} \implies \det(B) = (-1) ^{1 + 2} \det(\tilde{B}_{12}) = -c
    B=(ab10)det(B)=(1)2+1det(B~21)=b B = \begin{pmatrix} a&b\\ 1&0\\ \end{pmatrix} \implies \det(B) = (-1) ^{2 + 1} \det(\tilde{B}_{21}) = -b
    B=(ab01)det(B)=(1)2+2det(B~22)=a B = \begin{pmatrix} a&b\\ 0&1\\ \end{pmatrix} \implies \det(B) = (-1) ^{2 + 2} \det(\tilde{B}_{22}) = a

    그러므로 n=2n = 2 일 때 성립한다. ▲

    n>2n > 2 일 때 (n1)×(n1)(n - 1) \times (n - 1) 행렬에 대하여 성립함을 가정하자.

    행렬 BFn×nB \in \mathbf{F}^{n \times n}ii 행이 1kn1 \leq k \leq n 인 어떤 kk 에 대하여 eke_k 이면 det(B)=(1)i+kdet(B~ik)\det(B) = (-1)^{i+k}\det(\tilde{B}_{ik}) 임을 보이면 된다.

    i=1i = 1 이면 B1k=1B _{1k} = 1 이고 BB 의 나머지 1행의 성분들은 모두 00 이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det(B)=j=1n(1)1+jB1jdet(B~1j)=(1)1+kdet(B~1k) \det(B) = \sum_{j=1}^{n}(-1) ^{1+j}B _{1j} \cdot \det(\tilde{B}_{1j}) = (-1) ^{1+k}\det(\tilde{B}_{1k})

    그러므로 n>2,i=1n > 2, i = 1 일 때 성립한다. ▲

    n>2,1<inn > 2, 1 < i \leq n 을 가정하자.

    (n2)×(n2)(n - 2) \times (n - 2) 행렬 CijC _{ij}BB11행, ii행, jj열, kk열을 제거하여 얻은 행렬이라고 하자.

    jj 에 대하여 B~1j\tilde{B}_{1j}i1i - 1 행은 다음과 같은 벡터이다.

    {ek1Fn1j<k0Fn1j=kekFn1j>k \begin{cases} e _{k-1} \in \mathbf{F} ^{n-1} &j < k\\ 0 \in \mathbf{F} ^{n-1} &j = k\\ e _{k} \in \mathbf{F} ^{n-1} &j > k\\ \end{cases}

    B~1j\tilde{B}_{1j} 는 위 벡터가 i1i-1 행에 있는 (n1)×(n1)(n-1) \times (n-1) 행렬이다. 행렬 B~1j\tilde{B}_{1j} 에서 i1i-1 을 제거하는 것은 BBii 행을 제거하는 것이다. j<kj < k 의 경우 행렬 B~1j\tilde{B}_{1j} 에서 k1k-1 을 제거하는 것은 BB 에서 kk 를 제거하는 것인데 반해 j>kj > k 의 경우 행렬 B~1j\tilde{B}_{1j} 에서 kk 을 제거하는 것은 BB 에서 kk 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리 4.3 따름정리와 가정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B~1j)={(1)(i1)+(k1)det(Cij)j<k0j=k(1)(i1)+kdet(Cij)j>k \det(\tilde{B}_{1j}) = \begin{cases} (-1) ^{(i-1)+(k-1)}\det(C _{ij}) & j < k\\ 0 & j = k\\ (-1) ^{(i-1)+k}\det(C _{ij}) & j > k\\ \end{cases}

    nN:(1)n1=(1)n+1n \in \N : (-1) ^{n-1} = (-1) ^{n+1} 이다. 다음이 성립한다.

    det(B)=j=1n(1)1+jB1jdet(B~1j)=j<k(1)1+jB1jdet(B~1j)+j>k(1)1+jB1jdet(B~1j)=j<k(1)1+jB1j{(1)(i1)+(k1)det(Cij)}+j>k(1)1+jB1j{(1)(i1)+kdet(Cij)}=(1)i+k{j<k(1)1+jB1jdet(Cij)+j>k(1)1+(j1)B1jdet(Cij)}=(1)i+k{j<k(1)1+jB1jdet(Cij)+j=k+1n(1)1+(j1)B1jdet(Cij)} \begin{align}\begin{split} \det(B) &= \sum_{j=1}^{n}(-1) ^{1+j}B _{1j} \cdot \det(\tilde{B}_{1j}) \\ &= \sum_{j<k}(-1) ^{1+j}B _{1j} \cdot \det(\tilde{B}_{1j}) +\sum_{j>k}(-1) ^{1+j}B _{1j} \cdot \det(\tilde{B}_{1j}) \\ &= \sum_{j<k}(-1) ^{1+j}B _{1j} \cdot \{(-1) ^{(i-1)+(k-1)}\det(C _{ij}) \} \\ &\qquad + \sum_{j>k}(-1) ^{1+j}B _{1j} \cdot \{(-1) ^{(i-1)+k}\det(C _{ij})\} \\ &= (-1) ^{i+k} \bigg \{\sum_{j<k}(-1) ^{1+j}B _{1j} \cdot \det(C _{ij}) + \sum_{j>k}(-1) ^{1+(j-1)}B _{1j} \cdot \det(C _{ij}) \bigg \} \\ &= (-1) ^{i+k} \bigg \{\sum_{j<k}(-1) ^{1+j}B _{1j} \cdot \det(C _{ij}) + \sum_{j=k+1}^{n}(-1) ^{1+(j-1)}B _{1j} \cdot \det(C _{ij}) \bigg \} \\ \end{split}\end{align} \tag*{}

    중괄호 안의 식은 B~ik\tilde{B}_{ik} 의 1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det(B)=(1)i+kdet(B~ik) \det(B) = (-1) ^{i+k}\det(\tilde{B}_{ik})

    그러므로 n>2,1<inn > 2, 1 < i \leq n 일 때 성립한다. ■

Redefining the Determinant

정리 4.4

AFn×nA \in \mathbf{F}^{n \times n}i{1,,n}i \in \{1, \dots,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A)=j=1n(1)i+jAijdet(A~ij) \det(A) = \sum_{j=1}^{n}(-1)^{i+j}A _{ij} \cdot \det(\tilde{A}_{ij})
  • 이 정리는 행렬식을 1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의의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 구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또한 정리 4.8 에 의하여 임의의 열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도 행렬식을 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증명

    i=1i = 1 일 때 행렬식의 정의와 같으므로 증명할 것이 없다. ▲

    i>1i > 1 일 때를 증명해보자.

    1jn1 \leq j \leq n 에 대하여 AAii 행을 eje_j 로 대체한 행렬을 BjB_j 라고 하자. 정리 4.3 은 행렬식의 덧셈과 스칼라곱 대한 선형성을 보장해주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det(A)=j=1nAijdet(Bj) \det(A) = \sum_{j=1}^{n}A _{ij} \cdot \det(B_j)

    정리 4.3 보조정리 1 은 ii 행이 eje_jBjB_j 에 대하여 det(Bj)=(1)i+jdet(B~ij)\det(B_j) = (-1) ^{i+j}\det(\tilde{B}_{ij}) 임을 말해준다. AABjB_jii 행을 제외하고 서로 같기 때문에 B~ij=A~ij\tilde{B}_{ij}=\tilde{A}_{ij} 이다. 그러므로 det(Bj)=(1)i+jdet(A~ij)\det(B_j) = (-1) ^{i+j}\det(\tilde{A}_{ij}) 이고, 이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det(A)=j=1n(1)i+jAijdet(A~ij) \det(A) = \sum_{j=1}^{n}(-1)^{i+j}A _{ij} \cdot \det(\tilde{A}_{ij}) \tag*{■}

정리 4.4 따름정리

AFn×nA \in \mathbf{F}^{n \times n} 의 두 행이 같으면 det(A)=0\det(A) = 0 이다.

  • 증명

    n=2n = 2 일 때 자명하게 성립한다. ▲

    n3n \geq 3 일 때 (n1)×(n1)(n - 1) \times (n - 1) 행렬에 대하여 정리가 성립함을 가정하자. 서로 같은 두 행을 rr행, ss행이라 하자. r,sr, s 가 아니고 1in1 \leq i \leq nii 에 대하여 정리 4.4 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ii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를 할 수 있다.

    det(A)=j=1n(1)i+jAijdet(A~ij) \det(A) = \sum_{j=1}^{n}(-1)^{i+j}A _{ij} \cdot \det(\tilde{A}_{ij})

    A~ij\tilde{A}_{ij}(n1)×(n1)(n - 1) \times (n - 1) 행렬이고 서로 다른 두 행(rr 행, ss 행)이 같으므로 가정에 의하여 det(A~ij)=0\det(\tilde{A}_{ij}) = 0 이다. 그러므로 det(A)=0\det(A) = 0 이다. ■

정리 4.5

행렬 AFn×nA \in \mathbf{F}^{n \times n} 의 두 행을 교환하여 얻은 행렬 BB 에 대하여 det(B)=det(A)\det(B) = - \det(A) 이다.

  • 이 정리는 1형 기본행연산과 행렬식 사이의 관계를 말해준다.

  • 증명

    AA 의 행 a1,a2,,ana_1, a_2, \dots, a_n 에 대하여 r<sr < srr행과 ss 행을 교환하여 얻은 BB 행은 다음과 같다.

    A=(a1arasan),B=(a1asaran) A = \begin{pmatrix} a_1\\ \vdots \\ a_r\\ \vdots \\ a_s\\ \vdots \\ a_n \\ \end{pmatrix}, B = \begin{pmatrix} a_1\\ \vdots \\ a_s\\ \vdots \\ a_r\\ \vdots \\ a_n \\ \end{pmatrix}

    AArr행, ss행을 ar+asa_r+a_s 로 바꾼 행렬은 정리 4.4 따름정리에 의하여 행렬식이 00 이 된다. 또한 정리 4.3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0=(a1ar+asar+asan)=(a1arar+asan)+(a1asar+asan) 0 = \begin{pmatrix} a_1\\ \vdots \\ a_r+a_s\\ \vdots \\ a_r+a_s\\ \vdots \\ a_n \\ \end{pmatrix}= \begin{pmatrix} a_1\\ \vdots \\ a_r\\ \vdots \\ a_r+a_s\\ \vdots \\ a_n \\ \end{pmatrix}+ \begin{pmatrix} a_1\\ \vdots \\ a_s\\ \vdots \\ a_r+a_s\\ \vdots \\ a_n \\ \end{pmatrix}
    =(a1araran)+(a1arasan)+(a1asaran)+(a1asasan)=0+det(A)+det(B)+0 = \begin{pmatrix} a_1\\ \vdots \\ a_r\\ \vdots \\ a_r\\ \vdots \\ a_n \\ \end{pmatrix}+ \begin{pmatrix} a_1\\ \vdots \\ a_r\\ \vdots \\ a_s\\ \vdots \\ a_n \\ \end{pmatrix}+ \begin{pmatrix} a_1\\ \vdots \\ a_s\\ \vdots \\ a_r\\ \vdots \\ a_n \\ \end{pmatrix}+ \begin{pmatrix} a_1\\ \vdots \\ a_s\\ \vdots \\ a_s\\ \vdots \\ a_n \\ \end{pmatrix} = 0 + \det(A) + \det(B) + 0

    즉, det(B)=det(A)\det(B) = - \det(A) 이다. ■

정리 4.6

행렬 AFn×nA \in \mathbf{F}^{n \times n}AA 의 한 행에 다른 행의 스칼라 배를 더하여 얻은 행렬 BB 에 대하여 det(B)=det(A)\det(B) = \det(A) 이다.

  • 이 정리는 3형 기본행연산과 행렬식 사이의 관계를 말해준다.

  • 증명

    AAss행에 rr행의 kk배를 더하여 얻은 행렬을 BB 라 하자.

    AA 의 행을 a1,a2,,ana_1, a_2, \dots, a_n, BB 의 행을 b1,b2,,bnb_1, b_2, \dots, b_n 이라 하자. 다음이 성립한다.

    {ai=biisbs=as+kari=s \begin{cases} a_i = b_i & i \neq s\\ b_s = a_s + ka_r & i = s\\ \end{cases}

    AAss 행을 ara_r 로 바꾼 행렬을 CC 라 하면 det(C)=0\det(C) = 0 이다. BBss행에 정리 4.3 을 적용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det(B)=det(A)+kdet(C)=det(A) \det(B) = \det(A) +k \det(C) = \det(A) \tag*{■}

Determinant and Rank

정리 4.6 따름정리

AFn×n:rank(A)<ndet(A)=0A \in \mathbf{F}^{n \times n} : \operatorname{rank} (A) < n \implies \det(A) = 0
  • 정리 4.22×22 \times 2 행렬이 가역인 것과 행렬식이 00 이 아닌 것은 동치임을 말해준다. 이는 n×nn \times n 행렬에 일반화된다. 이 정리는 n×nn \times n 행렬이 가역이면 행렬식이 00 이 아님을 말해준다. 정리 4.7 의 따름정리는 그 역을 증명해준다.

  • 증명

    rank(A)<n\operatorname{rank} (A) < n 이면 AA 의 행 a1,a2,,ana_1, a_2, \dots, a_n 은 일차종속이다. 그러므로 어떤 행 ara_r 을 다음과 같이 다른 행들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ar=c1a1++cr1ar1+cr+1ar+1++cnan a_r = c_1a_1 + \dots + c _{r-1}a _{r-1} + c _{r+1}a _{r+1} + \dots + c_na_n

    iri \neq rii 에 대하여 AArr행에 ii행의 ci-c_i 배를 더하여 얻은 행렬 BBbr=0b_r = 0 이므로 정리 4.3 따름정리에 의하여 det(B)=0\det(B) = 0 이다. 정리 4.6 에 의하여 det(B)=det(A)=0\det(B) = \det(A) = 0 이다. ■

Determinant and Elementary Operation

기본행[열]연산과 행렬식의 관계

기본행[열]연산과 AFn×nA \in \mathbf{F}^{n \times n} 의 행렬식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 AA 의 두 행[열]을 교환하여 얻은 행렬 BB 에 대하여 det(B)=det(A)\det(B) = -\det(A) 이다.

  2. AA 의 한 행[열]에 영이 아닌 스칼라 kk 를 곱하여 얻은 행렬 BB 에 대하여 det(B)=kdet(A)\det(B) = k \det(A) 이다.

  3. AA 의 한 행[열]에 다른 행[열]의 스칼라 배를 더하여 얻은 행렬 BB 에 대하여 det(B)=det(A)\det(B) = \det(A) 이다.

Determinant of Upper Triangular Matrix

문제 4.2-23

상삼각행렬 AFn×nA \in \mathbf{F}^{n \times n} 에 대하여 det(A)=i=1nAii\det(A) = \displaystyle \prod_{i=1}^{n} A _{ii} 이다.

  • 정사각행렬은 1형과 3형 기본행연산을 통하여 상삼각행렬이 된다. 그러므로 정사각행렬의 행렬식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정리들은 여인수 전개를 통해 행렬식을 귀납적으로 구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행렬식을 효과적으로 구할 수 있도록 기본연산과 행렬식 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들이었다.

    그리고 이 정리는 상삼각행렬의 행렬식이 쉽게 구해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줌으로써 기본연산의 목표를 상삼각행렬을 만드는 것으로 두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알려준다.

    n×nn \times n 행렬의 행렬식을 구하기 위해 여인수 전개를 사용하면 n!n! 번 이상의 곱셈이 필요한데 비해 기본행연산으로 행렬식을 계산하면 13(n3+2n3)\frac{1}{3}(n ^{3}+2n-3) 번의 곱셈이 필요하다.

  • 증명

    n=1n = 1 이면 1×11 \times 1 행렬은 상삼각행렬이므로 det(A11)=A11\det(A _{11}) = A _{11} 이다. ■

    n1n-1 에서 성립함을 가정하고 nn 에 대하여 성립함을 증명하자. 상삼각행렬 AFn×nA \in \mathbf{F}^{n \times n} 의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det(A)=i=1n(1)1+iA1idet(A~1i) \det(A) = \sum_{i=1}^{n}(-1)^{1+i}A _{1i}\det(\tilde{A}_{1i})

    i1i \neq 1A~1i\tilde{A}_{1i} 의 1열은 영열(zero column) 이다. 1열을 다른 열들의 일차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rank(A~1i)<n1\operatorname{rank} (\tilde{A}_{1i}) < n - 1 이고, 정리 4.6 따름정리에 의하여 det(A~1i)=0\det(\tilde{A}_{1i})=0 이다. 그러나 A~11\tilde{A}_{11} 은 상삼각행렬이고 n1n-1 에서 정리가 성립하므로 det(A~11)=i=2nAii\det(\tilde{A}_{11}) = \displaystyle \prod_{i=2}^{n}A _{ii}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det(A)=A11det(A~11)=i=1nAii \therefore \det(A) = A _{11}\det(\tilde{A}_{11}) = \prod_{i=1}^{n}A _{ii} \tag*{■}
  • 안 좋은 증명(이렇게 증명하는 건 대각성분이 00 이 아닐 거라는 가정이 필요하다.)

    상삼각행렬 AFn×nA \in \mathbf{F}^{n \times n} 는 다음과 같다.

    A=(A11A12A1n0A22A2n00Ann) A = \begin{pmatrix} A_{11}&A_{12}&\dots&A_{1n}\\ 0&A_{22}&\dots&A_{2n}\\ \vdots& \vdots& \ddots& \vdots \\ 0&0&\dots&A_{nn}\\ \end{pmatrix}

    AA 에 기본행연산을 적용하여 AA 를 항등행렬로 바꿀 수 있다.

    (A11A12A1n0A22A2n00Ann)(1??0A22A2n00Ann)(10?0A22A2n00Ann) \begin{pmatrix} A_{11}&A_{12}&\dots&A_{1n}\\ 0&A_{22}&\dots&A_{2n}\\ \vdots& \vdots& \ddots& \vdots \\ 0&0&\dots&A_{nn}\\ \end{pmatrix} \to \begin{pmatrix} 1&?&\dots&?\\ 0&A_{22}&\dots&A_{2n}\\ \vdots& \vdots& \ddots& \vdots \\ 0&0&\dots&A_{nn}\\ \end{pmatrix} \to \begin{pmatrix} 1&0&\dots&?\\ 0&A_{22}&\dots&A_{2n}\\ \vdots& \vdots& \ddots& \vdots \\ 0&0&\dots&A_{nn}\\ \end{pmatrix} \to
    (10?01?00Ann)(10001000Ann)(100010001) \begin{pmatrix} 1&0&\dots&?\\ 0&1&\dots&?\\ \vdots& \vdots& \ddots& \vdots \\ 0&0&\dots&A_{nn}\\ \end{pmatrix} \to \dots \to \begin{pmatrix} 1&0&\dots&0\\ 0&1&\dots&0\\ \vdots& \vdots& \ddots& \vdots \\ 0&0&\dots&A_{nn}\\ \end{pmatrix} \to \begin{pmatrix} 1&0&\dots&0\\ 0&1&\dots&0\\ \vdots& \vdots& \ddots& \vdots \\ 0&0&\dots&1\\ \end{pmatrix}

    위 과정은 다음 연산을 반복한 것에 불과하다.

    1. ii 행에 스칼라를 곱한 것을 i1i-1 행에 더하여 AiiA _{ii} 를 제외한 ii 열의 성분들을 00 으로 만든다.

    2. ii 행에 스칼라를 곱하여 AiiA _{ii}11 로 만든다.

    det(In)=1\det(I_n) = 1 이므로 기본행연산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역추적을 해보자. AjA _{j}AA 에 기본행연산을 jj 번 적용한 행렬이라고 하자.

    1. 먼저 11 행에 스칼라 1A11\frac{1}{A _{11}} 를 곱했다. det(A1)=1A11det(A)\det(A_1) = \frac{1}{A _{11}}\det(A) 이다.

    2. 22 행의 스칼라배를 11 행에 더하여 1행 2열의 성분을 00 으로 만들었다. det(A2)=det(A1)\det(A_2) = \det(A_1) 이다.

    3. 22 행에 스칼라 1A22\frac{1}{A _{22}} 를 곱했다. det(A3)=1A22det(A2)\det(A_3) = \frac{1}{A _{22}}\det(A_2) 이다.

    4. \dots

    이를 통하여 행렬식 det(A)\det(A) 에 대각 성분의 곱셈의 역원이 계속해서 곱해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det(In)=1A11A22Anndet(A)=1 \det(I_n) = \dfrac{1}{A _{11} A _{22} \dots A _{nn}} \det(A) = 1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det(A)=A11A22Ann \therefore \det(A) = A _{11} A _{22} \dots A _{nn} \tag*{■}
  • 예시

    A=(1330470010)A = \begin{pmatrix} 1&3&-3\\ 0&4&-7\\ 0&0&10\\ \end{pmatrix}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A)=i=13Aii=40 \det(A) = \prod_{i=1}^{3}A _{ii} = 40

삼각행렬 AFn×nA \in \mathbf{F}^{n \times n} 에 대하여 det(A)=i=1nAii\det(A) = \displaystyle \prod_{i=1}^{n} A _{ii} 이다.

  • 증명

    상삼각행렬일 경우 문제 4.2-23 에서 증명이 끝났다. ▲

    하삼각행렬일 경우 문제 4.2-23 의 증명과정과 거의 비슷하게 증명 가능하다. ■

Determinant of Elementary Matrix

기본행렬의 행렬식(Determinant of Elementary Matrix)

  1. II 의 두 행의 위치를 바꾸어 얻은 기본행렬 EE 에 대하여 det(E)=1\det(E) = -1 이다.

  2. II 의 한 행에 영이 아닌 스칼라 kk 를 곱하여 얻은 기본행렬 EE 에 대하여 det(E)=k\det(E) = k 이다.

  3. II 의 한 행에 다른 행의 스칼라 배를 더하여 얻은 기본행렬 EE 에 대하여 det(E)=1\det(E) = 1 이다.

  • 증명

    행렬식과 기본행연산의 관계와 det(I)=1\det(I) = 1 에 의하여 바로 증명된다. ■

정리 4.7

A,BFn×n:det(AB)=det(A)det(B) A, B \in \mathbf{F}^{n \times n} : \det(AB) = \det(A) \det(B)
  • 이 정리는 행렬식이 곱을 보존하는 함수임을 말해준다.

  • 증명

    AAII 의 두 행의 위치를 바꾸어 얻은 기본행렬이면 det(A)=1\det(A) = -1 인데, 정리 3.1 에 의하여 행렬 ABABBB 의 두 행을 바꾼 것이다. 그러면 정리 4.5 에 의하여 det(AB)=det(B)=det(A)det(B)\det(AB) = - \det(B) = \det(A) \det(B) 이다.

    AAII 의 한 행에 영이 아닌 스칼라 kk 를 곱하여 얻은 기본행렬이면 det(A)=k\det(A) = k 이다. 정리 3.1 에 의하여 행렬 ABABBB 의 한 행에 스칼라 kk 를 곱한 것이다. 그러면 정리 4.3 에 의하여 det(AB)=kdet(B)=det(A)det(B)\det(AB) = k \det(B) = \det(A) \det(B) 이다.

    AAII 의 한 행에 다른 행의 스칼라 배를 더하여 얻은 기본행렬 기본행렬이면 det(A)=1\det(A) = 1 이다. 정리 3.1 에 의하여 행렬 ABABBB 의 한 행에 다른 행의 스칼라 kk배 를 곱한 것을 더하여 얻은 것이다. 그러면 정리 4.6 에 의하여 det(AB)=det(B)=det(A)det(B)\det(AB) = \det(B) = \det(A) \det(B) 이다.

    이렇게 AA 가 기본행렬일 경우 정리가 성립한다. ▲

    정리 4.6 따름정리 에 의하여 rank(A)<n\operatorname{rank} (A) < n 이면 det(A)=0\det(A) = 0 이다. 정리 3.7 에 의하여 rank(AB)rank(A)<n\operatorname{rank} (AB) \leq \operatorname{rank} (A) < n 이므로 det(AB)=0\det(AB) = 0 이다. 따라서 det(AB)=det(A)det(B)\det(AB) = \det(A) \det(B) 이다. ▲

    rank(A)=n\operatorname{rank} (A) = n 이면 AA 는 가역이다. 그러므로 AA 는 기본행렬의 곱이다. A=EmE1A = E_m \dots E_1 로 두자. 기본행렬에 대하여 본 정리를 가정할 수 있으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det(AB)=det(EmE1B)=det(Em)det(Em1E1B)=det(Em)det(Em1)det(Em2E1B)=det(Em)det(E1)det(B)=det(EmE1)det(B)=det(A)det(B) \begin{align}\begin{split} \det(AB) &= \det(E_m \dots E_1B) \\ &= \det(E_m) \det(E _{m-1} \dots E_1B) \\ &= \det(E_m) \det(E _{m-1}) \det(E _{m-2} \dots E_1B) \\ & \qquad \vdots \\ &= \det(E_m) \dots \det(E _1)\det(B) \\ &= \det(E_m \dots E _1)\det(B) \\ &= \det(A)\det(B) \\ \end{split}\end{align} \tag*{}

    그러므로 rank(A)=n\operatorname{rank} (A) = n 일 때 정리가 성립한다. ■

정리 4.7 따름정리

AFn×nA \in \mathbf{F}^{n \times n} 에 대하여 다음은 동치이다.

  1. AA 는 가역이다. 이 경우 det(A1)=1det(A)\det(A ^{-1}) = \dfrac{1}{\det(A) } 이다.

  2. det(A)0\det(A) \neq 0

  • 증명

    AA 가 가역이 아니면 rank(A)<n\operatorname{rank} (A) < n 이므로 det(A)=0\det(A) = 0 이다. AA 가 가역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det(A)det(A1)=det(AA1)=det(I)=1 \det(A) \det(A ^{-1}) = \det(AA ^{-1}) = \det(I) = 1

    이는 det(A)0,det(A1)=1det(A)\det(A) \neq 0, \det(A ^{-1}) = \dfrac{1}{\det(A) } 를 뜻한다. ■

문제 4.2-29

기본행렬 EE 에 대하여 det(E)=det(E)\det(E ^{\top}) = \det(E) 이다.

  • 증명

    InI_nii 행과 jj 행을 교환하여 얻은 행렬 EEEE 의 행 E1,E2,,EnE_1, E_2, \dots, E_n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k=ekki,kjEi=ejEj=ei \begin{cases} E_k = e_k & k \neq i, k \neq j\\ E_i = e_j &\\ E_j = e_i &\\ \end{cases}

    EE ^{\top}kkEkE'_k 은 벡터 E1,E2,,EnE_1, E_2, \dots, E_nkk 번째 성분으로 구성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Ek=ekki,kjEi=ejEj=ei \begin{cases} E'_k = e_k & k \neq i, k \neq j\\ E'_i = e_j & \\ E'_j = e_i & \\ \end{cases}

    모든 행이 서로 같으므로 E=EE = E ^{\top} 이다. 그러므로 기본행연산 1형을 한 번 적용한 기본행렬의 경우 정리가 자명하게 성립한다. ▲

    InI_nii 행에 스칼라 cc 를 곱하여 얻은 행렬 EEEE 의 행 E1,E2,,EnE_1, E_2, \dots, E_n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k=ekkiEi=cei \begin{cases} E_k = e_k & k \neq i\\ E_i = ce_i &\\ \end{cases}

    EE ^{\top}kkEkE'_k 은 벡터 E1,E2,,EnE_1, E_2, \dots, E_nkk 번째 성분으로 구성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Ek=ekkiEi=cei \begin{cases} E'_k = e_k & k \neq i\\ E'_i = ce_i & \\ \end{cases}

    모든 행이 서로 같으므로 E=EE = E ^{\top} 이다. 그러므로 기본행연산 2형을 한 번 적용한 기본행렬의 경우 정리가 자명하게 성립한다. ▲

    InI_nii 행에 스칼라 cc 를 곱하여 jj 행에 더하여 얻은 행렬 EEEE 의 행 E1,E2,,EnE_1, E_2, \dots, E_n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k=ekkjEj=cei+ej \begin{cases} E_k = e_k & k \neq j\\ E_j = ce_i + e_j &\\ \end{cases}

    EE ^{\top}kkEkE'_k 은 벡터 E1,E2,,EnE_1, E_2, \dots, E_nkk 번째 성분으로 구성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Ek=ekkiEi=ei+cej \begin{cases} E'_k = e_k & k \neq i\\ E'_i = e_i + ce_j & \\ \end{cases}

    EEInI_nii 행에 스칼라 cc 를 곱하여 jj 행에 더한 행렬인데 비해 EE ^{\top}jj 행에 스칼라 cc 를 곱해 ii 행에 더한 행렬임을 알 수 있다.

    EE 가 상삼각행렬임을 가정하면 det(E)=tr(E)=1\det(E) = \operatorname{tr} (E) = 1 이다. EE ^{\top} 는 하삼각행렬이므로 det(E)=tr(E)=1\det(E ^{\top}) = \operatorname{tr} (E ^{\top}) = 1 이다. EE 가 하삼각행렬이고 EE ^{\top} 가 상삼각행렬일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기본행연산 3형을 한 번 적용한 기본행렬의 경우 정리가 성립한다. ▲

    이제 기본행연산을 한번 적용한 기본행렬의 행렬식이 전치행렬의 행렬식과 같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이제 임의의 기본행렬 EE 를 생각하자. 기본행렬은 가역이고 가역은 기본행렬의 곱이다. 그러므로 다음을 만족하는 II 에 기본행연산을 한번 적용한 기본행렬 E1,E2,,EkE_1, E_2, \dots, E_k 가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시킨다.

    E=E1E2Ek E = E_1 E_2 \dots E_k
    E=EkEk1E1 E ^{\top} = E_k ^{\top} E _{k-1} ^{\top} \dots E_1 ^{\top}

    기본행연산을 한번만 적용한 기본행렬의 행렬식이 전치행렬의 행렬식이 같다는 것과 정리 4.7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E)=det(E1E2Ek)=det(E1)det(E2)det(Ek)=det(E1)det(E2)det(Ek)=det(Ek)det(Ek1)det(E1)=det(EkEk1E1)=det(E) \begin{align}\begin{split} \det(E)&= \det(E_1 E_2 \dots E_k) \\ &= \det(E_1) \det(E_2) \dots \det(E_k) \\ &= \det(E_1^{\top}) \det(E_2^{\top}) \dots \det(E_k^{\top}) \\ &= \det(E_k^{\top}) \det(E _{k-1}^{\top}) \dots \det(E_1^{\top}) \\ &= \det(E_k^{\top}E _{k-1}^{\top}\dots E_1^{\top}) \\ &= \det(E^{\top}) \\ \end{split}\end{align} \tag*{}

    이로써 모든 증명이 끝났다. ■

Determinant of Transpose

정리 4.8

AFn×n:det(A)=det(A) A \in \mathbf{F}^{n \times n} : \det(A ^{\top}) = \det(A)
  • 지금까지의 정리들은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 기본행연산과 행렬식의 관계 등등 행의 관점에서 행렬식을 연구한 결과이다. 그러나 이 정리는 지금까지의 정리들이 열의 관점에서도 그대로 성립함을 말해준다. AA 의 행이 AA ^{\top} 에서는 열이기 때문이다.

    즉, 열에 대한 여인수 전개로도 행렬식을 구할 수 있다. 또한 기본행연산 대신 기본열연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본열연산에 따른 행렬식의 변화는 기본행연산에 따른 행렬식의 변화와 같기 때문이다.

  • 증명

    AA 가 가역이 아니면 rank(A)<n\operatorname{rank} (A) < n 이다. 정리 3.6 따름정리 2 에 의하여 rank(A)=rank(A)\operatorname{rank} (A) = \operatorname{rank} (A ^{\top}) 이므로 AA ^{\top} 도 가역이 아니다. 정리 4.6 따름정리 에 의하여 det(A)=0=det(A)\det(A) = 0 = \det(A ^{\top}) 이다. ▲

    AA 가 가역이면 AA 는 기본행렬의 곱이다. A=EmE1A = E_m \dots E_1 으로 두면 문제 4.2-29정리 4.7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A)=det(EmE1)=det(Em)det(E1)=det(Em)det(E1)=det(E1)det(Em)=det(E1Em)=det(A) \begin{align}\begin{split} \det(A)&= \det(E_m \dots E_1) \\ &= \det(E_m) \dots \det(E_1) \\ &= \det(E_m^{\top}) \dots \det(E_1^{\top}) \\ &= \det(E_1^{\top}) \dots \det(E_m^{\top}) \\ &= \det(E_1^{\top}\dots E_m^{\top}) \\ &= \det(A^{\top}) \\ \end{split}\end{align} \tag*{}

    이로써 모든 증명이 끝났다. ■

열에 의한 행렬식

AFn×nA \in \mathbf{F}^{n \times n}j{1,,n}j \in \{1, \dots,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A)=i=1n(1)i+jAijdet(A~ij) \det(A) = \sum_{i=1}^{n}(-1)^{i+j}A _{ij} \cdot \det(\tilde{A}_{ij})

Determinant of Submatrix

문제 4.3-20

정사각행렬 AAM=(ABOI),M=(IBOA)M= \begin{pmatrix} A&B\\ O&I\\ \end{pmatrix}, M'= \begin{pmatrix} I&B\\ O&A\\ \end{pmatrix} 에 대하여 det(M)=det(M)=det(A)\det(M) = \det(M') = \det(A) 이다.

  • 증명

    s+t=ns + t = n 에 대하여 AAs×ss \times s 행렬 I=ItI = I_t 라고 하자.

    s=1s = 1 이면 문제 4.2-23 에 의하여 det(M)=i=1nMii=A11\det(M) = \prod_{i=1}^{n}M _{ii} = A _{11} 이다. ▲

    s=k1s = k - 1 에서 성립함을 가정하고 s=ks = k 에서 정리를 증명해보자. i{k+1,,n}:det(M~)1i=0i \in \{k + 1, \dots, n\} : \det(\tilde{M})_{1i} = 0 이다. 왜냐하면 M~1i\tilde{M}_{1i}ii 행이 영행(zero row)이 되므로 정리 4.3 따름정리에 따라 행렬식이 00 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det(M)=i=1n(1)1+iM1idet(M~1i)=i=1k(1)1+iA1idet(M~1i) \det(M) = \sum_{i=1}^{n}(-1) ^{1+i}M _{1i} \cdot \det(\tilde{M}_{1i}) = \sum_{i=1}^{k}(-1) ^{1+i}A _{1i} \cdot \det(\tilde{M}_{1i})

    k1k - 1 에서 정리가 성립하므로 i{1,,k}:det(M~1i)=det(A~1i)i \in \{1, \dots, k \} : \det(\tilde{M}_{1i}) = \det(\tilde{A}_{1i})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i=1k(1)1+iA1idet(M~1i)=i=1k(1)1+iA1idet(A~1i)=det(A) \therefore \sum_{i=1}^{k}(-1) ^{1+i}A _{1i} \cdot \det(\tilde{M}_{1i}) = \sum_{i=1}^{k}(-1) ^{1+i} A _{1i} \cdot \det(\tilde{A}_{1i}) = \det(A) \tag*{■}

문제 4.3-21

정사각행렬 A,CA, C 에 대한 행렬 M=(ABOC)Fn×nM= \begin{pmatrix} A&B\\ O&C\\ \end{pmatrix} \in \mathbf{F}^{n \times n} 에 대하여 det(M)=det(A)det(C)\det(M) = \det(A) \det(C) 이다.

  • 증명

    CC 가 가역이 아니면 CC 의 행집합은 일차종속이다. 이는 (OC)(O C) 의 행집합이 일차종속임을 뜻하고 결국 MM 이 가역이 아님을 뜻한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det(A)det(C)=det(A)0=0=det(M) \det(A) \det(C) = \det(A) \cdot 0 = 0 = \det(M)

    CC 가 가역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IOOC1)(ABOC)=(ABOI) \begin{pmatrix} I&O\\ O&C ^{-1}\\ \end{pmatrix} \begin{pmatrix} A&B\\ O&C\\ \end{pmatrix} = \begin{pmatrix} A&B\\ O&I\\ \end{pmatrix}

    문제 4.3-20 과 정리 4.7 따름정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t(C1)det(M)=det(A)det(M)=det(A)det(C) \det(C ^{-1}) \det(M) = \det(A) \iff \det(M) = \det(A) \det(C)

Cramer's Rule

정리 4.9 Cramer's Rule

AFn×nA \in \mathbf{F}^{n \times n}x=(x1,x2,,xn)x = (x_1, x_2, \dots, x_n) ^{\top} 에 대하여 Ax=bAx = bnn 개의 미지수를 가진 nn 개의 연립일차방정식의 행렬표현이다.

det(A)0\det(A) \neq 0 이면 AAkk열을 bb 로 바꾼 행렬 MkM_k 에 대하여 이 연립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유일한 해를 가진다.

xk=det(Mk)det(A) x_k = \dfrac{\det(M_k)}{\det(A)}
  • 이 정리를 Cramer:Fn×n×Fn×FnFn\text{Cramer}: \mathbf{F}^{n \times n} \times \mathbf{F} ^{n} \times \mathbf{F} ^{n} \to \mathbf{F} ^{n} 와 같이 정의된 함수로 표현할 수 있나?

  • 증명

    det(A)0\det(A) \neq 0 이면 정리 4.7 따름정리 에 의하여 AA 는 가역이다. 그러면 정리 3.10 에 의하여 Ax=bAx = b 는 유일한 해를 가진다.

    1kn1 \leq k \leq n 에 대하여 AAkk열을 aka_k 라고 하고 XkX_kInI_nkk 열을 xx 로 바꾼 행렬이라 하자. 그러면 AXkAX_kii 열은 iki \neq k 일 때 AAInI_n 에 곱하는 것과 같으므로 Aei=aiAe_i = a_i 이다. 반면 i=ki = k 이면 Ax=bAx = b 이다. 그러므로 AXk=MkAX_k = M_k 이다.

    XkX_kkk 행은 kk 번째 성분이 xkx_k 이고 나머지는 00 이다. 그러므로 XkX_kkk 행에 대한 여인수 전개에 의한 행렬식은 다음과 같다.

    det(Xk)=j=1n(1)k+j(Xk)kjdet((Xk~)kj)=(1)k+k(Xk)kkdet((Xk~)kk)=xkdet(In1)=xk \begin{align}\begin{split} \det(X_k)&= \sum_{j=1}^{n}(-1) ^{k + j} (X_k) _{kj} \cdot \det((\tilde{X_k})_{kj}) \\ &= (-1) ^{k+k}(X_k) _{kk} \cdot \det((\tilde{X_k})_{kk}) \\ &= x_k \cdot \det(I _{n-1}) = x_k \\ \end{split}\end{align} \tag*{}

    정리 4.7 은 행렬식의 곱의 보존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det(Mk)=det(AXk)=det(A)det(Xk)=det(A)xk \det(M_k) = \det(AX_k) = \det(A) \det(X_k) = \det(A) \cdot x_k

    그러므로 xk=det(Mk)det(A)x_k = \dfrac{\det(M_k) }{\det(A) } 이다. ■

  • 예시

    다음과 같이 행렬표현으로 나타낸 연립일차방정식 Ax=bAx = b 을 풀어보자.

    (123101111)(x1x2x3)=(231) \begin{pmatrix} 1&2&3\\ 1&0&1\\ 1&1&-1\\ \end{pmatrix}\begin{pmatrix} x_{1}\\ x_{2}\\ x_{3}\\ \end{pmatrix} = \begin{pmatrix} 2\\ 3\\ 1\\ \end{pmatrix}

    det(A)=60\det(A) = 6 \neq 0 이므로 정리를 사용할 수 있다. 정리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유일한 해가 존재한다.

    x1=det(M1)det(A)=det(223301111)det(A)=156=52 x_1 = \dfrac{\det(M_1) }{\det(A) } = \dfrac{\det \begin{pmatrix} 2&2&3\\ 3&0&1\\ 1&1&-1\\ \end{pmatrix} }{\det(A) } = \frac{15}{6} = \frac{5}{2}
    x2=det(M2)det(A)=det(123131111)det(A)=66=1 x_2 = \dfrac{\det(M_2) }{\det(A) } = \dfrac{\det \begin{pmatrix} 1&2&3\\ 1&3&1\\ 1&1&-1\\ \end{pmatrix} }{\det(A) } = -\frac{6}{6} = -1
    x3=det(M3)det(A)=det(122103111)det(A)=36=12 x_3 = \dfrac{\det(M_3) }{\det(A) } = \dfrac{\det \begin{pmatrix} 1&2&2\\ 1&0&3\\ 1&1&1\\ \end{pmatrix} }{\det(A) } = \frac{3}{6} = \frac{1}{2}

n-dimensional volume of parallelepiped

나란히꼴의 nn차원 부피(nn-dimensional volume of parallelepiped)

행렬 ARn×nA \in \R ^{n \times n} 의 행 a1,a2,,ana_1, a_2, \dots, a_n 에 대하여 벡터 a1,a2,,ana_1, a_2, \dots, a_n 을 이웃한 변으로 가지는 나란히꼴의 nn차원 부피는 det(A)|\det(A)| 이다.

  • 2×22 \times 2 정사각행렬의 행렬식이 기하학에서 평행사변형의 넓이로 해석되었듯이 n×nn \times n 정사각행렬의 행렬식은 nn차원 나란히꼴의 부피로 해석된다.

  • 증명

  • 예시

    행렬 A=(121101111)A = \begin{pmatrix} 1&-2&1\\ 1&0&-1\\ 1&1&1\\ \end{pmatrix} 의 행렬식의 절댓값은 det(A)=6|\det(A)| = 6 이다. 따라서 벡터 (1,2,1),(1,0,1),(1,1,1)(1,-2,1), (1, 0, -1), (1,1,1) 을 이웃한 변으로 가지는 직육면체의 부피는 66 이다.

    실제로 다음 그림을 보면 해당 평행육면체의 세 변의 길이는 6,2,3\sqrt[]{6}, \sqrt[]{2}, \sqrt[]{3} 이므로 부피는 66 이다.

    image

Determinant of Similar Matrices

문제 4.3-15

두 행렬 A,BFn×nA, B \in \mathbf{F}^{n \times n} 가 닮음이면 det(A)=det(B)\det(A) = \det(B) 이다.

  • 증명

    A,BA, B 가 닮음이면 B=Q1AQB = Q ^{-1}AQ 를 만족하는 QQ 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det(B)=det(Q1AQ)=det(Q1)det(A)det(Q)=1det(Q)det(A)det(Q)=det(A) \begin{align}\begin{split} \det(B) &= \det(Q ^{-1}AQ) = \det(Q ^{-1}) \det(A) \det(Q) \\ &= \frac{1}{\det(Q) }\det(A) \det(Q) = \det(A)\\ \end{split}\end{align} \tag*{}


        Friedberg, S. H., Insel, A. J., & Spence, L. E. (2018). Linear algebra. Pear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