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Continuity

Continuity

정의 4.3.1 연속성(Continuity)

함수 f:ARRf: A \subset \R \to \R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하면 ffcAc \in A 에서 연속이라 한다.

ϵ>0:δ>0:xA:xc<δf(x)f(c)<ϵ \forall \epsilon>0 : \exists \delta>0 : \forall x \in A : |x - c| < \delta \implies |f(x) - f(c)| < \epsilon

ffAA 의 모든 점에서 연속이면 ff 를 연속함수라 한다.

  • 직관적으로 펜을 떼지 않고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면 연속함수라 한다.

  • 이 정의는 고등학교 때 배웠던 연속의 정의를 엄밀하게 바꾼 것이다. 즉, 다음이 성립하면 함수 ffaa 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1. f(a)f(a) 가 정의된다.

    2. limxaf(x)\displaystyle \lim_{x \to a} f(x) 가 존재한다.

    3. limxaf(x)=f(a)\displaystyle \lim_{x \to a} f(x) = f(a)

  • 함수의 극한과 정의가 비슷하다. 극한의 정의에서 첫번째 부등식은

    0<xc<δ 0 < |x - c| < \delta

    였다. 이는 xcxc<δx \neq c \land |x - c| < \delta 를 한번에 표현한 것이다. 반면 연속의 정의에서는 x=cx = c 일 때도 성립해야 한다.

    함수의 극한에서는 점 ccAA 의 극한점이고, 따라서 c∉Ac \not\in A 이어도 되었다. 그러나 함수의 연속에서는 점 cc 가 반드시 ff 의 정의역에 있어야 한다.

  • 예시(https://math.stackexchange.com/questions/1924770/why-is-y-1-x-a-continuous-function-but-not-y-1-x2)

    image

    R{0}\R \setminus \{0\} 에서 정의된 함수 1/x1/x 의 그래프를 보면 00 에서 불연속인 것 같다. 그러나 연속성은 정의역이 존재하는 곳에서만 정의되기 때문에 1/x1/x 는 연속함수이다.

    같은 이유로

    f(x)={1x<0+1x0f(x) = \begin{cases} -1 & x < 0\\ +1 & x \geq 0\\ \end{cases}

    는 불연속함수이지만

    f(x)={1x<0+1x>0f(x) = \begin{cases} -1 &x<0\\ +1 &x > 0\\ \end{cases}

    은 연속함수이다.

  • 만약 ccAA 의 고립점이면 limxcf(x)\displaystyle \lim_{x \to c} f(x) 는 정의되지 않는다. 그러나 cc 가 고립점이어도 ffcc 에서 연속일 수 있다.

정리 4.3.2

함수 f:ARf: A \to \R 와 점 cAc \in A 에 대하여 다음은 ffcc 에서 연속인 것과 동치이다.

  1. 임의의 Vϵ(f(c))V_{\epsilon}(f(c))xAx \in A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게 하는 Vδ(c)V_{\delta}(c) 가 존재한다.

    xVδ(c)f(x)Vϵ(f(c)) x \in V_{\delta}(c) \implies f(x) \in V_{\epsilon}(f(c))
  2. xnA(xn)cx_n \in A \land (x_n) \to c 인 임의의 수열 (xn)(x_n) 에 대하여 f(xn)f(c)f(x_n) \to f(c) 이다.

  3. ccAA 의 극한점일 때 limxcf(x)=f(c)\displaystyle \lim_{x \to c} f(x) = f(c) 이다.

  • 증명

    1:

    단지 절댓값 표현을 위상수학의 근방으로 표현한 것이다. ■

    2:

    xn=cx_n = c 인 경우까지 포함하면 정리 4.2.3 과 같은 방식으로 동치임을 보일 수 있다. ■

    3:

    ffcc 에서 연속임을 가정하고 ccAA 의 극한점이라는 조건을 추가하면 정의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limxcf(x)=f(c)\displaystyle \lim_{x \to c} f(x) = f(c) 가 성립한다.

    역으로 limxcf(x)=f(c)\displaystyle \lim_{x \to c} f(x) = f(c) 가 성립하면 자명하게 x=cf(c)Vϵ(f(c))x = c \implies f(c) \in V_{\epsilon}(f(c)) 이므로 ffcc 에서 연속이다. ■

문제 4.3-5

ARA \subset \R 의 임의의 고립점 cc 에 대하여 함수 f:ARf: A \to \Rcc 에서 연속이다.

  • 증명

    ccAA 의 고립점이면 ccδ\delta 근방 Vδ(c)V_{\delta}(c)AA 와 오직 점 cc 에서 교집합을 갖는다. 따라서 xVδ(c)Ax=cx \in V_{\delta}(c) \cap A \implies x = c 이다. 이는 f(x)=f(c)Vϵ(f(c))f(x) = f(c) \in V_{\epsilon}(f(c)) 을 의미한다. 정리 4.3.2(1) 에 의하여 ff 는 고립점 cc 에서 연속이다. ■

Criterion for Discontinuity

따름정리 4.3.3 불연속성 판정법(Criterion for Discontinuity)

함수 f:ARf: A \to \RAA 의 극한점 cAc \in A 에 대하여 (xn)c(x_n) \to c 이지만 f(xn)f(x_n)f(c)f(c) 로 수렴하지 않는 수열 (xn)A(x_n) \subset A 이 존재하면 ffcc 에서 연속이 아니다.

  • 정리 4.3.2(2) 는 함수가 어떤 점에서 연속이 아님을 보이는데 유용하다.

  • 증명

    단지 정리 4.3.2(2) 을 부정한 것 뿐이다. ■

Algebraic Continuity Theorem

정리 4.3.4 연속성과 사칙연산(Algebraic Continuity Theorem)

두 함수 f:ARf: A \to \Rg:ARg: A \to \R 가 점 cAc \in A 에서 연속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1. 임의의 kRk \in \R 에 대하여 kf(x)kf(x)cc 에서 연속이다.

  2. f(x)+g(x)f(x) + g(x)cc 에서 연속이다.

  3. f(x)g(x)f(x)g(x)cc 에서 연속이다.

  4. f(x)g(x)\dfrac{f(x)}{g(x)}cc 에서 연속이다. (단, g(x)0g(x) \neq 0)

  • 증명

    따름정리 4.2.4 와 정리 4.3.2 로 쉽게 증명할 수 있다. ■

  • 예시

    g(x)=xg(x) = x 는 임의의 양수 ϵ\epsiloncRc \in \R 에 대하여 δ=ϵ\delta =\epsilon 으로 택하면 다음이 성립하므로 모든 R\R 에서 연속이다.

    xc<δg(x)c<ϵ |x - c| < \delta \implies |g(x) - c| < \epsilon

    상수함수 f(x)=kf(x) = k 가 연속임을 보이는 것은 더 쉽다.

    그러면 정리에 의하여 임의의 다항함수 p(x)=a0+a1x++anxnp(x) = a_0 + a_1x + \dots + a_nx ^{n}R\R 에서 연속이다.

Composition of Continuous Functions

정리 4.3.9 연속함수의 합성(Composition of Continuous Functions)

두 함수 f:ARf: A \to \Rg:BRg: B \to \R 에 대하여 f(A)Bf(A) \subset B 가 성립하여 합성함수 (gf)(x)=g(f(x))(g \circ f)(x) = g(f(x))AA 에서 잘 정의될 때 다음이 성립한다.

  • ffcAc \in A 에서 연속이고 ggf(c)Bf(c) \in B 에서 연속이면 gfg \circ fcc 에서 연속이다.
  • 증명

    ggf(c)Bf(c) \in B 에서 연속이므로 임의의 양수 ϵ\epsilonyf(A)y \in f(A)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양수 α\alpha 가 항상 존재한다.

    yf(c)<αg(y)g(f(c))<ϵ |y - f(c)| < \alpha \implies |g(y) - g(f(c))| < \epsilon

    ffcAc \in A 에서 연속이므로 이 α\alphaxAx \in A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양수 δ\delta 가 항상 존재한다.

    xc<δf(x)f(c)<α |x - c| < \delta \implies |f(x) - f(c)| < \alpha

    즉,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양수 δ\delta 가 항상 존재한다.

    xc<δg(f(x))g(f(c))<ϵ |x - c| < \delta \implies |g(f(x)) - g(f(c))| < \epsilon

    그러므로 gfg \circ fcc 에서 연속이다. ■

Continuous Functions on Compact Sets

정리 4.4.1 콤팩트 집합의 보존(Preservation of Compact Set)

연속함수 f:ARf: A \to \R 와 콤팩트 집합 KAK \subset A 에 대하여 f(K)f(K) 는 콤팩트 집합이다.

  • 증명

    임의의 수열 (yn)f(K)(y_n) \subset f(K) 에 대하여 각 nNn \in \N 마다 f(xn)=ynf(x_n) = y_nxnKx_n \in K 가 존재한다. 그러면 수열 (xn)K(x_n) \subset KKK 가 콤팩트하므로 수열하는 부분수열 (xnk)(x _{n_k}) 을 가지며, 극한값 limxnk=x\lim x _{n_k} = xxKx \in K 이다.

    ffAA 에서 연속이므로 xKAx \in K \subset A 에서도 연속이다. 따라서 정리 4.3.2(2) 에 의하여 (xnk)x(x _{n_k}) \to x 에 대하여 (ynk)f(x)(y _{n_k}) \to f(x) 이다. 또한 xKf(x)f(K)x \in K \implies f(x) \in f(K) 이므로 f(K)f(K) 는 콤팩트하다. ■

Extreme Value Theorem

정리 4.4.2 최대-최소 정리(extreme value theorem)

함수 f:KRf: K \to \R 가 콤팩트 집합 KRK \subset \R 에서 연속이면 ff 는 최댓값과 최솟값을 가진다.

  • 이 정리는 콤팩트 집합 KK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ff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x0,x1Kx_0, x_1 \in K 의 존재성을 보장한다.

    xK:f(x0)f(x)f(x1) \forall x \in K: f(x_0) \leq f(x) \leq f(x_1)
  • 증명

    정리 4.4.1 에 의하여 연속함수는 콤팩트 집합을 보존하므로 f(K)f(K) 는 콤팩트하다. 콤팩트 집합에는 상한이 존재하며, 문제 3.3-1 에 의하여 supf(K)f(K)\sup f(K) \in f(K) 이다. 따라서 supf(K)=f(x1)\sup f(K) = f(x_1)x1Kx_1 \in K 이 존재한다. 최솟값이 존재한다는 것도 같은 논리로 쉽게 보일 수 있다. ■

Uniformly Continuous

정의 4.4.4 균등 연속(고른 연속, uniformly continuous)

임의의 ϵ>0\epsilon > 0 와 모든 x,yAx, y \in A 에 대하여

xy<δf(x)f(y)<ϵ |x - y| < \delta \implies |f(x) - f(y)| < \epsilon

을 만족하게 하는 δ>0\delta > 0 가 존재하면 함수 f:ARf: A \to \RAA 에서 균등 연속이라 한다.

  • ffAA 에서 연속이라는 것은 ff 가 각 cAc \in A 와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xc<δf(x)f(c)<ϵ |x - c| < \delta \implies |f(x) - f(c)| < \epsilon

    을 만족하게 하는 δ>0\delta > 0 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때 δ\deltacc 에 의존할 수도 있고, cc 와 독립적일 수도 있다.

  • cc 와 독립적인 δ\delta

    함수 f(x)=3x+1f(x) = 3x + 1R\R 에서 연속임을 증명하자. 이는 ff 가 임의의 점 cRc \in \R 에서 연속임을 보이는 것이다.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xc<δf(x)f(c)<ϵ |x - c| < \delta \implies |f(x) - f(c)| < \epsilon

    을 만족하게 하는 δ\delta 의 존재성을 보이면 된다. f(x)f(c)=3x+13c1=3xc|f(x) - f(c)| = |3x + 1 -3c - 1| = 3|x - c| 이므로 δ=ϵ/3\delta = \epsilon /3 으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xc<δf(x)f(c)=3xc<3ϵ3=ϵ |x - c|<\delta \implies |f(x) - f(c)| = 3|x - c| < 3 \cdot \dfrac{\epsilon }{3} = \epsilon
  • cc 에 의존적인 δ\delta

    g(x)=x2g(x) = x ^{2}R\R 에서 연속임을 증명하자. 임의의 양수 ϵ\epsilon 와 각 cRc \in \R 에 대하여 다음을 성립시키는 δ\delta 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보이면 된다.

    0<xc<δg(x)g(c)<ϵ 0 < |x-c| < \delta \implies |g(x) - g(c)| < \epsilon

    g(x)g(c)=x+cxc|g(x) - g(c)| = |x + c||x - c| 인데 xxcc 로 다가가는 극한이므로 xc|x - c| 는 임의로 작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xc|x - c| 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cc 를 중심으로 하는 δ\delta-근방의 반지름이 δ=1\delta = 1 보다 크지 않는 한 다음이 성립한다.

    xVδ(c):x+cx+c(c+1)+c=2c+1 \forall x \in V_{\delta}(c) : |x + c| \leq |x| + |c| \leq (|c| + 1) + |c| = 2|c| + 1

    따라서 supx+c=2c+1\sup |x + c| = 2|c| + 1 이다. 그러면 δ=min{1,ϵ/2c+1}\delta = \min \{1, \epsilon /2|c| + 1\}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0<xc<δx2c2=x+cxc<(ϵ2c+1)(2c+1)=ϵ 0 < |x - c| < \delta \implies |x ^{2} - c ^{2}| = |x + c||x - c| < \bigg (\dfrac{\epsilon }{2|c| + 1} \bigg )(2|c| + 1) = \epsilon

    따라서 ggR\R 에서 연속이다.

    위 예시에서 cc 에 의존적인 δ=min{1,ϵ/2c+1}\delta = \min \{1, \epsilon /2|c| + 1\} 를 살펴보았다. 사실상 11 은 너무 크므로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δ=ϵ2c+1\delta = \dfrac{\epsilon }{2|c| + 1} 로 정의된다고 봐도 된다. 이는 cc 가 커질수록 δ\delta 를 작게 선택해야 함을 의미한다.

    실제로 다음과 같은 g(x)=x2g(x) = x ^{2} 에 대하여 고정된 ϵ\epsilon 에 대하여 cc 가 커질수록 δ\delta 를 점점 더 작게 택해야만 한다.

    image

    균등 연속이란 δ\deltacc 와 무관하게 동일한 값으로 선택되어도 연속임을 보일 수 있다는 성질이다. 다음과 같은 함수 1/x1/xx\sqrt[]{x} 에서는

정리 4.4.5 균등 연속 판정법

함수 f:ARf: A \to \R 이 균등 연속이 아닌 것과 다음을 만족하는 어떤 ϵ0>0\epsilon _0 > 0AA 의 두 수열 (xn)(x_n)(yn)(y_n) 이 존재하는 것은 동치이다.

xnyn0f(xn)f(yn)ϵ0 |x_n - y_n| \to 0 \land |f(x_n) - f(y_n)| \geq \epsilon _0
  • 참고 : 논의영역 D\Bbb{D} 와 명제 P(x)P(x)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xD)[P(x)](xD)(¬P(x)) \neg (\forall x \in \Bbb{D} )[P(x)] \equiv (\exists x \in \Bbb{D} )(\neg P(x))
    ¬(xD)[P(x)](xD)(¬P(x)) \neg (\exists x \in \Bbb{D} )[P(x)] \equiv (\forall x \in \Bbb{D} )(\neg P(x))
  • 증명

    먼저 ff 가 균등 연속이 아님을 가정하자.

    정의 4.4.4 균등 연속의 부정은 다음과 같다.

    ϵ0>0,δ>0,x,yA:(xy<δf(x)f(y)ϵ0) \exists \epsilon_0 > 0, \forall \delta > 0, \exists x, y \in A : (|x - y| < \delta \land |f(x) - f(y) \geq \epsilon _0)

    즉, δ>0\delta > 0 를 어떻게 선택하든 어떤 ϵ0>0\epsilon _0 > 0x,yx, y 가 존재하여 xy<δ,f(x)f(y)ϵ0|x - y| < \delta, |f(x) - f(y)| \geq \epsilon_0 을 만족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임의의 nNn \in \N 에 대하여 δn=1/n\delta _n = 1/n 로 두면 xnyn<1/n,f(xn)f(yn)ϵ0|x_n - y_n| < 1/n, |f(x_n) - f(y_n)| \geq \epsilon _0 를 만족하는 ϵ0>0,xn,yn\epsilon _0 > 0, x_n, y_n 가 존재한다. 이 두 수열 (xn)(x_n)(yn)(y_n) 이 정리에서 말하는 수열이다. ▲

    역으로 ϵ0\epsilon _0 와 두 수열 (xn),(yn)(x_n), (y_n) 를 가정하면 ϵ0\epsilon _0 에 대한 균등 연속을 만족하게 하는 δ\delta 가 존재하지 않음을 쉽게 보일 수 있다. ■

Uniform Continuity Theorem

정리 4.4.7 콤팩트 집합에서의 균등 연속

콤팩트 집합 KK 에서 연속인 함수는 KK 에서 균등 연속이다.

  • g(x)=x2g(x) = x ^{2}R\R 에서 균등 연속이 아닌 이유는 xx 가 커질수록 δ\delta 가 계속 작아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gg 는 유계집합 [10,10][-10, 10] 에서는 균등 연속이다. 사실 일반적으로 ggR\R 의 임의의 유계집합 AA 에서 균등연속임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유계인 정의역에서 연속인 함수가 반드시 균등 연속이라는 보장은 없다. 가령 다음과 같은 sin1/x\sin 1/x 함수는 (0,1)(0, 1) 에서 연속이지만 균등 연속은 아니다.

    image

    하지만 이 정리는 콤팩트한 정의역에서 연속인 함수는 반드시 균등 연속임을 보장해준다.

  • 증명

    f:KRf: K \to \R 가 콤팩트 집합 KRK \subset \R 에서 연속인데도 KK 에서 균등 연속이 아니라고 해보자. 그러면 정리 4.4.5 에 의하여 어떤 ϵ0>0\epsilon _0 > 0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수열 (xn),(yn)K(x_n), (y_n) \subset K 이 존재한다.

    limxnyn=0f(xn)f(yn)ϵ0 \lim |x_n - y_n| = 0 \land |f(x_n) - f(y_n)| \geq \epsilon _0

    KK 는 콤팩트하므로 수열 (xn)(x_n) 는 수렴하는 부분수열 (xnk)(x _{n_k}) 를 가지며, 정리 3.3.4 에 의하여 콤팩트 집합은 닫혀있으므로 limxnk=xK\lim x _{n_k} = x \in K 이다. 같은 이유로 (yn)(y_n) 의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yn)(y_n) 의 항에서 (xnk)(x _{n_k})nkn_k 에 대한 부분수열 (ynk)(y _{n_k}) 를 만들면 어떻게 되나 보자.

    limxnyn=0\lim |x_n - y_n| = 0 라는 조건은 다음을 만족하는 NN 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nNxnyn0<ϵ n \geq N \implies ||x_n - y_n| - 0| < \epsilon
    nNynxn<ϵ \iff n \geq N \implies |y_n - x_n| < \epsilon
    nN(ynxn)0<ϵ \iff n \geq N \implies |(y_n - x_n) - 0| < \epsilon
    limn(ynxn)=0 \iff \lim_{n \to \infty} (y_n - x_n) = 0

    즉, 수열 (xn)(x_n)(yn)(y_n) 의 아래첨자를 똑같이 유지한채 극한으로 보내면 극한값 00 를 얻는다. 따라서 극한과 사칙연산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limynk=lim((ynkxnk)+xnk)=0+x \lim y _{n_k} = \lim ((y _{n_k} - x _{n_k}) + x _{n_k}) = 0 + x

    즉, (xnk)(x _{n_k})(ynk)(y _{n_k}) 이 모두 xKx \in K 로 수렴한다. ffxx 에서 연속이므로 정리 4.3.2(3) 에 의하여 limf(xnk)=f(x),limf(ynk)=f(x)\lim f(x _{n_k}) = f(x), \lim f(y _{n_k}) = f(x) 이고, 다음이 성립한다.

    lim(f(xnk)f(ynk))=0 \lim (f(x _{n_k}) - f(y _{n_k})) = 0

    그러나 임의의 nNn \in \N 에 대하여 f(xn)f(yn)ϵ0|f(x_n) - f(y_n) \geq \epsilon _0 을 만족해야 하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ffKK 에서 균등 연속이다. ■

Intermediate Value Theorem

정리 4.5.1 사잇값 정리(intermediate value theorem)

연속함수 f:[a,b]Rf: [a, b] \to \Rf(a)<L<f(b)f(a)>L>f(b)f(a) < L < f(b) \lor f(a) > L > f(b)LRL \in \R 에 대하여 f(c)=Lf(c) = L 인 점 c(a,b)c \in (a, b) 가 존재한다.

  • 이 정리는 닫힌 구간 [a,b][a, b] 에서 연속함수 ff 는 다음과 같이 f(a)f(a)f(b)f(b) 사이에 있는 모든 값을 함수값으로 가진다는 것을 말해준다.

    image

  • 정리 4.5.2 을 사용한 증명

    [a,b][a, b] 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정리 4.5.2 에 의하여 f([a,b])f([a, b]) 도 연결되어 있다. f(a)f([a,b])f(a) \in f([a, b]) 이고 f(b)f([a,b])f(b) \in f([a, b]) 이므로 정리 3.4.7 에 의하여 Lf([a,b])L \in f([a, b]) 이다. 따라서 L=f(c)L = f(c)c(a,b)c \in (a, b) 가 존재한다. ■

  • 사잇값 정리는 보통 근의 존재성을 증명하는데 사용된다. 가령 f(x)=x22f(x) = x ^{2}-2f(1)=1f(1) = -1 이고 f(2)=2f(2) = 2 이므로 f(c)=0f(c) = 0 인 점 c(1,2)c \in (1, 2) 가 존재한다. 그런데 c=2c = \sqrt[]{2} 이므로 이는 사잇값 정리로 2\sqrt[]{2} 의 존재성을 증명한 것이 된다.

    그런데 2\sqrt[]{2} 의 존재성은 완비성 공리로 실수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증명된다. 이는 사잇값 정리와 완비성 공리에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 완비성 공리를 사용한 증명

    잠시 L=0L = 0 으로 두고 f(a)<0<f(b)f(a) < 0 < f(b) 라 하자. 그리고 f(c)=0f(c) = 0 를 만족하는 c(a,b)c \in (a, b) 가 존재함을 보이자.

    K={x[a,b]:f(x)0}K = \{x \in [a, b] : f(x) \leq 0\}

    위와 같이 정의된 KKbb 에 의하여 위로 유계이고 aKa \in K 이므로 KK \neq \varnothing 이다. 따라서 완비성 공리에 의하여 supK=c\sup K = c 가 존재한다.

    image

    수론 정리 2.3.1, 수론 정리 2.4.2에 의하여 다음 중 오직 한 경우만 성립한다.

    f(c)>0,f(c)<0,f(c)=0 f(c) > 0, f(c) < 0, f(c) = 0

    f(c)>0f(c) > 0 인 경우 ϵ0=f(c)\epsilon _0 = f(c) 로 둘 수 있다. ff 가 연속이므로 정리 4.3.2 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하게 하는 δ0>0\delta _0 > 0 가 존재한다.

    xVδ0(c)f(x)Vϵ0(f(c)) x \in V_{\delta_0}(c) \implies f(x) \in V_{\epsilon_0}(f(c))

    Vϵ0(f(c))=(f(c)ϵ0,f(c)+ϵ0)=(0,2f(c))V_{\epsilon_0}(f(c)) = (f(c) - \epsilon_0, f(c) + \epsilon _0) = (0, 2f(c)) 이므로 모든 xVδ0(c)x \in V_{\delta_0}(c) 에 대하여 f(x)>0f(x) > 0 이고, 이에 따라 x∉Kx \not\in K 이다. 그러므로 cδ0c - \delta _0cc 보다 작은 KK 의 상계가 된다. 이는 cc 가 최소상계라는 것에 모순이다. 따라서 f(c)>0f(c) > 0 일 수 없다. ▲

    f(c)<0f(c) < 0 을 가정하면 xVδ1(c)f(x)<0x \in V_{\delta_1}(c) \implies f(x) < 0 을 만족하게 하는 근방 Vδ1(c)V_{\delta_1}(c) 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를테면 c+δ1/2c + \delta _1 / 2KK 이 포함된다. 이는 ccKK 상계라는 사실에 모순이다. 즉, f(c)<0f(c) < 0 일 수 없다. ▲

    즉, f(c)=0f(c) = 0 이다. 이는 사잇값 정리를 L=0L = 0 일 때 증명한 것이 된다. 이것을 일반화시켜서 사잇값 정리를 일반적으로 증명하는 것은 쉽다. 사잇값 LLf(c)=Lf(c) = L 를 만족하는 함수 f(x)f(x) 에 대하여 h(x)=f(x)Lh(x) = f(x) - L 을 정의하면 위와 똑같은 증명을 h(x)h(x) 에 적용할 수 있다. ■

  • 축소구간성질을 사용한 증명

    잠시 L=0L = 0 으로 두고 f(a)<0<f(b)f(a) < 0 < f(b) 라 하자. I0=[a,b]I_0 = [a, b] 라 두고 구간의 중점 z=a+b2z = \dfrac{a+b}{2} 를 정의하자. f(z)0f(z) \geq 0 일 때 a1=a,b1=za_1 = a, b_1 = z 로 두면 f(z)<0f(z) < 0 일 때 a1=z,b1=ba_1 = z, b_1 = b 로 두어 구간 I1=[a1,b1]I_1 = [a_1, b_1] 을 정의하자. 그러면 f(a1)<0f(a_1) < 0 이고 f(b1)0f(b_1) \geq 0 이다.

    이 방법으로 닫힌구간열 InI_n 을 만들면 축소구간성질 에 의하여 cn=1In\displaystyle c \in \bigcap_{n=1}^{\infty}I_n 이 존재한다. 닫힌구간열의 길이는 00 으로 수렴하므로 수열 (an),(bn)(a_n), (b_n) 모두 cc 로 수렴한다.

    ffcc 에서 수렴하므로 정리 4.3.2 에 의하여 limf(an)=f(c)\lim f(a_n) = f(c) 인데 모든 nn 에 대하여 f(an)<0f(a_n) < 0 이므로 극한과 부등식 에 의하여 f(c)0f(c) \leq 0 이다. 또한 f(c)=limf(bn)f(c) = \lim f(b_n) 인데 모든 nn 에 대하여 f(bn)0f(b_n) \geq 0 이므로 f(c)0f(c) \geq 0 이다. 따라서 f(c)=0f(c) = 0 이다. ▲

    이는 L=0L = 0 일 때의 사잇값 정리를 증명한 것이다. 이 논리대로 일반적인 경우의 사잇값 정리를 증명하는 것은 쉽다. ■

정리 4.5.2

연속함수 f:GRf: G \to \R 에 대하여 EGE \subset G 가 연결집합이면 f(E)f(E) 도 연결집합이다.

  • 이 정리는 연속함수가 연결집합을 보존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f(E)=ABf(E) = A \cup B 을 만족하는 공집합이 아닌 서로소 집합 A,BA, B 를 선택할 수 있다. 정리 3.4.6 에 의하여 A,BA, B 둘 중 하나에 포함되는 수열의 극한값이 다른 하나에 포함됨을 증명하면 된다.

    다음과 같이 A,BA, B 의 원상 C,DC, D 를 정의하자.

    C={xE:f(x)A} C = \{x \in E : f(x) \in A\}
    D={xE:f(x)B} D = \{x \in E : f(x) \in B\}

    함수의 정의 에 의하여 A,BA, B 가 공집합이 아니므로 C,DC, D 도 공집합이 아니다. 또한 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정의역의 원소는 유일한 함수값을 가진다. 따라서 A,BA, B 가 서로소이므로 C,DC, D 도 서로소이다. 또한 C,DC, DA,BA, B 의 원상이므로 f(E)=ABf(E) = A \cup B 에서 E=CDE = C \cup D 이다.

    EE 가 연결집합이면 정리 3.4.6 에 의하여 C,DC, D 둘 중 하나에 포함되는 수열 (xn)(x_n) 이 존재하여 극한값 x=limxnx = \lim x_n 이 다른 하나에 포함된다.

    ffxx 에서 연속이므로 정리 4.3.2(3)에 의하여 limf(xn)=f(x)\lim f(x_n) = f(x) 이다. 따라서 f(xn)f(x_n) 은 수렴하는 수열이고, f(xn)f(x_n)A,BA, B 둘 중 하나에 포함되며, 극한값 f(x)f(x) 는 다른 하나에 포함된다. ■

Intermediate Value Property

정의 4.5.3 사잇값 성질(Intermediate Value Property)

구간 [a,b][a, b] 에 속한 모든 x<yx < yf(x)f(x)f(y)f(y) 사이의 모든 LL 에 대하여 f(c)=Lf(c) = L 인 점 c(x,y)c \in (x, y) 가 항상 존재하면 함수 ff 가 구간 [a,b][a, b] 에서 사잇값 성질을 가진다고 한다.

  • 이 정의를 사용하면 정리 4.5.1 사잇값 정리를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연속함수는 사잇값 성질을 가진다.
  • 그렇다면 사잇값 정리의 역은 성립할까? 즉, 함수가 사잇값 성질을 가지면 연속함수 인가? 그렇지 않다.

    • 증명

      함수 g(x)={sin(1/x)x00x=0g(x) = \begin{cases} \sin (1/x) &x \neq 0\\ 0 & x = 0\\ \end{cases}[0,1][0, 1] 에서 사잇값 성질을 가지지만 x=0x = 0 에서 불연속이다.

    그러나 단조함수가 사잇값 성질을 가지면 연속함수이다.

Sets of Discontinuity

불연속점 집합(Sets of Discontinuity)

함수 f:RRf: \R \to \R 에 대하여 DfRD_{f} \subset \Rff 가 연속적이지 않은 점의 집합이라고 정의한다.

Monotone Function

정의 4.6.1 단조함수(monotone function)

함수 f:ARf: A \to \Rx<yx < y 일 때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f(x)f(y)f(x) \leq f(y) 이면 AA 에서 증가하는 함수라 한다.

  • f(x)f(y)f(x) \geq f(y) 이면 AA 에서 감소하는 함수라 한다.

  • 증가함수 또는 감소함수를 단조함수라 한다.

Classification of Discontinuity

불연속성의 분류

불연속성은 다음 3가지로 분류된다.

  1. 극한 limxcf(x)\displaystyle \lim_{x \to c} f(x) 가 존재하지만 f(c)f(c) 와 다르면 cc 를 제거 가능한(removable) 불연속점이라 한다.

  2. limxc+f(x)limxcf(x)\displaystyle \lim_{x \to c+} f(x) \neq \lim_{x \to c-} f(x) 이면 cc 를 비약(jump) 불연속점이라 한다.

  3. 그 외의 이유로 극한 limxcf(x)\displaystyle \lim_{x \to c} f(x) 가 존재하지 않으면 cc 를 본질적(essential) 불연속점이라 한다.

  • 다음은 제거 가능함 불연속의 예시이다.

  • 다음은 비약 불연속점의 예시이다.

  • 다음은 본질적 불연속점의 예시이다.

    위 그래프는 다음 함수로 그린 것이며 x0=1x_0 = 1 에서 본질적으로 불연속이다.

    f(x)={sin5x1x<10x=11x1x>1 f(x) = \begin{cases} \sin \frac{5}{x - 1} & x < 1\\ 0 & x = 1\\ \frac{1}{x-1} & x > 1\\ \end{cases}

문제 4.6-5

단조함수가 가지는 불연속점은 비약 불연속점이다.

  • 임의의 함수의 불연속점을 밝히는 것은 약간 까다롭지만, 이렇게 단조함수일 때는 불연속점들이 비약 불연속점 뿐이다.

  • 증명

정의 4.6.5 α\alpha-연속(α\alpha-continuous)

R\R 에서 정의된 함수 ff 와 어떤 α>0\alpha > 0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게 하는 δ>0\delta > 0 가 존재할 때 ffxRx \in \R 에서 α\alpha-연속이라 한다.

y,z(xδ,x+δ)f(y)f(z)<α y, z \in (x - \delta , x + \delta ) \implies |f(y) - f(z)| < \alpha
  • 이 정의는 연속의 정의에서 "임의의 ϵ\epsilon" 을 "어떤 α\alpha" 로 바꾼 것이다.

α\alpha-불연속점 집합

R\R 위의 함수 ff 에 대하여 DfαD_{f}^{\alpha } 를 함수 ffα\alpha-연속이 아닌 점의 집합이라고 정의한다.

문제 4.6.8

주어진 α>0\alpha > 0 에 대하여 집합 DfαD_{f}^{\alpha } 는 닫힌 집합이다.

  • 증명

    먼저 cDfαc \in D_{f}^{\alpha} 는 임의의 δ>0\delta > 0 에 대하여

    y,zVδ(c)f(y)f(z)α y,z \in V_{\delta}(c) \implies |f(y) - f(z)| \geq \alpha

    이 성립함을 의미한다. ▲

    이제 ccDfαD_{f}^{\alpha} 의 극한점으로 두고 cDfαc \in D_{f}^{\alpha} 를 증명하자. cc 가 극한점이므로 xVδ/2(c)x' \in V_{\delta/2}(c)xDfαx' \in D_{f}^{\alpha} 가 존재한다. 이는 다음을 만족하는 y,zy, z 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y,zVδ/2(x)f(y)f(z)α y, z \in V_{\delta/2}(x') \implies|f(y) - f(z)| \geq \alpha

    그런데 Vδ/2(x)Vδ(c)V_{\delta/2}(x') \subset V_{\delta}(c) 이므로 y,zy, z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y,zVδ(c)f(y)f(z)α y, z \in V_{\delta}(c) \implies|f(y) - f(z)| \geq \alpha

    따라서 cDfαc \in D_{f}^{\alpha} 이고, 극한점이 자기자신에 포함되므로 집합 DfαD_{f}^{\alpha } 는 닫힌 집합이다. ■

Topological Structure of Discontinuous Set

정리 4.6.6

임의의 함수 f:RRf: \R \to \R 에 대하여 DfD_{f}FσF_{\sigma } 집합이다.

  • 지금까지의 논의의 결론이 이 정리이다. 이 정리는 R\R 위의 임의의 함수 ff 의 불연속 집합의 특성을 말해준다. 이처럼 R\R 위의 실변수 함수의 불연속점 집합은 R\R 의 어느 부분 집합도 가질 수 없는 특정한 위상 구조를 가진다.

  • 증명

    먼저 α<α\alpha < \alpha ' 이면 DfαDfαD_{f}^{\alpha '} \subset D_{f}^{\alpha } 임을 보이려 한다. α<α\alpha < \alpha ' 이면 cDαc \in D_{\alpha '} 와 주어진 δ>0\delta > 0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y,zVδ(c)f(y)f(z)α>α y, z \in V_{\delta}(c) \implies |f(y) - f(z)| \geq \alpha ' > \alpha

    그러면 α\alpha-불연속점 집합의 정의에 의하여 cDαc \in D_{\alpha } 이다. 따라서 α<α\alpha < \alpha ' 이면 DfαDfαD_{f}^{\alpha '} \subset D_{f}^{\alpha } 이다. ▲

    이제 주어진 α>0\alpha > 0 에 대하여 ffxx 에서 연속이면 xx 에서 α\alpha-연속이고, 이로써 DfαDfD_{f}^{\alpha }\subset D_{f} 임을 보이려 한다. ffxx 에서 연속이고 α>0\alpha > 0 가 주어지면 연속성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δ>0\delta > 0 가 존재한다.

    yVδ(x)f(y)f(x)<α2 y \in V_{\delta}(x) \implies |f(y) - f(x)| < \dfrac{\alpha }{2}

    따라서 y,zVδ(x)y, z \in V_{\delta}(x)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y)f(z)f(y)f(x)+f(x)f(z)<α2+α2=α \begin{align}\begin{split} |f(y) - f(z)|&\leq |f(y) - f(x)| + |f(x) - f(z)| \\ &< \dfrac{\alpha }{2} + \dfrac{\alpha }{2} = \alpha \\ \end{split}\end{align} \tag*{}

    즉, ffxx 에서 α\alpha-연속이다. 따라서 ffxx 에서 연속이면 xx 에서 α\alpha-연속이다. 이것의 대우도 참이다. 즉, ffxx 에서 α\alpha-연속이 아니면, xx 에서 연속이 아니다. 이는 DfαDfD_{f}^{\alpha } \subset D_{f} 임을 뜻한다. ▲

    이제 ffxx 에서 연속이 아니면 어떤 α>0\alpha > 0 에 대하여 ffα\alpha-연속이 아님을 보이려 한다. ffxx 에서 연속이 아니면 임의의 δ>0\delta >0 에 대하여 어떤 ϵ0>0\epsilon _0 > 0 가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시킨다.

    yVδ(x)f(y)f(x)ϵ0 y \in V_{\delta}(x) \implies |f(y) - f(x)| \geq \epsilon _0

    따라서 y,zVδ(x)y, z \in V_{\delta}(x) 에 대하여 αϵ0\alpha \leq \epsilon _0α\alpha 를 선택하면 두면 ffxx 에서 α\alpha-연속이 아니다. ▲

    이제 αn=1n\alpha _n = \dfrac{1}{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려 한다.

    Df=n=1Dfαn D_{f} = \bigcup_{n=1}^{\infty }D_{f}^{\alpha _n}

    xDfx \in D_{f} 이면 어떤 ϵ0>0\epsilon_0 > 0 에 대하여 xDfϵ0x \in D_{f}^{\epsilon_0 } 이다. 그러면 1n0ϵ0\dfrac{1}{n_0} \leq \epsilon _0n0Nn_0 \in \N 를 선택하면 xDf1/n0x \in D_{f}^{1/n_0} 이다. 이는 다음이 성립함을 뜻한다.

    Dfn=1Dfαn D_{f} \subset \bigcup_{n=1}^{\infty }D_{f}^{\alpha _n}

    한편 주어진 α>0\alpha > 0 에 대하여 DfαDfD_{f}^{\alpha } \subset D_{f} 임은 이미 증명했다. 이는 모든 nNn \in \N 에 대하여 Df1/nDfD_{f}^{1/n} \subset D_{f} 임을 뜻한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n=1DfαnDf \bigcup_{n=1}^{\infty }D_{f}^{\alpha _n} \subset D_{f}

    이로써 Df=n=1Dfαn\displaystyle D_{f} = \bigcup_{n=1}^{\infty }D_{f}^{\alpha _n} 인데 각 DfαnD_{f}^{\alpha _n} 은 문제 4.6.8 에 의하여 닫힌 집합이므로 FσF_{\sigma } 집합의 정의에 의하여 DfD_{f}FσF_{\sigma } 집합이다. ■


        Abbott, S. (2015). Understanding analysis.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