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rivative
Derivative✔
평균변화율(average rate of change)
함수
-
와 로 두고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도 있다. 이때 는 "~의 변화"를 뜻한다. -
평균변화율이란
가 에서 까지 변할 때의 가 만큼 변한다는 의미이다. -
평균변화율은 기하학적으로
위의 두 점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다. -
예시
함수
에 대하여 값이 에서 로 변할 때 평균변화율을 다음과 같다.이는
가 변할 때 가 평균적으로 변했다는 뜻이다.
정의 5.2.1 미분계수(순간변화율, derivative at point), 미분가능성(differentiable)
구간
점
집합
-
로 두고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도 있다. 이때 는 "~의 변화"를 뜻한다.일반적으로
로 더욱 간단히 표기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한 는 라고도 표기한다. 란 의 무한히 작은 변화량을 뜻한다. -
함수
의 에 대한 미분은 변수 가 변할 때 변수 가 변하는 변화율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이 경우 미분은 그래프의 각 지점에서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위와 같은 선형 함수의 경우
가 변할 때 변수 가 변하는 변화율이 일정하다. 그래서 이 함수의 미분계수는 상수로 일정하다. 위 그림에서 선형 함수 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라는 표현은 " 에서의 변화" 라고 읽으면 된다.만약 그래프가 선형이 아닐 경우 각각의 지점에서
가 으로 수렴할 때의 를 미분값으로 구하게 된다.
위 그림은
가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을 측정한다. 이때 이다.
그러나 위 그림은
로 보내서 가 로 수렴할 때의 순간변화율을 측정한다. 이것이 미분계수가 된다. -
예시
의 에서 미분계수를 구해보자.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예시
의 의 미분계수는 인데 우극한과 좌극한이 각각 과 로 서로 다르므로 정리 4.6.3 에 의하여 미분불가능하다.
도함수(미분, derivative)
미분 가능 함수
-
로 두고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이때
로 간단히 표현해서 다음과 같이 편하게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인 미분(differentiation)을 정의역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집합을 정의역으로 갖고, 공역을 함수 집합으로 갖는 연산자
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면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로 쓸 수 있다. -
도함수를 미분이라는 용어로 사용하면 derivative 이고,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 자체를 미분이라는 용어로 사용하면 differentiation 이다. 영어에서는 이렇게 derivative 와 differentiation 을 구별하지만 한글에서는 미분이라는 용어가 다양하게 사용되니 주의해야 한다.
-
함수
를 미분할 때 수학자들마다 다양한 표기법을 사용했다. -
라이프니츠 표기법
를 에 대하여 미분할 때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가 변할 때( ) 가 변하는( ) 변화율( )을 표현한 것이다. 를 " 의 무한히 극미한 변화량" 으로 읽으면 된다. 한 없이 에 가까워지는 를 로 표현한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로 표현하는 것이다.이계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계도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라이프니츠의 표기법에서 특정한 점
에서의 미분계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라그랑주 표기법(prime notation)
라그랑주는 함수
의 미분을 로 표기했다. 고차 미분은 다음과 같이 표기했다.이 표기법은 프라임 기호(
)를 여러번 쓸 수 없어서 로 발전했다. 가령 4번 미분하면 로 표기한다. -
오일러 표기법
오일러는 미분 연산자
를 함수 에 적용한다는 의미로 의 도함수를 로 썼다. 계도 함수는 로 표기한다. 에서 독립변수 에 가 의존하면 독립변수 를 표기하기 위하여 와 같이 표기했다. 그러나 이 경우 변수가 밖에 없는 일변수함수인 자명한 상황이기 때문에 를 생략하여 또는 로 표기한다.
Differentiable and Continuity✔
정리 5.2.3
함수
-
함수가 연속이라고 해서 미분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음과 같이
는 연속이지만 에서 미분불가능하다.
그러나 이 정리는 미분가능이면 연속임을 말해준다.
-
증명
가 에서 미분가능하면 극한값 가 존재한다. 이를 기반으로 를 증명하면 정리 4.3.2에 의하여 증명이 끝난다.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이는
을 뜻한다. ■
Differentiability classes✔
미분가능성 계층(Differentiability classes), 연속 미분가능한 함수(continuously differentiable), 매끄러운 함수(smooth function)
함수
특히,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가 연속이면 이다. -
가 미분가능하고 이면 이고, 연속 미분가능(continuously differentiable)하다고 한다. -
가 무한히 미분가능하면 함수라 하고, 매끄럽다(smooth)고 한다. -
가 해석함수면 함수라 한다.
-
집합은 집합을 진부분집합으로 가진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
미분가능한 함수는 다음과 같이 국소적으로 선형근사 가능하다.

Combinations of Differentiable Functions✔
정리 5.2.4 미분가능한 함수와 사칙연산(combinations of differentiable functions)
구간
-
-
-
-
(단, )
-
곱함수를
라고 표기하고 합성함수를 라고 표기한다. 3) 의 는 합성함수의 미분법이 아니라 곱의 미분법이다. -
증명
1: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2: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쉽게 증명할 수 있다.
3:
먼저 다음이 성립한다.
는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정리 5.2.3 에 의하여 에서 연속이고 정리 4.3.2 에 의하여 이다. 그러면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4:
먼저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Chain Rule✔
정리 5.2.5 연쇄법칙(chain rule)
- 합성함수
가 에서 미분가능하고, 이다.
-
증명
합성함수
의 미분계수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그러나 임의의 근방
에 속하는 에 대하여 이면 분모가 이 된다. 그러면 극한값이 정의되지 않고, 결국 미분계수도 존재하지 않아 미분 불가능하다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해보자. ▲일단
가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다음 극한값이 존재한다.이때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하자.
그러면
이다. 에서 이면 분모가 이 되므로 정의되지 않지만, 인 경우에는 를 로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로 정의하자.그러면
이므로 정리 4.3.2에 의하여 는 에서 연속이다. ▲ 일 때 이 성립하는데 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그런데 이 식은
일 때에도 성립한다. 따라서 는 임의의 에 대한 에 대하여서도 성립한다.그러면
인 에 대하여 를 로 나누면 다음이 성립한다.여기에
의 극한을 취하면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즉,
의 에서의 미분계수가 존재하므로 에서 미분가능하고, 그 값은 정리의 결론대로 증명되었다. ■
Interior Extremum Theorem✔
정리 5.2.6 페르마 정리(내부 극값 정리, interior extremum theorem)
열린 구간
-
가 에서 최대값을 가지면 이다. -
가 에서 최소값을 가지면 이다.
-
이 정리는 미분가능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미분계수가
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1:
가 열린 구간 에 속해 있으므로 모든 에 대하여 이면서 로 수렴하는 수열 이 존재한다. 가 최대값이므로 모든 에 대하여 이고 극한과 부등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같은 논리로
에 대한 부등식도 취할 수 있는데 에 대해서는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다. ■2:
1) 을 증명한 논리와 같은 논리로 쉽게 증명할 수 있다. ■
Darboux's theorem✔
정리 5.2.7 다르부 정리(Darboux's theorem)
함수
-
이 정리는 도함수는 사잇값 성질을 만족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만약 도함수가 서로 다른 값
와 를 가지면 그 사이 모든 값을 함수값으로 가진다. 이로써 도함수는 불연속일 수도 있지만 사잇값 성질은 반드시 만족한다. -
그런데 연속함수는 반드시 사잇값 성질을 만족한다. 그러므로 모든 연속함수는 어떤 함수의 도함수이다. 이로써 도함수 집합은 적어도 연속함수를 포함하지만, 도함수 집합을 간결하게 특정하는 일은 지금도 성공적이지 못하다.
-
증명
에서 새로운 함수 를 정의하면 는 에서 미분가능하고 이다. 그러면 일 때 어떤 에 대하여 임을 보이면 된다. ▲먼저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함을 보이자. 로 수렴하는 수열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분모는 반드시 양수다. 분자가 음수가 아니면 극한과 부등식에 의하여 모순이므로 분자는 음수이다. 따라서
와 가까운 어떤 점 가 존재하여 를 만족시킨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와 가까운 어떤 점 가 존재하여 를 만족시킨다. ▲이제 어떤 점
가 를 만족시킨다는 것을 보이자. 먼저 닫힌 구간은 콤팩트하므로 은 콤팩트하다. 또한 가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는 에서 연속이다. 그러면 최대-최소 정리에 의하여 는 어떤 점 에서 최소값을 갖는다.위의 논의에 의하여
와 는 항상 어떤 점보다 크므로 둘 다 최솟값이 아니다. 그러면 페르마의 정리에 의하여 이고, 이며, 다음이 성립한다.■
Mean Value Theorem✔
Rolle's theorem✔
정리 5.3.1 롤의 정리(Rolle's theorem)
구간
-
롤의 정리는 평균값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다.
-
롤의 정리의 기하학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구간의 최솟값과 최댓값이 같을 때 미분계수가
인 점 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
증명
닫힌 구간은 콤팩트하므로
은 콤팩트하다. 또한 가 에서 연속이므로 최대-최소 정리에 의하여 는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와 가 최댓값과 최솟값이 되면 는 상수함수가 되고 전체에서 이 된다. 이 경우 의 존재성은 자명하다. ▲ 가 내부의 어떤 점 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가지면 페르마의 정리에 의하여 이다. ■
Mean Value Theorem✔
정리 5.3.2 평균값 정리(mean value theorem)
-
즉, 평균값 정리는 구간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한 양 끝점 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와 기울기가 같은 접선의 존재성을 보장해준다. 다음 그림은 평균값 정리의 기하학적 의미를 바로 보여준다.
-
이 정리에서
인 경우가 롤의 정리이다. -
증명
두 점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이 직선과
의 차이를 나타내는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연속성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는 에서 연속이다. 또한 는 에서 미분가능하고 이다. 그러면 롤의 정리에 의하여 인 점 가 존재한다. 이때 는 다음과 같다. 이므로 증명이 끝났다. ■
따름정리 5.3.3
함수
-
이 정리는 모든 미분계수가
이면 그 함수는 상수함수임을 말해준다. 상수함수의 도함수가 임은 자명하지만, 이 정리는 그 역을 증명한 것이다. -
증명
인 임의의 에 대하여 구간 에서 에 대하여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이므로 이다. 이 값을 라고 하자. 를 임의로 선택했으므로 이다. ■
따름정리 5.3.4
구간
-
증명
함수
를 정의하면 이다. 따름정리 5.3.3 에 의하여 이다. ■
Generalized Mean Value Theorem✔
정리 5.3.5 코시 평균값 정리(일반화된 평균값 정리, generalized mean value theorem)
닫힌 구간
구간
-
GMVT 라고도 부른다.
-
증명
함수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연속성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는 에서 연속이고, 정리 5.2.4 에 의하여 는 에서 미분가능하다.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면 롤의 정리에 의하여
인 가 존재한다. 에 를 대입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L'Hospital's Rules✔
정리 5.3.6
실수
-
-
가 에서 미분 가능하다. -
-
이 존재한다.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임의의 양수
와 어떤 실수 에 대하여 이므로 함수의 극한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이
가 도 만족시킨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일단
인 를 선택할 수 있다. 이제 닫힌 구간 에서 함수 에 코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점 가 존재한다.이
는 를 만족시키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5.3.8
열린구간
-
-
가 에서 미분가능하다. -
-
이 존재한다.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이므로 모든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이 존재한다. 를 고정된 값 으로 두자. ▲모든
에 대하여 구간 에서 코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를 얻는다. 이 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모든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에 를 곱하여 를 분리시키려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 값이 양수임을 보이려 하는데 이는 를 보이는 것과 같다. 이므로 모든 에 대하여 을 만족하게 하는 가 존재한다. 이제 에 이 값을 곱하면 다음을 얻는다. 이므로 일 때 가 충분히 커서 다음 두 식의 절댓값이 모두 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가 존재한다. 를 택하면 모든 에 대하여 은 다음과 같다.■
Differentiation Rules✔
아래의 미분법들은 기본적으로 미분가능한 실함수를 가정한다.
그러나 복소함수를 포함한 잘 정의된 임의의 함수에 대하여서도 성립한다.
Differentiation is linear✔
미분 연산은 선형이다. 즉, 임의의 함수
-
라이프니츠 표기법으로 미분이 선형임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증명
미분가능한 함수와 사칙연산에 의하여 쉽게 증명가능하다. ■
Product Rule✔
Product rule
함수
-
라이프니츠 표기법
-
증명
미분가능한 함수와 사칙연산와 같은 논리로 증명 가능하다.
Chain Rule✔
연쇄 법칙(chain rule)
함수
-
라이프니츠 표기법
또는 다음과 같이 축약되어 표기할 수도 있다.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
오일러 표기법
미분 연산자
를 사용한 오일러 표기법으로 연쇄법칙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증명
정리 5.2.5 연쇄법칙과 같은 논리로 증명된다. ■
-
예시
Inverse Function Rule✔
Inverse function rule
함수
-
라이프니츠 표기법
이에 따라
이 성립한다. -
예시
는 역함수 를 가진다. 따라서 이고 다음이 성립한다.이 결과는 역함수의 도함수의 공식
을 사용하여 도함수를 구한 것과 똑같다.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연쇄법칙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Reciprocal rule✔
nonvanishing function
정의역
Reciprocal rule
함수
-
라이프니츠 표기법
-
증명
nonvanishing 함수
가 미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Quotient rule✔
Quotient rule
함수
-
증명
미분가능한 두 함수
에 대하여 Product rule, Reciprocal rule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Derivative of exponential function✔
-
증명
1:
2:
로 두면 이고,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지수 함수의 미분(derivative of exponential function)
상수
-
증명
1:
지수함수
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
2:
1) 의 결과에
를 대입하면 바로 나온다. ■
Derivative of logarithmic function✔
로그함수의 미분(derivative of logarithmic function)
-
증명
1:
로그함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이때
로 두면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2:
를 대입하면 바로 나온다. ■
Power rule✔
Power rule
함수
-
증명(https://en.wikipedia.org/wiki/Power_rule)
인 경우 실수 제곱의 정의 에 의하여 이고, 다음이 성립한다.▲
인 경우 이므로 이 되어 실수 제곱의 정의를 사용하여 똑같은 방식으로 임을 증명할 수 있다.그러나
은 이 무리수일 때 정의되지 않고, 짝수 분모를 갖는 유리수일 때는 허수가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이 반드시 홀수 분모를 갖는 유리수여야만 성립한다. ▲ 일 때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이 값은
이 이고 홀수 분모를 갖는 유리수일 때 이고, 일 때 이다. 그 이외의 경우 은 일 때 정의되지 않거나 실수가 아니게 된다. ▲ 인 경우 즉, 인 경우도 제외된다. 왜냐하면 함수 가 에서 극한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극한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은 가 으로 다가갈 때 로 다가가는데 비해, 은 가 으로 다가갈 때 으로 다가가기 때문이다. 이 경우를 어떤 경우에 포함시키든 모순이 발생한다. 따라서 관례적으로 이 경우는 정의하지 않은채로 내버려둔다. ■
Generalized Power rule✔
generalized power rule
임의의 두 함수
-
power rule 은 일반화될 수 있는데 이 정리가 가장 일반화된 power rule 이다. 이 정리가 특수화된 대표적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일 경우 일 때 이다. -
이 되면 reciprocal rule 이 된다.
-
-
증명
■
Derivatives of trigonometric functions✔
삼각함수의 도함수(derivatives of trigonometric functions)
-
-
-
(단, ) -
(단, ) -
(단, ) -
(단, )
-
증명
1:
사인함수의 테일러 급수는
에서 사인함수로 수렴한다. 그런데 멱급수는 수렴구간 에서 미분가능하다. 그러면 코사인 함수의 멱급수 전개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2:
코사인함수의 테일러 급수는
에서 코사인함수로 수렴한다. 그런데 멱급수는 수렴구간 에서 미분가능하다. 그러면 사인 함수의 멱급수 전개에 의하여 이 증명이 성립한다. ■3:
지금까지 증명해온 미분법을 기반으로 이 증명에 의하여 쉽게 증명된다.
4:
지금까지 증명해온 미분법을 기반으로 이 증명에 의하여 쉽게 증명된다.
5:
지금까지 증명해온 미분법을 기반으로 이 증명에 의하여 쉽게 증명된다.
6:
지금까지 증명해온 미분법을 기반으로 이 증명에 의하여 쉽게 증명된다.
역삼각함수의 도함수(derivatives of 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s)
역삼각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역삼각함수의 도함수들의 정의역은 역삼각함수의 정의역에 따른다.
-
증명
지금까지 정리된 미분법들을 기반으로 다음의 증명들에 의하여 쉽게 증명할 수 있다.
1: https://proofwiki.org/wiki/Derivative_of_Arcsine_Function
2: https://proofwiki.org/wiki/Derivative_of_Arccosine_Function
3: https://proofwiki.org/wiki/Derivative_of_Arctangent_Function
4: https://proofwiki.org/wiki/Derivative_of_Arccotangent_Function
5: https://proofwiki.org/wiki/Derivative_of_Arcsecant_Function
6: https://proofwiki.org/wiki/Derivative_of_Arccosecant_Function
Derivatives of hyperbolic functions✔
Derivatives of hyperbolic functions
쌍곡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
증명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