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erivative

Derivative

평균변화율(average rate of change)

함수 f:XYf:X \to Y 에서 정의역의 원소 aabb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은 다음과 같다.

f(b)f(a)ba \frac{f(b)-f(a)}{b-a}
  • Δx=ba\Delta x = b - aΔy=f(b)f(a)\Delta y = f(b) - f(a) 로 두고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도 있다. 이때 Δ\Delta 는 "~의 변화"를 뜻한다.

    ΔyΔx=f(b)f(a)ba=f(a+Δx)f(a)Δx \frac{\Delta y}{\Delta x} = \frac{f(b)-f(a)}{b-a} = \frac{f(a+\Delta x)-f(a)}{\Delta x}
  • 평균변화율이란 xXx \in Xaa 에서 bb 까지 변할 때의 yYy \in YΔyΔx\frac{\Delta y}{\Delta x} 만큼 변한다는 의미이다.

  • 평균변화율은 기하학적으로 y=f(x)y = f(x) 위의 두 점 (a,f(a)),(b,f(b))(a,f(a)),(b,f(b))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다.

  • 예시

    함수 f(x)=x2+2f(x) = x^2 + 2 에 대하여 xx 값이 00 에서 22 로 변할 때 평균변화율을 다음과 같다.

    ΔyΔx=f(2)f(0)20=(22+2)22=2 \frac{\Delta y}{\Delta x} = \frac{f(2) - f(0)}{2 - 0} = \frac{(2^2+2)-2}{2} = 2

    이는 xx11 변할 때 yy 가 평균적으로 22 변했다는 뜻이다.

정의 5.2.1 미분계수(순간변화율, derivative at point), 미분가능성(differentiable)

구간 AA 에서 정의된 함수 f:ARf: A \to \R 와 주어진 cAc \in A 에 대하여 다음 극한값이 존재하면 이를 cc 에서 ff 의 미분계수라 한다.

f(c)=limxcf(x)f(c)xc f'(c) = \lim_{x \to c} \frac{f(x) - f(c)}{x - c}

cc 에서 ff 의 미분계수가 존재하면 ffcc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집합 AA 의 모든 점에서 ff' 가 존재하면 ffAA 에서 미분가능하다고 한다.

  • Δx=xc\Delta x = x - c 로 두고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도 있다. 이때 Δ\Delta 는 "~의 변화"를 뜻한다.

    f(c)=limΔx0f(Δx+c)f(c)Δx f'(c) = \lim_{\Delta x \to 0} \frac{f(\Delta x + c) - f(c)}{\Delta x}

    일반적으로 Δx=h\Delta x = h 로 더욱 간단히 표기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f(c)=limh0f(h+c)f(c)h f'(c) = \lim_{h \to 0} \frac{f(h + c) - f(c)}{h}
  • cc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f 에 대한 f(c)f'(c)dfdx(c)\dfrac{df}{dx}(c) 라고도 표기한다. dxdxxx 의 무한히 작은 변화량을 뜻한다.

  • 함수 y=f(x)y = f(x)xx 에 대한 미분은 변수 xx 가 변할 때 변수 yy 가 변하는 변화율을 측정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이 경우 미분은 그래프의 각 지점에서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위와 같은 선형 함수의 경우 xx 가 변할 때 변수 yy 가 변하는 변화율이 일정하다. 그래서 이 함수의 미분계수는 상수로 일정하다. 위 그림에서 선형 함수 y=f(x)=mx+by = f(x) = mx + b 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m=ΔyΔx m = \dfrac{\Delta y}{\Delta x}

    "Δx\Delta x" 라는 표현은 "xx에서의 변화" 라고 읽으면 된다.

    만약 그래프가 선형이 아닐 경우 각각의 지점에서 Δx\Delta x00 으로 수렴할 때의 ΔyΔx\dfrac{\Delta y}{\Delta x} 를 미분값으로 구하게 된다.

    위 그림은 xxx+hx + h 까지 변할 때의 평균변화율을 측정한다. 이때 Δx=x+hx=h\Delta x = x + h - x = h 이다.

    그러나 위 그림은 h0h \to 0 로 보내서 Δx\Delta x00 로 수렴할 때의 순간변화율을 측정한다. 이것이 미분계수가 된다.

  • 예시

    f(x)=xnf(x) = x ^{n}cRc \in \R 에서 미분계수를 구해보자. 미분계수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c)=limxcxncnxc=limxc(xc)(xn1+cxn2++cn1)xc=limxc(xn1+cxn2++cn1)=ncn1 \begin{align}\begin{split} f'(c) = \lim_{x \to c} \dfrac{x ^{n} - c ^{n}}{x - c}&= \lim_{x \to c} \dfrac{(x - c)(x ^{n-1} + c x ^{n-2} + \dots + c ^{n-1})}{x - c} \\ &=\lim_{x \to c} (x ^{n-1} + c x ^{n-2} + \dots + c ^{n-1}) = n c ^{n-1} \\ \end{split}\end{align} \tag*{}
  • 예시

    g(x)=xg(x) = |x|c=0c = 0 의 미분계수는 g(0)=limx0xxg'(0) = \displaystyle \lim_{x \to 0} \dfrac{|x| }{x} 인데 우극한과 좌극한이 각각 +1+11-1 로 서로 다르므로 정리 4.6.3 에 의하여 미분불가능하다.

도함수(미분, derivative)

미분 가능 함수 f:ARf: A \to \R 에 대하여 임의의 점 xAx \in Affxx 에서의 미분 f(x)f'(x) 로 대응시키는 함수를 도함수 ff' 라 하고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f:AR,xlimyxf(y)f(x)yx f': A \to \R, x \mapsto \lim_{y \to x} \frac{f(y) - f(x)}{y - x}
  • yx=Δxy - x = \Delta x 로 두고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f(x)=limΔx0f(Δx+x)f(x)Δx f'(x) = \lim_{\Delta x \to 0} \frac{f(\Delta x + x) - f(x)}{\Delta x}

    이때 Δx=h\Delta x = h 로 간단히 표현해서 다음과 같이 편하게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f(x)=limh0f(h+x)f(x)h f'(x) = \lim_{h \to 0} \frac{f(h + x) - f(x)}{h}
  •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인 미분(differentiation)을 정의역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집합을 정의역으로 갖고, 공역을 함수 집합으로 갖는 연산자 DD 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면 미분가능한 함수 ff 에 대하여 D(f)=fD(f) = f' 로 쓸 수 있다.

  • 도함수를 미분이라는 용어로 사용하면 derivative 이고,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 자체를 미분이라는 용어로 사용하면 differentiation 이다. 영어에서는 이렇게 derivative 와 differentiation 을 구별하지만 한글에서는 미분이라는 용어가 다양하게 사용되니 주의해야 한다.

  • 함수 y=f(x)y = f(x) 를 미분할 때 수학자들마다 다양한 표기법을 사용했다.

  • 라이프니츠 표기법

    y=f(x)y = f(x)xx 에 대하여 미분할 때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xx 가 변할 때(dxdx) yy 가 변하는(dydy) 변화율(dy/dxdy/dx)을 표현한 것이다. dxdx 를 "xx 의 무한히 극미한 변화량" 으로 읽으면 된다. 한 없이 00 에 가까워지는 Δx\Delta xdxdx 로 표현한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limΔx0ΔyΔx=dydx\displaystyle \lim_{\Delta x \to 0}\frac{\Delta y}{\Delta x} = \dfrac{dy}{dx} 로 표현하는 것이다.

    dydx,dfdx,ddxf \frac{dy}{dx}, \quad \frac{df}{dx}, \quad \frac{d}{dx}f

    이계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ddx(dydx)=d2ydx2 \frac{d}{dx}\bigg (\frac{dy}{dx} \bigg ) = \dfrac{d ^{2}y}{dx ^{2}}

    nn계도 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dnydxn,dnfdxn,dndxnf \dfrac{d ^{n}y}{dx ^{n}}, \quad \dfrac{d ^{n} f}{dx ^{n}}, \quad \dfrac{d ^{n}}{dx ^{n}}f

    라이프니츠의 표기법에서 특정한 점 x=ax = a 에서의 미분계수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dydxx=a=dydx(a) \dfrac{dy}{dx}\bigg |_{x = a} = \frac{dy}{dx}(a)
  • 라그랑주 표기법(prime notation)

    라그랑주는 함수 ff 의 미분을 ff' 로 표기했다. 고차 미분은 다음과 같이 표기했다.

    (f),(f)=f (f')', \quad (f'')' = f'''

    이 표기법은 프라임 기호(')를 여러번 쓸 수 없어서 f(n)f^{(n)} 로 발전했다. 가령 4번 미분하면 f(4)f^{(4)} 로 표기한다.

  • 오일러 표기법

    오일러는 미분 연산자 DD 를 함수 ff 에 적용한다는 의미로 ff 의 도함수를 DfDf 로 썼다. nn계도 함수는 DnfD ^{n}f 로 표기한다.

    y=f(x)y = f(x) 에서 독립변수 xxyy 가 의존하면 독립변수 xx 를 표기하기 위하여 DxyD _{x}y 와 같이 표기했다. 그러나 이 경우 변수가 xx 밖에 없는 일변수함수인 자명한 상황이기 때문에 xx 를 생략하여 DyDy 또는 Df(x)Df(x) 로 표기한다.

Differentiable and Continuity

정리 5.2.3

함수 g:ARg: A \to \R 가 점 cAc \in A 에서 미분가능하면 gg 는 점 cc 에서 연속이다.

  • 함수가 연속이라고 해서 미분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음과 같이 y=xy = |x| 는 연속이지만 00 에서 미분불가능하다.

    그러나 이 정리는 미분가능이면 연속임을 말해준다.

  • 증명

    ggcc 에서 미분가능하면 극한값 g(c)=limxcg(x)g(c)xc\displaystyle g'(c) = \lim_{x \to c} \frac{g(x) - g(c)}{x - c} 가 존재한다. 이를 기반으로 limxcg(x)=g(c)\displaystyle \lim_{x \to c} g(x) = g(c) 를 증명하면 정리 4.3.2에 의하여 증명이 끝난다.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limxc(g(x)g(c))=limxc(g(x)g(c)xc)(xc)=g(c)0=0 \lim_{x \to c} (g(x) -g(c)) = \lim_{x \to c} \bigg (\frac{g(x) - g(c)}{x - c} \bigg )(x - c) = g'(c) \cdot 0 = 0

    이는 limxcg(x)=g(c)\lim_{x \to c} g(x) = g(c) 을 뜻한다. ■

Differentiability classes

미분가능성 계층(Differentiability classes), 연속 미분가능한 함수(continuously differentiable), 매끄러운 함수(smooth function)

함수 ff 가 연속함수 집합 CC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면 ff 가 미분가능 계층 CkC ^{k} 의 함수라 한다.

dkdxkf(x)C \frac{d^k}{dx^k}f(x) \in C

특히,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ff 가 연속이면 fC0f \in C ^{0} 이다.

  • ff 가 미분가능하고 fCf' \in C 이면 fC1f \in C ^{1} 이고, 연속 미분가능(continuously differentiable)하다고 한다.

  • ff 가 무한히 미분가능하면 CC ^{\infty } 함수라 하고, 매끄럽다(smooth)고 한다.

  • ff 가 해석함수면 CωC ^{\omega } 함수라 한다.

  • CkC ^{k} 집합은 Ck+1C ^{k+1} 집합을 진부분집합으로 가진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C0C1CkCk+1CCω C ^{0} \supsetneq C ^{1} \supsetneq \dots \supsetneq C ^{k} \supsetneq C ^{k+1} \supsetneq \dots \supsetneq C ^{\infty } \supsetneq C ^{\omega }
  • 미분가능한 함수는 다음과 같이 국소적으로 선형근사 가능하다.

Combinations of Differentiable Functions

정리 5.2.4 미분가능한 함수와 사칙연산(combinations of differentiable functions)

구간 AA 에서 정의된 두 함수 ffggcAc \in A 에서 미분가능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1. (f+g)(c)=f(c)+g(c)(f + g)'(c) = f'(c) + g'(c)

  2. kR:(kf)(c)=kf(c)\forall k \in \R : (kf)'(c) = kf'(c)

  3. (fg)(c)=f(c)g(c)+f(c)g(c)(fg)'(c) = f'(c)g(c) + f(c)g'(c)

  4. (fg)(c)=g(c)f(c)f(c)g(c)[g(c)]2\displaystyle \bigg (\frac{f}{g} \bigg )'(c) = \frac{g(c)f'(c) - f(c)g'(c)}{[g(c)]^{2}} (단, g(c)0g(c) \neq 0)

  • 곱함수를 fgfg 라고 표기하고 합성함수를 fgf \circ g 라고 표기한다. 3) 의 (fg)(c)(fg)'(c) 는 합성함수의 미분법이 아니라 곱의 미분법이다.

  • 증명

    1: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g)(c)=limxc(f+g)(x)(f+g)(c)xc=limxcf(x)f(c)+g(x)g(c)xc=limxcf(x)f(c)xc+limxcg(x)g(c)xc=f(c)+g(c) \begin{align}\begin{split} (f + g)'(c)&= \lim_{x \to c} \dfrac{(f + g)(x) - (f + g)(c)}{x - c} \\ &= \lim_{x \to c} \dfrac{f(x) - f(c) + g(x) - g(c)}{x - c} \\ &=\lim_{x \to c} \dfrac{f(x) - f(c)}{x - c} + \lim_{x \to c} \dfrac{ g(x) - g(c)}{x - c} = f'(c) + g'(c) \end{split}\end{align} \tag*{}

    2: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쉽게 증명할 수 있다.

    3:

    먼저 다음이 성립한다.

    (fg)(x)(fg)(c)xc=f(x)g(x)f(x)g(c)+f(x)g(c)f(c)g(c)xc=f(x)g(x)g(c)xc+g(c)f(x)f(c)xc \begin{align}\begin{split} \dfrac{(fg)(x) - (fg)(c)}{x - c} & = \dfrac{f(x)g(x) - f(x)g(c) + f(x)g(c) - f(c)g(c)}{x - c} \\ &= f(x)\frac{g(x)-g(c)}{x-c} + g(c) \frac{f(x) - f(c)}{x - c} \\ \end{split}\end{align} \tag*{}

    ffcc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정리 5.2.3 에 의하여 cc 에서 연속이고 정리 4.3.2 에 의하여 limxcf(x)=f(c)\displaystyle \lim_{x \to c} f(x) = f(c) 이다. 그러면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limxc(fg)(x)(fg)(c)xc=f(c)g(c)+f(c)g(c) \lim_{x \to c} \dfrac{(fg)(x) - (fg)(c)}{x - c} = f(c)g'(c) + f'(c)g(c)

    4:

    먼저 다음이 성립한다.

    (f/g)(x)(f/g)(c)xc=1xc(f(x)g(x)f(c)g(c))=1xc(f(x)g(c)f(c)g(x)g(x)g(c))=1xc(f(x)g(c)f(c)g(c)+f(c)g(c)f(c)g(x)g(x)g(c))=1g(x)g(c)(g(c)f(x)f(c)xcf(c)g(x)g(c)xc) \begin{align}\begin{split} \dfrac{(f/g)(x) - (f/g)(c)}{x - c}&= \frac{1}{x- c}\bigg (\frac{f(x)}{g(x)} - \frac{f(c)}{g(c)} \bigg ) = \frac{1}{x-c}\bigg (\frac{f(x)g(c) - f(c)g(x)}{g(x)g(c)} \bigg ) \\ &= \frac{1}{x - c}\bigg ( \frac{f(x)g(c) - f(c)g(c) + f(c)g(c) - f(c)g(x)}{g(x)g(c)}\bigg ) \\ &= \frac{1}{g(x)g(c)}\bigg ( g(c)\frac{f(x)-f(c)}{x-c} - f(c) \frac{g(x) - g(c)}{x-c} \bigg ) \end{split}\end{align} \tag*{}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fg)(c)=1[g(c)]2(g(c)f(c)f(c)g(c)) \bigg (\frac{f}{g} \bigg )'(c) = \frac{1}{[g(c)]^{2}}(g(c)f'(c) - f(c)g'(c))

Chain Rule

정리 5.2.5 연쇄법칙(chain rule)

f(A)Bf(A) \subset B 이고 합성함수 gfg \circ f 가 잘 정의되는 두 함수 f:ARf: A \to \Rg:BRg: B \to \R 에 대하여 ffcAc \in A 에서 미분가능하고 ggf(c)Bf(c) \in B 에서 미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합성함수 gfg \circ fcc 에서 미분가능하고, (gf)(c)=g(f(c))f(c)(g \circ f)'(c) = g'(f(c)) \cdot f'(c) 이다.
  • 증명

    합성함수 gfg \circ f 의 미분계수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gf)(c)=limxcg(f(x))g(f(c))xc (g \circ f)'(c) = \lim_{x \to c} \dfrac{g(f(x)) - g(f(c))}{x - c}
    =limxcg(f(x))g(f(c))f(x)f(c)f(x)f(c)xc=g(f(c))f(c) = \lim_{x \to c} \frac{g(f(x)) - g(f(c))}{f(x) - f(c)} \cdot \frac{f(x) - f(c)}{x - c} = g'(f(c)) \cdot f'(c)

    그러나 임의의 근방 Vϵ(c)V_{\epsilon}(c) 에 속하는 xVϵ(c)x \in V_{\epsilon}(c) 에 대하여 f(x)=f(c)f(x) = f(c) 이면 분모가 00 이 된다. 그러면 극한값이 정의되지 않고, 결국 미분계수도 존재하지 않아 미분 불가능하다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해보자. ▲

    일단 ggf(c)f(c)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다음 극한값이 존재한다.

    g(f(c))=limyf(c)g(y)g(f(c))yf(c) g'(f(c)) = \lim_{y \to f(c)} \frac{g(y) - g(f(c))}{y - f(c)}

    이때 다음과 같은 함수를 정의하자.

    d(y)=g(y)g(f(c))yf(c)(1) d(y) = \dfrac{g(y) - g(f(c))}{y - f(c)} \tag{1}

    그러면 limyf(c)d(y)=g(f(c))\displaystyle \lim_{y \to f(c)} d(y) = g'(f(c)) 이다. d(y)d(y) 에서 y=f(c)y = f(c) 이면 분모가 00 이 되므로 정의되지 않지만, y=f(c)y = f(c) 인 경우에는 d(y)d(y)(1)(1) 로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d(f(c))=g(f(c))d(f(c)) = g'(f(c)) 로 정의하자.

    그러면 limyf(c)d(y)=g(f(c))=d(f(c))\displaystyle \lim_{y \to f(c)} d(y) = g'(f(c)) = d(f(c)) 이므로 정리 4.3.2에 의하여 d(y)d(y)f(c)f(c) 에서 연속이다. ▲

    yf(c)y \neq f(c) 일 때 (1)(1) 이 성립하는데 (1)(1) 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g(y)g(f(c))=d(y)(yf(c))(2) g(y) - g(f(c)) = d(y)(y - f(c)) \tag{2}

    그런데 이 식은 y=f(c)y = f(c) 일 때에도 성립한다. 따라서 (2)(2) 는 임의의 xAx \in A 에 대한 y=f(x)y = f(x) 에 대하여서도 성립한다.

    그러면 xcx \neq cxx 에 대하여 (2)(2)xcx - c 로 나누면 다음이 성립한다.

    g(f(x))g(f(c))xc=d(f(x))f(x)f(c)xc \frac{g(f(x)) - g(f(c))}{x - c} = d(f(x)) \cdot \frac{f(x) - f(c)}{x - c}

    여기에 xcx \to c 의 극한을 취하면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gf)(c)=limxcg(f(x))g(f(c))xc=limxc{d(f(x))f(x)f(c)xc}=limyf(c)d(y)limxcf(x)f(c)xc=g(f(c))f(c) \begin{align}\begin{split} (g \circ f)'(c) &= \lim_{x \to c} \frac{g(f(x)) - g(f(c))}{x - c} \\ &= \lim_{x \to c} \bigg \{ d(f(x)) \cdot \frac{f(x) - f(c)}{x - c} \bigg \}\\ &= \lim_{y \to f(c)} d(y) \cdot \lim_{x \to c} \frac{f(x) - f(c)}{x - c} = g'(f(c)) \cdot f'(c)\\ \end{split}\end{align} \tag*{}

    즉, gfg \circ fcc 에서의 미분계수가 존재하므로 cc 에서 미분가능하고, 그 값은 정리의 결론대로 증명되었다. ■

Interior Extremum Theorem

정리 5.2.6 페르마 정리(내부 극값 정리, interior extremum theorem)

열린 구간 (a,b)(a, b)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f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ffc(a,b)c \in (a, b) 에서 최대값을 가지면 f(c)=0f'(c) = 0 이다.

  2. ffc(a,b)c \in (a, b) 에서 최소값을 가지면 f(c)=0f'(c) = 0 이다.

  • 이 정리는 미분가능한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은 미분계수가 00 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image

  • 증명

    1:

    cc 가 열린 구간 (a,b)(a, b) 에 속해 있으므로 모든 nNn \in \N 에 대하여 xn<c<ynx_n < c < y_n 이면서 cc 로 수렴하는 수열 (xn),(yn)(a,b)(x_n), (y_n) \subset (a, b) 이 존재한다. f(c)f(c) 가 최대값이므로 모든 nn 에 대하여 f(yn)f(c)0f(y_n) - f(c) \leq 0 이고 극한과 부등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c)=limnf(yn)f(c)ync0 f'(c) = \lim_{n \to \infty} \frac{f(y_n) - f(c)}{y_n - c} \leq 0

    같은 논리로 xnx_n 에 대한 부등식도 취할 수 있는데 (xn)(x_n) 에 대해서는 xnc0x_n - c \leq 0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f(c)=limnf(xn)f(c)xnc0 f'(c) = \lim_{n \to \infty} \frac{f(x_n) - f(c)}{x_n - c} \geq 0

    따라서 f(c)=0f'(c) = 0 이다. ■

    2:

    1) 을 증명한 논리와 같은 논리로 쉽게 증명할 수 있다. ■

Darboux's theorem

정리 5.2.7 다르부 정리(Darboux's theorem)

함수 ff 가 구간 [a,b][a, b] 에서 미분가능하고 α\alpha 에 대하여 f(a)<α<f(b)f(a)>α>f(b)f'(a) < \alpha < f'(b) \lor f'(a) > \alpha > f'(b) 이면 f(c)=αf'(c) = \alpha 인 점 c(a,b)c \in (a, b) 가 존재한다.

  • 이 정리는 도함수는 사잇값 성질을 만족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만약 도함수가 서로 다른 값 f(a)f'(a)f(b)f'(b) 를 가지면 그 사이 모든 값을 함수값으로 가진다. 이로써 도함수는 불연속일 수도 있지만 사잇값 성질은 반드시 만족한다.

  • 그런데 연속함수는 반드시 사잇값 성질을 만족한다. 그러므로 모든 연속함수는 어떤 함수의 도함수이다. 이로써 도함수 집합은 적어도 연속함수를 포함하지만, 도함수 집합을 간결하게 특정하는 일은 지금도 성공적이지 못하다.

  • 증명

    [a,b][a, b] 에서 새로운 함수 g(x)=f(x)αxg(x) = f(x) - \alpha x 를 정의하면 gg[a,b][a, b] 에서 미분가능하고 g(x)=f(x)αg'(x) = f'(x) - \alpha 이다. 그러면 g(a)<0<g(b)g'(a) < 0 < g'(b) 일 때 어떤 c(a,b)c \in (a, b) 에 대하여 g(c)=0g'(c) = 0 임을 보이면 된다. ▲

    먼저 g(x)<g(a)g(x) < g(a) 를 만족하는 x(a,b)x \in (a, b) 가 존재함을 보이자. aa 로 수렴하는 수열 (xn)(a,b)(x_n) \subset (a, b)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g(a)=limng(xn)g(a)xna<0 g'(a) = \lim_{n \to \infty} \dfrac{g(x_n) - g(a)}{x_n - a} < 0

    분모는 반드시 양수다. 분자가 음수가 아니면 극한과 부등식에 의하여 모순이므로 분자는 음수이다. 따라서 aa 와 가까운 어떤 점 x(a,b)x \in (a, b) 가 존재하여 g(a)>g(x)g(a) > g(x) 를 만족시킨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bb 와 가까운 어떤 점 y(a,b)y \in (a, b) 가 존재하여 g(y)<g(b)g(y) < g(b) 를 만족시킨다. ▲

    이제 어떤 점 c(a,b)c \in (a, b)g(c)=0g'(c) = 0 를 만족시킨다는 것을 보이자. 먼저 닫힌 구간은 콤팩트하므로 [a,b][a, b] 은 콤팩트하다. 또한 gg[a,b][a, b]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gg[a,b][a, b] 에서 연속이다. 그러면 최대-최소 정리에 의하여 gg 는 어떤 점 c(a,b)c \in (a, b) 에서 최소값을 갖는다.

    위의 논의에 의하여 g(a)g(a)g(b)g(b) 는 항상 어떤 점보다 크므로 둘 다 최솟값이 아니다. 그러면 페르마의 정리에 의하여 g(c)=0g'(c) = 0 이고, c(a,b)c \in (a, b) 이며, 다음이 성립한다.

    g(c)=0f(c)=α g'(c) = 0 \implies f'(c) = \alpha

Mean Value Theorem

Rolle's theorem

정리 5.3.1 롤의 정리(Rolle's theorem)

구간 [a,b][a, b] 에서 연속이고 구간 (a,b)(a, b)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a,b]Rf: [a, b] \to \R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점 c(a,b)c \in (a, b) 가 존재한다.

f(a)=f(b)f(c)=0 f(a) = f(b) \implies f'(c) = 0
  • 롤의 정리는 평균값 정리의 특수한 경우이다.

  • 롤의 정리의 기하학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구간의 최솟값과 최댓값이 같을 때 미분계수가 00 인 점 cc 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image

  • 증명

    닫힌 구간은 콤팩트하므로 [a,b][a, b] 은 콤팩트하다. 또한 ff[a,b][a, b] 에서 연속이므로 최대-최소 정리에 의하여 ff 는 최댓값과 최솟값을 갖는다.

    aabb 가 최댓값과 최솟값이 되면 ff 는 상수함수가 되고 (a,b)(a, b) 전체에서 f(x)=0f'(x) = 0 이 된다. 이 경우 cc 의 존재성은 자명하다. ▲

    ff(a,b)(a, b) 내부의 어떤 점 cc 에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가지면 페르마의 정리에 의하여 f(c)=0f'(c) = 0 이다. ■

Mean Value Theorem

정리 5.3.2 평균값 정리(mean value theorem)

[a,b][a, b] 에서 연속이고 (a,b)(a, b) 에서 미분가능한 f:[a,b]Rf: [a, b] \to \R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c(a,b)c \in (a, b) 가 존재한다.

f(c)=f(b)f(a)ba f'(c) = \frac{f(b) - f(a)}{b - a}
  • 즉, 평균값 정리는 구간 [a,b][a, b]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f 에 대한 양 끝점 (a,f(a)),(b,f(b))(a, f(a)), (b, f(b)) 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와 기울기가 같은 접선의 존재성을 보장해준다. 다음 그림은 평균값 정리의 기하학적 의미를 바로 보여준다.

    image

  • 이 정리에서 f(a)=f(b)f(a) = f(b) 인 경우가 롤의 정리이다.

  • 증명

    두 점 (a,f(a)),(b,f(b))(a, f(a)), (b, f(b))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y=(f(b)f(a)ba)(xa)+f(a) y = \bigg (\frac{f(b) - f(a)}{b - a} \bigg )(x - a) + f(a)

    이 직선과 f(x)f(x) 의 차이를 나타내는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d(x)=f(x){(f(b)f(a)ba)(xa)+f(a)} d(x) = f(x) - \bigg \{ \bigg (\frac{f(b) - f(a)}{b - a} \bigg )(x - a) + f(a) \bigg \}

    연속성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dd[a,b][a, b] 에서 연속이다. 또한 dd(a,b)(a, b) 에서 미분가능하고 d(a)=0=d(b)d(a) = 0 = d(b) 이다. 그러면 롤의 정리에 의하여 d(c)=0d'(c) = 0 인 점 c(a,b)c \in (a, b) 가 존재한다. 이때 d(x)d'(x) 는 다음과 같다.

    d(x)=f(x)f(b)f(a)ba d'(x) = f'(x) - \dfrac{f(b) - f(a)}{b - a}

    d(c)=0=f(c)f(b)f(a)bad'(c) = 0 = f'(c) - \dfrac{f(b) - f(a)}{b - a} 이므로 증명이 끝났다. ■

따름정리 5.3.3

함수 g:ARg: A \to \R 가 구간 AA 에서 미분가능하고 xA:g(x)=0\forall x \in A: g'(x) = 0 이면 상수 kRk \in \R 에 대하여 g(x)=kg(x) = k 이다.

  • 이 정리는 모든 미분계수가 00 이면 그 함수는 상수함수임을 말해준다. 상수함수의 도함수가 00 임은 자명하지만, 이 정리는 그 역을 증명한 것이다.

  • 증명

    x<yx < y 인 임의의 x,yAx, y \in A 에 대하여 구간 [x,y][x ,y] 에서 gg 에 대하여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cAc \in A 가 존재한다.

    g(c)=g(y)g(x)yx g'(c) = \dfrac{g(y) - g(x)}{y - x}

    g(c)=0g'(c) = 0 이므로 g(y)=g(x)g(y) = g(x) 이다. 이 값을 kk 라고 하자. x,yx, y 를 임의로 선택했으므로 xA:g(x)=k\forall x \in A : g(x) = k 이다. ■

따름정리 5.3.4

구간 AA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fggxA:f(x)=g(x)\forall x \in A : f'(x) = g'(x) 이면 f(x)=g(x)+kf(x) = g(x) + k 이다.

  • 증명

    함수 h(x)=f(x)g(x)h(x) = f(x) - g(x) 를 정의하면 xA:h(x)=0\forall x \in A : h'(x) = 0 이다. 따름정리 5.3.3 에 의하여 h(x)=k=f(x)g(x)h(x) = k = f(x) - g(x) 이다. ■

Generalized Mean Value Theorem

정리 5.3.5 코시 평균값 정리(일반화된 평균값 정리, generalized mean value theorem)

닫힌 구간 [a,b][a, b]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a,b)(a, b)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gf, g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점 c(a,b)c \in (a, b) 가 존재한다.

[f(b)f(a)]g(c)=[g(b)g(a)]f(c) [f(b) - f(a)]g'(c) = [g(b) - g(a)]f'(c)

구간 (a,b)(a, b) 에서 gg'00 이 되지 않으면 다음이 성립한다.

f(c)g(c)=f(b)f(a)g(b)g(a) \frac{f'(c)}{g'(c)} = \frac{f(b) - f(a)}{g(b) - g(a)}
  • GMVT 라고도 부른다.

  • 증명

    함수 hh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h(x)=[f(b)f(a)]g(x)[g(b)g(a)]f(x) h(x) = [f(b) - f(a)]g(x) - [g(b) - g(a)]f(x)

    연속성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hh[a,b][a, b] 에서 연속이고, 정리 5.2.4 에 의하여 hh(a,b)(a, b) 에서 미분가능하다.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h(a)=g(a)f(b)f(a)g(b)=h(b) h(a) = g(a)f(b) - f(a)g(b) = h(b)

    그러면 롤의 정리에 의하여 h(c)=0h'(c) = 0c(a,b)c \in (a, b) 가 존재한다. h(x)h'(x)cc 를 대입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h(x)=[f(b)f(a)]g(x)[g(b)g(a)]f(x) h'(x) = [f(b) - f(a)]g'(x) - [g(b) - g(a)]f'(x) \implies
    [f(b)f(a)]g(c)[g(b)g(a)]f(c)=0 [f(b) - f(a)]g'(c) - [g(b) - g(a)]f'(c) = 0

L'Hospital's Rules

정리 5.3.6 0/00/0 꼴 로피탈 정리(L'Hospital's Rule: 0/00/0 case)

실수 aa 를 포함하는 구간 II 와 연속함수 f,g:IRf, g: I \to \R 에 대하여

  • f(a)=g(a)=0f(a) = g(a) = 0

  • f,gf, gI{a}I \setminus \{a\} 에서 미분 가능하다.

  • xI{a}:g(x)0\forall x \in I \setminus \{a\} : g'(x) \neq 0

  • limxaf(x)g(x)\displaystyle \lim_{x \to a} \frac{f'(x)}{g'(x)} 이 존재한다.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xaf(x)g(x)=limxaf(x)g(x) \boxed{\lim_{x \to a} \frac{f(x)}{g(x)} = \lim_{x \to a} \frac{f'(x)}{g'(x)}}
  • 증명

    임의의 양수 ϵ\epsilon 와 어떤 실수 LL 에 대하여 L=limxaf(x)g(x)L = \displaystyle \lim_{x \to a} \frac{f'(x)}{g'(x)} 이므로 함수의 극한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δ\delta 가 존재한다.

    0<xa<δf(x)g(x)L<ϵ 0 < |x - a| < \delta \implies \bigg |\frac{f'(x)}{g'(x)} - L \bigg | < \epsilon

    δ\deltaL=limxaf(x)g(x)L = \displaystyle \lim_{x \to a} \frac{f(x)}{g(x)} 도 만족시킨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

    일단 a<xa < xxVδ(a)x \in V_{\delta}(a) 를 선택할 수 있다. 이제 닫힌 구간 [a,x][a, x] 에서 함수 f,gf, g 에 코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점 c(a,x)c \in (a, x) 가 존재한다.

    f(c)g(c)=f(x)f(a)g(x)g(a)=f(x)g(x) \frac{f'(c)}{g'(c)} = \frac{f(x) - f(a)}{g(x) - g(a)} = \frac{f(x)}{g(x)}

    cc0<ca<δ0 < |c - a| < \delta 를 만족시키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0<xa<δf(x)g(x)L=f(c)g(c)L<ϵ 0 < |x - a| < \delta \implies \bigg |\frac{f(x)}{g(x)} - L \bigg | = \bigg |\frac{f'(c)}{g'(c)} - L \bigg | < \epsilon

정리 5.3.8 /\infty /\infty 꼴 로피탈 정리(L'Hospital's Rule: /\infty /\infty case)

열린구간 (a,b)(a, b) 와 함수 f,gf, g 에 대하여

  • limxag(x)=±\displaystyle \lim_{x \to a} g(x) = \pm \infty

  • f,gf, g(a,b)(a, b) 에서 미분가능하다.

  • x(a,b):g(x)0\forall x \in (a, b) : g'(x) \neq 0

  • limxaf(x)g(x)\displaystyle \lim_{x \to a} \frac{f'(x)}{g'(x)} 이 존재한다.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xaf(x)g(x)=limxaf(x)g(x) \boxed{\lim_{x \to a} \frac{f(x)}{g(x)} = \lim_{x \to a} \frac{f'(x)}{g'(x)}}
  • 증명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limxaf(x)g(x)=L\displaystyle \lim_{x \to a} \frac{f'(x)}{g'(x)} = L 이므로 모든 a<x<a+δ1a < x < a + \delta_1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δ1>0\delta_1 > 0 이 존재한다.

    f(x)g(x)L<ϵ2(1) \bigg |\frac{f'(x)}{g'(x)} - L \bigg | < \dfrac{\epsilon }{2} \tag{1}

    tt 를 고정된 값 t=a+δ1t = a + \delta_1 으로 두자. ▲

    모든 x(a,t)x \in (a, t) 에 대하여 구간 [x,t][x, t] 에서 코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c(x,t)c \in (x, t) 를 얻는다.

    f(x)f(t)g(x)g(t)=f(c)g(c) \frac{f(x) - f(t)}{g(x) - g(t)} = \frac{f'(c)}{g'(c)}

    (1)(1)a<x<a+δ1a < x < a + \delta_1 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모든 x(a,t)x \in (a, t)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Lϵ2<f(x)f(t)g(x)g(t)<L+ϵ2(2) L - \dfrac{\epsilon }{2} < \frac{f(x) - f(t)}{g(x) - g(t)} < L + \dfrac{\epsilon }{2} \tag{2}

    (2)(2)g(x)g(t)g(x)\dfrac{g(x) - g(t)}{g(x)} 를 곱하여 f(x)g(x)\dfrac{f(x)}{g(x)} 를 분리시키려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 값이 양수임을 보이려 하는데 이는 1>g(t)g(x)1 > \dfrac{g(t)}{g(x)} 를 보이는 것과 같다. limxag(x)=\displaystyle \lim_{x \to a} g(x) = \infty 이므로 모든 a<x<a+δ2a < x < a + \delta_2 에 대하여 g(x)>g(t)g(x) > g(t) 을 만족하게 하는 δ2>0\delta_2 > 0 가 존재한다. 이제 (2)(2) 에 이 값을 곱하면 다음을 얻는다.

    (Lϵ2)(1g(t)g(x))<f(x)f(t)g(x)<(L+ϵ2)(1g(t)g(x)) \bigg ( L - \dfrac{\epsilon }{2} \bigg ) \bigg (1 - \frac{g(t)}{g(x)} \bigg ) < \frac{f(x) - f(t)}{g(x)} < \bigg ( L + \dfrac{\epsilon }{2} \bigg ) \bigg (1 - \frac{g(t)}{g(x)} \bigg ) \iff
    Lϵ2+Lg(t)+ϵ/2g(t)+f(t)g(x)<f(x)g(x)<L+ϵ2+Lg(t)ϵ/2g(t)+f(t)g(x)(3) L - \dfrac{\epsilon }{2} + \frac{-L g(t) + \epsilon /2 g(t) + f(t)}{g(x)} < \frac{f(x)}{g(x)} < L + \dfrac{\epsilon }{2} + \frac{-L g(t) - \epsilon /2 g(t) + f(t)}{g(x)} \tag{3}

    limxag(x)=\displaystyle \lim_{x \to a} g(x) = \infty 이므로 a<x<a+δ3a < x < a + \delta_3 일 때 g(x)g(x) 가 충분히 커서 다음 두 식의 절댓값이 모두 ϵ/2\epsilon /2 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δ3\delta_3 가 존재한다.

    Lg(t)+ϵ/2g(t)+f(t)g(x),Lg(t)ϵ/2g(t)+f(t)g(x)\dfrac{-L g(t) + \epsilon /2 g(t) + f(t)}{g(x)}, \quad \dfrac{-L g(t) - \epsilon /2 g(t) + f(t)}{g(x)}

    δ=min{δ1,δ2,δ3}\delta = \min \{\delta_1,\delta_2, \delta_3\} 를 택하면 모든 a<x<a+δa < x < a + \delta 에 대하여 (3)(3) 은 다음과 같다.

    f(x)g(x)L<ϵ \bigg | \frac{f(x)}{g(x)} - L\bigg | < \epsilon

Differentiation Rules

아래의 미분법들은 기본적으로 미분가능한 실함수를 가정한다.

그러나 복소함수를 포함한 잘 정의된 임의의 함수에 대하여서도 성립한다.

Differentiation is linear

미분 연산은 선형이다. 즉, 임의의 함수 f,gf, g 와 실수 a,ba, b 에 대한 함수 h(x)=af(x)+bg(x)h(x) = af(x) + bg(x)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h(x)=af(x)+gb(x) h'(x) = af'(x) + gb'(x)
  • 라이프니츠 표기법으로 미분이 선형임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d(af+bg)dx=adfdx+bdgdx \frac{d(af + bg)}{dx} = a \frac{df}{dx} + b \frac{dg}{dx}
  • 증명

    미분가능한 함수와 사칙연산에 의하여 쉽게 증명가능하다. ■

Product Rule

Product rule

함수 f,gf, g 에 대한 함수 h(x)=f(x)g(x)h(x) = f(x)g(x)xx 에 대한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h(x)=(fg)(x)=f(x)g(x)+f(x)g(x) h'(x) = (fg)'(x) = f'(x)g(x) + f(x)g'(x)
  • 라이프니츠 표기법

    d(fg)dx=dfdxg+fdgdx \frac{d(fg)}{dx} = \frac{df}{dx}g + f\frac{dg}{dx}
  • 증명

    미분가능한 함수와 사칙연산와 같은 논리로 증명 가능하다.

Chain Rule

연쇄 법칙(chain rule)

함수 h(x)=f(g(x))h(x) = f(g(x)) 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h(x)=f(g(x))g(x) h'(x) = f'(g(x)) \cdot g'(x)
  • 라이프니츠 표기법

    ddxh(x)=ddzf(z)z=g(x)ddxg(x) \frac{d}{dx}h(x) = \frac{d}{dz}f(z)| _{z = g(x)} \cdot \frac{d}{dx}g(x)

    또는 다음과 같이 축약되어 표기할 수도 있다.

    dh(x)dx=df(g(x))dg(x)dg(x)dx \frac{dh(x)}{dx} = \frac{df(g(x))}{dg(x)} \cdot \frac{dg(x)}{dx}

    y=h(u),u=g(x)y = h(u), u = g(x)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dydx=dydududx \frac{dy}{dx} = \frac{dy}{du} \cdot \frac{du}{dx}
    dydx=dh(u)dudg(x)dx \frac{dy}{dx} = \frac{dh(u)}{du} \cdot \frac{dg(x)}{dx}
  • 오일러 표기법

    미분 연산자 DD 를 사용한 오일러 표기법으로 연쇄법칙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D(fg)]x=[Df]g(x)[Dg]x [D(f \circ g)]_{x} = [Df]_{g(x)} \cdot [Dg]_{x}
  • 증명

    정리 5.2.5 연쇄법칙과 같은 논리로 증명된다. ■

  • 예시

    dsin(2x2)dx=dsin(t)dtd2x2dx=cos(t)4x=4xcos(2x2) \frac{d \sin (2x ^{2}) }{dx} = \frac{d \sin (t)}{d t} \frac{d2x ^{2}}{dx} = \cos (t) \cdot 4x = 4x\cos (2x ^{2})

Inverse Function Rule

Inverse function rule

함수 ff 가 역함수 f1f ^{-1} 를 가질 때, 즉 f1(f(x))=xf(f1(y))=yf ^{-1}(f(x)) = x \land f(f ^{-1}(y)) = y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f1]=1ff1 [f ^{-1}]' = \frac{1}{f' \circ f ^{-1}}
  • 라이프니츠 표기법

    dxdy=1dydx \frac{dx}{dy} = \frac{1}{\frac{dy}{dx}}

    이에 따라 dxdydydx=1\displaystyle \frac{dx}{dy}\cdot \frac{dy}{dx} = 1 이 성립한다.

  • 예시

    y=x2y = x^2 는 역함수 x=yx = \sqrt[]{y} 를 가진다. 따라서 dydx=2x\dfrac{dy}{dx} = 2x 이고 다음이 성립한다.

    dxdy=1dydx=12x=12y \frac{dx}{dy} = \dfrac{1}{\frac{dy}{dx}} = \frac{1}{2x} = \frac{1}{2 \sqrt[]{y}}

    이 결과는 역함수의 도함수의 공식 [f1]=1ff1\displaystyle [f ^{-1}]' = \frac{1}{f' \circ f ^{-1}} 을 사용하여 도함수를 구한 것과 똑같다.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dydxdxdy=2x12x=1 \frac{dy}{dx} \cdot \frac{dx}{dy} = 2x \cdot \frac{1}{2x} = 1
  • 증명

    f(f1(y))=yf(f ^{-1}(y)) = yyy 에 대하여 미분하면 연쇄법칙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f1(y))[f1](y)=1 f'(f ^{-1}(y)) \cdot [f ^{-1}]'(y) = 1
    [f1](y)=1f(f1(y)) \iff [f ^{-1}]'(y) = \frac{1}{f'(f ^{-1}(y))}

Reciprocal rule

nonvanishing function

정의역 AA 에서 정의된 함수 ff 가 다음을 만족하면 nonvanishing 이라 한다.

xA:f(x)0 \forall x \in A : f(x) \neq 0

Reciprocal rule

함수 ff 에 대한 nonvanishing 함수 1f(x)\dfrac{1}{f(x)} 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1f(x)}=f(x){f(x)}2 \left\{ \frac{1}{f(x)} \right\} ' = - \frac{f'(x)}{\{f(x)\}^{2}}
  • 라이프니츠 표기법

    d(1/f)dx=1f2dfdx \frac{d(1/f)}{dx} = - \frac{1}{f^2}\frac{df}{dx}
  • 증명

    nonvanishing 함수 f(x)f(x) 가 미분가능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h01f(x+h)1f(x)h=limh0f(x+h)f(x)f(x+h)f(x)h1=limh0f(x+h)f(x)hf(x+h)f(x)=limh0f(x+h)f(x)h1f(x+h)f(x)=limh0f(x+h)f(x)hlimh01f(x+h)f(x)=f(x)1{f(x)}2 \begin{align}\begin{split} \lim_{h \to 0} \frac{\frac{1}{f(x+h)} - \frac{1}{f(x)}}{h} &= \lim_{h \to 0} \frac{-\frac{f(x+h)-f(x)}{f(x+h)f(x)}}{\frac{h}{1}} = -\lim_{h \to 0} \frac{f(x+h)-f(x)}{hf(x+h)f(x)} \\ &= - \lim_{h \to 0} \frac{f(x+h)-f(x)}{h} \cdot \frac{1}{f(x+h)f(x)} \\ &= - \lim_{h \to 0} \frac{f(x+h)-f(x)}{h} \circ \lim_{h \to 0} \frac{1}{f(x+h)f(x)} \\ &= - f'(x) \cdot \frac{1}{\{f (x)\} ^{2}}\\ \end{split}\end{align} \tag*{}

Quotient rule

Quotient rule

함수 ff 와 nonvanishing 함수 gg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g)=fggfg2 \left( \frac{f}{g} \right) ' = \frac{f'g - g'f}{g^2}
  • 증명

    미분가능한 두 함수 f(x),g(x)(g(x)0)f(x),g(x)(g(x) \neq 0) 에 대하여 Product rule, Reciprocal rule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x)g(x)}={f(x)1g(x)}=f(x)1g(x)+f(x){1g(x)}=f(x)g(x)f(x)g(x){g(x)}2=f(x)g(x)f(x)g(x){g(x)}2 \begin{align}\begin{split} \left\{ \frac{f(x)}{g(x)} \right\}'&= \left\{f(x) \cdot \frac{1}{g(x)}\right\}' = f'(x) \cdot \frac{1}{g(x)} + f(x) \cdot \left\{\frac{1}{g(x)}\right\}' \\ &=\frac{f'(x)}{g(x)} - f(x) \cdot \frac{g'(x)}{\{g(x)\} ^{2}} = \frac{f'(x)g(x) - f(x)g'(x)}{\{g(x)\} ^{2}} \end{split}\end{align} \tag*{}

Derivative of exponential function

a>0,a0a>0, a \neq 0aRa \in \R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limx0loga(1+x)x=1lna\displaystyle \lim_{x \to 0} \frac{\log_{a} (1+x)}{x} = \frac{1}{\ln a}

  2. limx0ax1x=lna\displaystyle \lim_{x \to 0} \frac{a ^{x}-1}{x} = \ln a

  • 증명

    1:

    limx0loga(1+x)x=limx0loga(1+x)1/x=loga(limx0(1+x)1/x)=logae=1lna \lim_{x \to 0} \frac{\log_{a} (1+x)}{x} = \lim_{x \to 0} \log_{a} (1+x) ^{1/x} = \log_{a} \left( \lim_{x \to 0} (1 + x) ^{1/x} \right) = \log_{a} e = \frac{1}{\ln a} \tag*{■}

    2:

    ax1=ta ^{x} -1 = t 로 두면 x0t0x \to 0 \implies t \to 0 이고, x=loga(1+t)x = \log_{a} (1+t)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limx0ax1x=limt0tloga(1+t)=limt01loga(1+t)t=limt01loga(1+t)1/t=1logae=lna \begin{align}\begin{split} \lim_{x \to 0} \frac{a ^{x}-1}{x} &= \lim_{t \to 0} \frac{t}{\log_{a} (1+t)} = \lim_{t \to 0} \frac{1}{\frac{\log_{a} (1+t)}{t}} \\ &= \lim_{t \to 0} \frac{1}{\log_{a} (1+t) ^{1/t}} = \frac{1}{\log_{a} e} = \ln a \\ \end{split}\end{align} \tag*{}

지수 함수의 미분(derivative of exponential function)

상수 aa 와 변수 xx 에 대한 각각의 지수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1. (ax)=axlna\displaystyle (a ^{x})' = a ^{x}\ln a

  2. (ex)=ex\displaystyle (e ^{x})' = e ^{x}

  • 증명

    1:

    지수함수 f(x)=ax(a>0,a1)f(x) = a ^{x}(a>0, a \neq 1) 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

    limh0f(a+h)f(a)h=limh0ax+haxh=limh0ax(ah1)h=axlimh0ah1h=axlna \begin{align}\begin{split} \lim_{h \to 0} \frac{f(a+h)-f(a)}{h} &= \lim_{h \to 0} \frac{a ^{x+h}-a ^{x}}{h} = \lim_{h \to 0} \frac{a ^{x}(a ^{h}-1)}{h} \\ &= a ^{x} \lim_{h \to 0} \frac{a ^{h}-1}{h} = a ^{x} \ln a \\ \end{split}\end{align} \tag*{}

    2:

    1) 의 결과에 a=ea = e 를 대입하면 바로 나온다. ■

Derivative of logarithmic function

로그함수의 미분(derivative of logarithmic function)

a>0,a1a>0, a \neq 1aa 에 대하여 각각의 로그함수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

  1. (logax)=1xlna(\log_{a} x)' = \dfrac{1}{x \ln a}

  2. (lnx)=1x(\ln x)' = \dfrac{1}{x}

  • 증명

    1:

    로그함수 y=logax(a>0,a1)y=\log_{a} x(a>0, a \neq 1)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limh0f(x+h)f(x)h=limh0loga(x+h)logaxh=limh01hlogax+hx=limh01xxhloga(1+hx)=1xlimh0loga(1+hx)x/h \begin{align}\begin{split} \lim_{h \to 0} \frac{f(x+h)-f(x)}{h} &= \lim_{h \to 0} \frac{\log_{a} (x+h)-\log_{a} x}{h} = \lim_{h \to 0} \frac{1}{h} \log_{a} \frac{x+h}{x} \\ &= \lim_{h \to 0} \frac{1}{x} \cdot \frac{x}{h} \log_{a} \left(1+\frac{h}{x}\right) = \frac{1}{x} \lim_{h \to 0} \log_{a} \left(1+\frac{h}{x}\right) ^{x/h} \\ \end{split}\end{align} \tag*{}

    이때 hx=t\dfrac{h}{x} = t 로 두면 h0t0h \to 0 \implies t \to 0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1xlimt0loga(1+t)1/t=1xlogae=1xlna = \frac{1}{x} \lim_{t \to 0} \log_{a} (1 + t)^{1/t} = \frac{1}{x}\log_{a} e = \frac{1}{x\ln a}

    2:

    a=ea = e 를 대입하면 바로 나온다. ■

Power rule

Power rule

함수 f:RRf: \R \to \RrRr \in \R 에 대하여 f(x)=xrf(x) = x ^{r} 와 같이 정의되었을 때 다음이 성립한다.

f(x)=rxr1 f'(x) = rx ^{r-1}
  • 증명(https://en.wikipedia.org/wiki/Power_rule)

    x>0x > 0 인 경우 실수 제곱의 정의 에 의하여 f(x)=xr=erlnxf(x) = x ^{r} = e ^{r \ln x} 이고, 다음이 성립한다.

    f(x)=rxerlnx=rxxr=rxr1 f'(x) = \frac{r}{x} e ^{r \ln x} = \frac{r}{x}x ^{r} = rx ^{r-1}

    x<0x < 0 인 경우 xr=((1)(x))r=(1)r(x)rx ^{r} = ((-1)(-x)) ^{r} = (-1)^{r}(-x)^{r} 이므로 x>0-x > 0 이 되어 실수 제곱의 정의를 사용하여 똑같은 방식으로 f(x)=rxr1f'(x) = rx ^{r-1} 임을 증명할 수 있다.

    그러나 (1)r(-1)^{r}rr무리수일 때 정의되지 않고, 짝수 분모를 갖는 유리수일 때는 허수가 된다. 즉, 이 경우에는 rr 이 반드시 홀수 분모를 갖는 유리수여야만 성립한다. ▲

    x=0x = 0 일 때의 미분은 다음과 같다.

    limh0hr0rh \lim_{h \to 0} \dfrac{h ^{r} - 0 ^{r}}{h}

    이 값은 rrr>1r > 1 이고 홀수 분모를 갖는 유리수일 때 00 이고, r=1r = 1 일 때 11 이다. 그 이외의 경우 hrh ^{r}h<0h < 0 일 때 정의되지 않거나 실수가 아니게 된다. ▲

    x=0,r=0x = 0, r = 0 인 경우 즉, 000 ^{0} 인 경우도 제외된다. 왜냐하면 함수 f(x,y)=xyf(x, y) = x ^{y}(0,0)(0, 0) 에서 극한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극한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x0x ^{0}xx00 으로 다가갈 때 11 로 다가가는데 비해, 0y0 ^{y}yy00 으로 다가갈 때 00 으로 다가가기 때문이다. 이 경우를 어떤 경우에 포함시키든 모순이 발생한다. 따라서 관례적으로 이 경우는 정의하지 않은채로 내버려둔다. ■

Generalized Power rule

generalized power rule

임의의 두 함수 f,gf, g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g)=(eglnf)=fg(fgf+glnf) (f ^{g})' = (e ^{g \ln f})' = f ^{g}\left( f' \frac{g}{f} + g' \ln f \right)
  • power rule 은 일반화될 수 있는데 이 정리가 가장 일반화된 power rule 이다. 이 정리가 특수화된 대표적인 경우는 다음과 같다.

    • f(x)=xaf(x) = x ^{a} 일 경우 aR0,xR>0a \in \R _{\neq 0}, x \in \R _{> 0} 일 때 f(x)=axa1f'(x) = ax ^{a-1} 이다.

    • g(x)=1g(x) = -1 이 되면 reciprocal rule 이 된다.

  • 증명

    (eglnf)=(glnf)eglnf=(glnf+g(lnf))eglnf=(glnf+g(f1f))fg \begin{align}\begin{split} (e ^{g \ln f})'&= (g \ln f)' \cdot e ^{g \ln f} \\ &= (g' \ln f + g \cdot (\ln f)') \cdot e ^{g \ln f} \\ &= \left( g' \ln f + g \cdot \left( f' \cdot \frac{1}{f}\right)\right) \cdot f ^{g } \\ \end{split}\end{align} \tag*{}

Derivatives of trigonometric functions

삼각함수의 도함수(derivatives of trigonometric functions)

  1. (sinx)=cosx(\sin x)' = \cos x

  2. (cosx)=sinx(\cos x)' = -\sin x

  3. (tanx)=sec2x=1cos2x(\tan x)' = \sec^2 x = \dfrac{1}{\cos ^2 x} (단, cosx0\cos x \neq 0)

  4. (cotx)=csc2x=1sin2x(\cot x)' = - \csc ^2 x = - \dfrac{1}{\sin ^2x} (단, sinx0\sin x \neq 0)

  5. (secx)=secxtanx(\sec x)' = \sec x \tan x (단, cosx0\cos x \neq 0)

  6. (cscx)=cscxcotx(\csc x)' = -\csc x \cot x (단, sinx0\sin x \neq 0)

역삼각함수의 도함수(derivatives of 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s)

역삼각함수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arcsinx)=11x2(\arcsin x)' = \dfrac{1}{\sqrt[]{1 - x ^{2}}}

  2. (arccosx)=11x2(\arccos x)' = - \dfrac{1}{\sqrt[]{1 - x ^{2}}}

  3. (arctanx)=11+x2(\arctan x)' = \dfrac{1}{1 + x ^{2}}

  4. (arccotx)=11+x2(\operatorname{arccot} x)' = -\dfrac{1}{1 + x ^{2}}

  5. (arcsecx)=1xx21(\operatorname{arcsec} x)' = \dfrac{1}{|x|\sqrt[]{x ^{2} - 1}}

  6. (arccscx)=1xx21(\operatorname{arccsc} x)' = - \dfrac{1}{|x|\sqrt[]{x ^{2} - 1 }}

Derivatives of hyperbolic functions

Derivatives of hyperbolic functions

쌍곡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1. (sinhx)=coshx(\sinh x)' = \cosh x

  2. (coshx)=sinhx(\cosh x)' = \sinh x

  3. (tanhx)=1tanh2x=sech2x(\tanh x)' = 1 - \tanh ^2x = \operatorname{sech} ^2x

  4. (cothx)=1coth2x=csch2x(\coth x)' = 1 - \coth^2 x = -\operatorname{csch} ^2x

  5. (sechx)=tanhxsechx(\operatorname{sech} x)' = -\tanh x \operatorname{sech} x

  6. (cschx)=coshxcschx(\operatorname{csch} x)' = -\cosh x \operatorname{csch} x

  • 증명

    1:

    ddxsinhx=ddx(exex2)=ex+ex2=coshx \frac{d}{dx} \sinh x= \frac{d}{dx}\left( \dfrac{e ^{x} - e ^{-x}}{2} \right) = \dfrac{e ^{x} + e ^{-x}}{2} = \cosh x \tag*{■}

        Abbott, S. (2015). Understanding analysis. Springer.
        Wikipedia contributors. (2024, June 26). Differentiation rules.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Differentiation_ru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