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onical Forms
대각화 요약
-
차원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를 대각행렬 로 표현할 수 있는 기저 가 존재하면 를 대각화가능하다고 말한다.
-
를 대각화 할 수 있는 기저를 로 두면 를 대각행렬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꼴의 결과가 나오게 된다.
바로 이 형태 를 일반화하여 를 고유벡터, 를 고윳값이라 정의한다.
-
그러면 를 대각화할 수 있다는 것은 의 고유벡터로 이루어진 의 기저가 존재한다는 것이 된다.
-
따라서 를 대각화하고 싶다면 안에서 서로 일차독립인 의 고유벡터들을 개 찾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서로 일차독립인 의 고유벡터 개를 어떻게 찾는가?
-
(고윳값 구하기) 특성다항식의 근을 구하면 선형연산자가 지니는 모든 고윳값을 하나도 빠짐없이 알 수 있다. 선형연산자의 서로 다른 고윳값은 최대 개이다(정리 5.3). 만약 특성다항식의 근이 존재하지 않으면 고윳값도 존재하지 않으며 대각화 불가능하다.
-
(고유벡터 구하기) 고유공간은 고윳값에 대응하는 모든 고유벡터들의 집합이며 의 부분공간이다. 따라서 고유공간의 기저를 구하면 고윳값에 대응하는 일차독립인 고유벡터들을 구할 수 있다.
-
각각의 고윳값에 대응하는 일차독립 집합들의 합집합은 일차독립이다(정리 5.8). 또한 고유공간의 차원은 항상 고윳값의 중복도와 같거나 작다(정리 5.7).
-
따라서 만약 특성다항식의 근이 개라면, 각 고유공간은 1차원이고 그것들의 기저를 모으면 선형연산자 를 대각화하는 의 기저를 얻는다. 즉, 대각화 가능하다.
만약 특성다항식의 근이 개 보다 작다면, 어떤 고윳값의 중복도가 2 이상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고윳값의 고유공간의 차원이 중복도보다 작으면, 아무리 모든 고유공간의 기저를 모아도 일차독립인 고유벡터들의 개수가 보다 작을 수밖에 없고, 대각화 불가능하다. 즉, 어떤 고유공간이 너무 작으면 대각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경우 가 대각화 가능하려면 중복도가 2 이상인 고윳값의 고유공간의 차원이 반드시 중복도와 같아야 한다. 그러면 대각화 가능하고, 고유공간의 기저를 모으면 를 대각화하는 의 기저를 얻는다.
그러면 이 문장 하나로 모든 것을 요약할 수 있다. 의 고유공간의 기저의 합집합이 의 기저가 되면 는 대각화 가능하다. 이 과정이 어떤 이유에서든 실패하면 는 대각화 불가능하다.
-
그러나 를 대각화할 수 없는 경우라고 해도 아직 희망은 남아있다. 물론 대각행렬표현이 를 가장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는 형태이긴 하지만, 이 형태를 대체할 수 있는 여러가지 행렬표현 형태들이 존재한다. 이 행렬표현을 표준형이라 한다.
대각화 불가능한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는 경우 조르당 표준형으로 를 행렬표현하면 된다.
대각화 불가능한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지 않으면 유리 표준형으로 를 행렬표현한다.
- 대각화 요약을 그대로 가져와서 다시 한 번 강조한 것이다.
Generalized Eigenvector and Eigenspace✔
일반화된 고유벡터(generalized eigenvector)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와 스칼라 와 어떤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을 만족하는 를 고윳값 에 대응하는 의 일반화된 고유벡터라 한다.
일반화된 고유공간(generalized eigenspace)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와 의 고윳값 에 대하여 다음 집합을 에 대응하는 의 일반화된 고유공간이라 한다.
정리 7.1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와 의 고윳값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일반화된 고유공간 는 고유공간 를 포함하는 -불변 부분공간이다.
-
의 임의의 고윳값 가 이면 이다.
-
임의의 스칼라 에 대하여 는 전단사이다.
-
증명
1:
는 자명하다. 일반화된 고유공간의 정의에 의하여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가 존재한다.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다. 즉, 는 벡터합에 대하여 닫혀있다. 가 스칼라 곱에 대하여 닫혀있음을 보이는 것은 쉽다. 따라서 정리 1.3 에 의하여 는 의 부분공간이다. ▲
에 대하여 인 양의 정수 가 존재한다. 에 대한 다항식은 와 가환적이다. 즉,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즉, 이다. 따라서 는 -불변이다. ▲
고유공간 와 일반화된 고유공간 의 정의로부터 는 자명하다. ▲
2:
이면 다음을 만족하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에 대한 다항식 와 는 서로소이므로 다음을 만족하는 다항식 가 존재한다.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
3:
1) 에 의하여 는 -불변이므로 는 -불변이다. 에 대하여 이기 때문이다.
어떤 에 대하여 이면 이므로 2) 에 의하여 이다. 따라서 정리 2.4 에 의하여 는 단사이다. ▲
와 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양의 정수 에 대하여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를 스칼라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두자.
의 어떤 원소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그러면 정리 2.10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부분공간은 선형공간이므로 덧셈에 대하여 선형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즉, 는 의 -불변 부분공간이다. 그러면 는 -불변이다. 이기 때문이다. 즉, 이다. 가 단사이므로 도 단사이다. 는 유한차원이므로 정리 2.5 에 의하여 는 전사이다. 인데 가 전단사이므로 인 가 존재한다.
즉, 위와 같은 논리로 임의의 벡터 에 대하여 인 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그러면 전사의 정의 에 의하여 는 전사이다. ■
정리 7.2
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면 중복도가 인 의 고윳값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1) 은 정리 5.7 이 일반화된 것이다.
-
2) 는 고유공간의 정의 가 일반화된 것이다.
-
증명
1:
의 특성다항식을 로 두자. 정리 7.1-(2) 는 일반화된 고유공간에 다른 일반화된 고유공간의 고유벡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해준다. 따라서 는 유일한 고윳값 를 갖는다. 로 두면 정리 5.3 에 의하여 이다. 정리 5.20 에 의하여 의 특성다항식 는 의 특성다항식을 나눈다. 따라서 이다. ▲
2:
은 일반화된 고유공간 에 포함될 조건을 만족하므로 이다. ▲
인 고윳값 에 대하여 을 곱한 꼴인 에 대하여 의 특성다항식은 이다. 정리 7.1-(3) 에 의하여 는 전사이다. 따라서 에 대하여 인 가 항상 존재한다. 케일리-해밀턴 정리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다. ■
정리 7.3
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면 의 서로 다른 고윳값 와 임의의 와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벡터 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
증명
의 특성다항식을 다음과 같이 두자.
에 대하여 를 다음과 같이 두자.
다항식 들은 서로소이므로 서로소 다항식들의 관계 정리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두 다항식은 가환적이다. 라 하면 케일리-해밀턴 정리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즉, 이다. 이로써 를 만족하는 들의 존재성이 증명되었다. ▲
이제 들의 유일성을 증명하자. 정리 7.1-(1) 에 의하여 는 -불변이다. 따라서 각 들은 -불변이다. 정리 7.1-(3) 에 의하여 는 에서 단사이고 정리 7.2-(2) 에 의하여 에 대하여 이다. 즉, 이다.
에 대한 에 대하여 라 하면 에 대하여 는 선형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이면 이므로 이다. 는 에서 단사이므로 이다. ■
정리 7.4
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의 특성다항식이 다음과 같이 완전히 인수분해된다고 가정하자.
와 의 순서기저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는 의 순서기저이다.
-
-
증명
1:
정리 7.1-(2) 에서 바로 나온다. ▲
2:
의 벡터들의 합을 라 하고 의 일차결합을 이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이 식은 일 때 성립한다. 정리 7.3 에 의하여 반드시 이다. 는 기저이므로 일차독립이고, 에서 모든 계수가 이 된다. 따라서 는 일차독립이다. ▲
정리 7.3 에 의하여 임의의 벡터 에 대하여 인 벡터 가 존재한다. 는 의 일차결합이므로 는 의 일차결합이다. 즉, 이다. ▲
3:
정리 5.3 에 의하여 의 특성다항식 에 대하여 이다. 따라서 이다. 한편 2) 는 들이 서로 일차독립임을 말해주므로 이다. 따라서 이다. 정리 7.2-(1) 에 의하여 인데 이면 모순이므로 이다. ■
정리 7.4 따름정리
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면 다음이 동치이다.
-
가 대각화가능하다.
-
의 임의의 고윳값 에 대하여 이다.
-
증명
정리 5.8-(1) 은 모든 고윳값 의 중복도가 와 같으면 가 대각화가능함을 말해준다. 정리 7.4-(3) 은 고윳값의 중복도가 와 같으므로 모든 고윳값에 대하여 인 것과 가 대각화가능하다는 것은 동치임을 말해준다.
가 대각화가능함을 가정하자. 이다. 이므로 이다. ▲
이면 이므로 는 대각화가능하다. ■
The Jordan Canonical Form I✔
조르당 블록(Jordan block), 조르당 표준형(Jordan canonical form), 조르당 표준기저(Jordan canonical basis)
유한차원 벡터공간 에서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는 선형연산자 와 와 의 고윳값 에 대하여 행렬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일반화된 고유공간 의 순서기저 를 적절히 선택하여 합집합 를 만들면 행렬 와 영행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행렬 를 고윳값 에 대응하는 조르당 블록(Jordan block) 이라 한다.
-
행렬 를 의 조르당 표준형(Jordan canonical form) 이라 한다.
-
를 조르당 표준형으로 만드는 순서기저 를 의 조르당 표준기저(Jordan canonical basis) 라 한다.
-
정리 7.4-(2) 에 의하여 일반화된 고유공간들의 순서기저의 합집합 는 의 순서기저가 된다. 따라서 로 선형연산자 를 행렬표현 할 수 있다.
-
들이 꼴이면 는 대각행렬이 된다.
-
예시
의 선형연산자 와 의 조르당 표준기저 에 대하여 다음 행렬 는 의 조르당 표준형이다.
의 특성다항식은 이다. 각 고윳값은 그 중복도만큼 의 대각성분에 등장한다. 는 고윳값 에 대한 조르당 블록 와 고윳값 에 대한 조르당 블록 과 고윳값 에 대한 조르당 블록 으로 이루어진 의 조르당 표준형이다.
의 모든 벡터는 의 일반화된 고유벡터이고 의 고유벡터는 이다. 1열, 4열, 5열, 7열만이 유일하게 대각성분만을 지니기 때문에 꼴이 성립한다. 의 벡터들이 의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정의를 만족할까? 이다. 비슷한 논리로 이다.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즉, 는 의 일반화된 고유벡터이다. 비슷한 논리로 다음을 얻는다.
-
조르당 표준형이 연산자의 특성다항식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위 예시의 에 대한 의 선형연산자 의 행렬표현(조르당 표준형)이 다음과 같다고 하면 여전히 의 특성다항식은 이지만 조르당 표준형이 와 다르다.
선형연산자 의 조르당 표준기저의 벡터 와 이에 대응하는 조르당 블록과 그 대각성분 에 대하여 이다.
-
바로 위의 예시를 가져와서 설명해보자. 에 대하여 이 성립한다. 에 대하여 이다. 에 대하여 이다.
-
이 성질로부터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정의가 자연스럽게 유도된다.
cycle✔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cycle), 순환의 시작벡터(initial vector) 와 종료벡터(end vector), 순환의 길이(length)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와 고윳값 에 대응하는 의 일반화된 고유벡터 와 인 가장 작은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 순서집합을 에 대응하는 의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이라 한다.
-
벡터 를 순환의 시작벡터라 한다.
-
벡터 를 순환의 종료벡터라 한다.
-
를 순환의 길이라 한다.
-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은 조르당 연쇄(Jordan chain)이라고도 한다.
-
조르당 표준기저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화된 고유공간의 순서기저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고 했었다. 일반화된 고유공간의 순서기저를 적절히 선택하기만 하면 정리 7.4 에 의하여 조르당 표준기저를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그 "적절히" 라는 것이 대체 뭘까? 조르당 표준기저 의 예시에서 보았던 조르당 표준기저 에 대하여 이다. 는 조르당 블록 을 결정했었는데, 이들 벡터는 다음과 같은 꼴이다. 이때 이다.
의 서로소 부분집합 은 의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이다. 는 이 순환들로 분할된다. 이때 에 대하여 로 두면 는 의 기저이고 는 의 조르당 표준형의 번째 조르당 블록 가 된다. 즉, 가 되어 조르당 표준기저를 로 만들 수 있다.
-
시작벡터는 순환의 유일한 고유벡터이다. 가 의 고유벡터이면 순환의 길이는 이다.
정리 7.5
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면 의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의 분할로 표현되는 의 기저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에 속하는 일반화된 고유벡터로 이루어진 임의의 순환 에 대하여 는 -불변 부분공간이고 는 조르당 블록이다.
-
는 의 조르당 표준기저이다.
-
이 정리는 순환을 기반으로 조르당 표준기저를 찾는 방법을 알려준다. 그러나 이 정리를 사용하려면 먼저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으로 분할되는 기저의 존재성이 성립해야 한다. 순환으로 분할되는 기저가 존재할 필요충분조건은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된다는 것인데 아래의 정리 7.7 따름정리에서 이를 증명할 것이다.
-
조르당 표준기저 의 예시에서 순환 은 조르당 블록 을 만들었다. 1) 은 임의의 순환, 즉 가령 를 택해도 조르당 블록 이 생성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물론 이런 식으로 조르당 블록을 생성하면 조르당 표준형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의 기저 가 순환의 분할로 표현된다는 조건으로 인하여 임의의 순환을 택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드시 합집합해서 의 기저가 되는 순환을 택해야 조르당 표준기저를 만들 수 있다. 이는 순환이 되는 극대집합을 택해야 조르당 표준기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은 순환 극대집합이다. 이나 도 순환이지만 극대집합이 아니므로 이것으로 의 기저를 분할할 수 없다.
-
증명
1:
고윳값 에 대응하는 길이가 인 순환 와 의 종료벡터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이다. 일 때는 다음이 성립한다.
즉, 모든 경우에서 는 의 기저 의 벡터를 의 일차결합으로 사상시킨다. 따라서 는 -불변이다. 그러면 자명하게 는 -불변이다. ▲
이고 이므로 는 조르당 블록이다. ▲
2:
가 순환 로 분할된다고 하자. 고윳값 에 대응하는 순환 에 대하여 1)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즉, 순환 은 1) 에 의하여 조르당 블록 를 만든다. 따라서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즉, 순환으로 분할되는 의 기저는 조르당 표준기저이다. ■
문제 7.1-5
고윳값 에 대응하는 선형연산자 와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 의 시작벡터가 서로 다르면 순환들은 서로소이다.
-
증명
순환 의 시작벡터가 서로 다른데도 라고 하면 를 만족하는 가장 작은 정수 를 찾을 수 있다. 그러면 의 시작벡터는 이다.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와 에 동시에 속하는 원소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시작벡터가 다른 순환들은 서로소이다. ■
정리 7.6
벡터공간의 선형연산자 와 가 각각 의 고윳값 에 대한 의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이라 하자. 의 시작벡터들이 서로 다르고 시작벡터들의 집합이 일차독립이면 들은 서로소 집합이고 는 일차독립이다.
-
증명
문제 7.1-5 에 의하여 들은 서로소이다. ▲
가 일차독립임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보이자. 이면 자명하다. 자연수 에 대하여 이면 가 일차독립임을 가정하고 일 때 일차독립임을 보이면 증명이 끝난다.
의 꼴이고 이다. 즉, 에 의해 생성된 부분공간 는 -순환 부분공간이다. 문제 5.4-11 에 의하여 는 -불변이다. 에 의해 생성된 부분공간을 로 두면 들이 서로소이므로 이다. 따라서 에 대하여 인데, 이고 는 합에 대하여 닫혀있으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즉, 도 -불변이다. 또한 이므로 이다.
라 하고, 의 종료벡터를 제거하여 얻은 순환을 라 하자. 의 길이가 이면 이다. 이면 이다. 반대로 이다. 따라서 로 두면 이다. 이고 의 시작벡터는 들의 시작벡터이므로 의 시작벡터는 서로 다르다. 그러면 귀납법의 가정에 의하여 은 일차독립이다. 따라서 는 의 기저가 된다. 따라서 이다.
들의 시작벡터들은 일차독립이고 시작벡터에 를 한번 더 씌우면 가 되므로 시작벡터들은 에 속한다. 따라서 이다.
그러므로 과 차원정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즉, 이다. 따라서 는 의 기저이고, 곧 일차독립이다. ■
정리 7.6 따름정리
선형연산자의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은 일차독립이다.
- 정리 7.6 의 특수한 경우가 이 정리이다.
정리 7.7
유한차원 벡터공간의 선형연산자 와 의 고윳값 에 대하여 는 에 대응하는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으로 분할되는 순서기저를 가진다.
-
조르당 블록에서의 예시에서 대각성분 2 를 갖는 일반화된 고유공간 의 경우 에 대응하는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으로 분할되는 순서기저 을 갖는다. 이 순서기저는 순환 과 순환 으로 분할된다.
이 정리는 이렇게 일반화된 고유공간마다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으로 분할되는 순서기저가 존재함을 말해준다.
-
증명
으로 두고 에 대한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자. 이면 기저의 벡터가 하나이므로 자명하다. ▲
자연수 에 대하여 일 때 정리가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라 하고, 라 하자.
정리 7.1-(1) 에 의하여 가 -불변이므로 -불변이기도 하고, 의 공역은 이다. 따라서 의 치역 는 의 부분공간이고, 이다. 의 기저를 로 두면 가 -불변이므로
이다. 정리 7.1-(1) 에 의하여 이다. 즉, 인 벡터 가 존재한다. 따라서 가 된다. 그러므로 이다. ▲
는 연산자 의 고윳값 에 대응하는 일반화된 고유벡터로 이루어진 공간이다. ★ 즉, 귀납법의 가정에 의하여
정리 7.7 따름정리 1
유한차원 벡터공간의 선형연산자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면 는 조르당 표준형을 가진다.
-
이 정리는 선형연산자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면 선형연산자가 조르당 표준형을 가진다는 것을 말해준다. 즉, 가정이 성립할 때 조르당 표준기저의 존재성을 보장해준다.
-
증명
유한차원 벡터공간을 라 하자.
의 서로 다른 고윳값을 라 하면 정리 7.7 에 의하여 각 에 에 대하여 는 에 대응하는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으로 분할되는 순서기저 를 갖는다. 는 정리 7.5(2) 에 의하여 는 의 조르당 표준기저이다.
행렬의 조르당 표준형(Jordan canonical form)
행렬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된다고 하자. 의 선형연산자 의 조르당 표준형을 의 조르당 표준형이라 한다.
-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되면 의 특성다항식도 완전히 인수분해 된다.
정리 7.7 따름정리 2
행렬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될 때 다음이 성립한다.
- 는 조르당 표준형 를 가진다.
- 는 와 닮음이다.
-
증명
-
예시
위 행렬의 특성다항식은 로써 완전히 인수분해된다. 정리 7.4(3) 에 의하여 이다.
정리 7.2 에 의하여 이다. 또한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은 에 대응하는 고유벡터이고 의 기저이다.
정리 7.7 에 의하여 는 순환으로 분할되는 순서기저를 갖는다. 이 기저는 이므로 길이가 1 인 두 순환의 합집합이거나 길이가 2 인 순환 하나이다. 의 1행과 3행은 일차종속이다. 따라서 정리 3.6 따름정리 2 에 의하여 의 랭크는 이다. 그러면 대각화 가능 판정법 정리(2) 에 의하여 이다. 만약 기저가 길이가 1 인 두 순환의 합집합이라면 조르당 블록이 형태일 것인데 이 경우 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기저는 길이가 2 인 한 순환으로 이루어져있다는 결론이 나오며,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은 에 대응하는 의 고유벡터이고, 이 벡터를 순환의 시작벡터로 잡으면 의 임의의 해가 종료벡터가 된다. 으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가령 으로 두면 가 되므로 에 대한 일반화된 고유벡터의 순환은 다음과 같다.
고유공간의 기저들의 합집합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의 조르당 표준기저이고 다음 행렬 는 의 조르당 표준형이다.
정리 5.1 따름정리 에 의하여 의 벡터를 열로 가지는 행렬 에 대하여 가 성립하므로 와 는 닮음이다.
정리 7.8
유한차원 벡터공간 의 선형연산자 의 특성다항식이 완전히 인수분해될 때 는 의 일반화된 고유공간의 직합이다.
-
이는 정리 5.10 을 대각화 불가능한 연산자에 대하여 일반화한 것이다.
-
증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