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iomaticSetTheory
Contents
- NBG Axiom System
- Set, Proper Class
- Extensionality Principle
- Axiom T
- Axiom P - Pairing Axiom
- Unordered Pair
- Axiom N - Null Set
- Ordered Pair
- Axiom B1 - B7
- Intersection, Complement, Domain, Union, Universal Class, Difference
- Predicative wff
- Class Existence Theorem
- Cartesian Product, Relation
- Power Class, Sum Class, Identity Relation
- Inverse Relation, Range
- Axiom U - Sum Set
- Axiom W - Power Set
- Axiom S - Subsets
- Function, Restriction, Injection
- Axiom R - Replacement
- Axiom I - Axiom of Infinity
- Ordinal Numbers
- Consistency Proof for Formal Number Theory(Schutte)
NBG Axiom System✔
20세기 초에 집합론에 모순이 발견됨으로써 집합론의 모순과 직관적으로 여겨져서 엄밀한 정의를 보류해왔던 개념들을 제거해야 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집합론이 제시되었는데 이들이 얼마나 다르든, 이들은 모두 공통적인 근본 이론을 가졌다.
폰 노이만(von Neumann)이 최초로 제시(1925, 1928)하고 이후에 로빈슨(1937)과 버네이즈(Bernays)(1937-1954)와 괴델(Godel)(1940)이 개정한 체계인 1차 이론 NBG 를 다루자. NBG 는 단일 술어 기호 를 갖고 함수 기호나 개별 상수는 갖지 않는다. 그리고 를 로 축약하고, 를 로 축약하자.
괴델의 표기법을 따라서 변수를 와 로 표기하자.
모임(class)
모인은 특정한 성질을 만족하는 집합을 모은 것이다.
동등성(equality)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두 모임은 같은 멤버를 가질 때 서로 같다.
포함(inclusion)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inclusion)
- : (proper inclusion)
- 일 때 를 의 부분모임(subclass)라고 한다. 일 때 를 의 진부분모임(proper subclass)라고 한다.
여기에서는 를 진부분집합 관계를 뜻하는 용도로 사용하지만, 보통 는 부분집합 관계를 뜻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NBG 집합론의 정리를 뜻하는 를 로 축약하여 사용하자.
정리 4.1
- 증명
Set, Proper Class✔
집합(set), 고유 모임(proper class)
- : ( 는 집합이다)
- : ( 는 고유 모임이다)
-
즉, 어떤 모임이 다른 모임에 속하면 집합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은 모임를 고유 모임이라고 한다.
-
이제 이로써 이전의 집합론에서 발생했던 모순들이 더 이상 모순이 아니라 단지 다양한 클래스가 집합이 아니라 고유 모임임을 말해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문제 4.1
-
체계 NBG 는 개별 개체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오직 모임만을 다루도록 설계되었다. 왜냐하면 수학 자체가 개별 대상을 다룰 필요 없이 모임에 대하여서만 형식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모임이 아닌 대상을 다루는 과학을 다룰 때 수학이 응용되어야 한다면 NBG 를 약간 변형하여 모임과 비모임 개체에 적용되는 체계를 사용해야 한다. 가령 체계 UR 이 있다.
모임이 아닌 개별 개체를 허용한다면 동등성의 정의가 달라져야 한다. 모든 개별 개체는 아무것도 없는 똑같은 원소를 갖기 때문이다.
-
이제 소문자 와 를 집합에 대한 변수로써 사용한다.
는 다음을 의미한다. 즉, 가 모든 집합에 대하여 성립한다.
는 다음을 의미한다. 즉, 가 어떤 집합에 대하여 성립한다.
Extensionality Principle✔
문제 4.2 확장성 원리(extensionality principle)
-
두 모임이 같다는 것은 두 모임이 같은 집합을 원소로 갖는다는 것과 동치이다.
-
증명
Axiom T✔
공리 T(Axiom T)
- 서로 같은 클래스들은 같은 클래스에 속한다.
문제 4.3
- 증명
정리 4.2
NBG 는 동등성을 지닌 1차 이론이다.
-
본 정리는 동등성의 치환성을 수반한다.
-
증명
Axiom P - Pairing Axiom✔
공리 P(Axiom P - Pairing Axiom)
-
임의의 집합 와 에 대하여 오직 와 만을 멤버로 가지는 집합 가 존재한다.
이 주장은 두 집합을 지닌 모임이 집합이라는 것을 선언해준다.
공리는 이로써 집합을 생성하는 방법을 정해주는 역할, 무엇이 집합인지 특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Unordered Pair✔
문제 4.4 무순서쌍의 유일한 존재성(uniqueness existence of unordered pair)
이때, 를 라고 표기한다.
-
이 정리는 오직 와 만을 갖는 집합 는 유일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Axiom N - Null Set✔
공리 N(Axiom N - Null Set)
-
원소를 갖지 않는 집합이 존재한다는 공리이다.
이 공리는 공집합이 집합이라는 선언을 해준다.
공집합 상수(null set constant)
-
공집합은 유일하다. 즉, 이다. 그러므로 공집합을 의미하는 상수 을 도입할 수 있다.
이 집합이라는 것은 공리 N 과 문제 4.3 에 의하여 증명된다.
문제 4.4 가 보장하는 와 의 무순서쌍에 새 함수 기호 를 도입할 수 있다. 관례를 따라 이것을 라고 표기한다.
임의의 모임 와 에 대한 의 유일한 값도 정의해야 한다. 가 집합이 아니거나 가 집합이 아닐 때 를 이라고 한다.
-
이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 결과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항 의 도입을 정당화해준다.
그러면 다음 두 결과가 성립한다.
싱글톤(singleton)
를 라고 정의한다.
-
집합 에 대하여 를 의 싱글톤이라고 한다. 이 집합은 오직 를 원소로 갖는다.
-
정리 2.28 은 이나 같은 새로운 개별 상수나 함수 기호를 추가하는 것이 NBG 이론에 본질적으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Ordered Pair✔
순서쌍(ordered pair)
를 라고 정의한다.
- 이 정의에 어떤 본질적인 직관적 의미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단지 순서쌍의 다음의 성질을 보이기 위하여 편의적인 방법으로 정의된 것이다.
정리 4.3
-
동등성의 치환성에 의하여 이 정리의 역도 성립한다.
-
증명
n-튜플(n-tuple)
- 즉, 이고 이다.
Axiom B1 - B7✔
모임의 존재성 공리
(-관계)
(교집합)
(여집합)
(정의역(domain))
-
확장성의 원리를 사용하면 공리 의 의 유일성을 증명할 수 있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이 결과는 새 함수 기호 를 도입하는 것을 정당화해준다.
Intersection, Complement, Domain, Union, Universal Class, Difference✔
교집합(intersection), 여집합(complement), 정의역(domain), 합집합(union), 보편 모임(universal class), 차집합(difference)
-
와 의 교집합:
-
의 여집합:
-
의 정의역:
-
와 의 합집합:
-
보편적 모임:
-
와 의 차집합:
- 보편 집합 가 집합이 아닌 고유 모임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Predicative wff✔
술어적인 wff(predicative wff)
중에서 변수를 갖는 wff 에서 오직 집합 변수에만 양화사가 지칭되었다면 술어적인 wff 라고 한다.
-
예시
은 술어적이지만, 은 술어적이지 않다.
Class Existence Theorem✔
정리 4.4 모임 존재 정리(Class Existence Theorem)
술어적인 wff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
예시
를 라고 하자. 에서 양화사가 오직 집합 변수를 지칭한다. 그러므로 모임 존재 정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확장성 원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새 함수 기호 를 도입할 수 있다.
Cartesian Product, Relation✔
데카르트 곱(Cartesian product), 관계(relation)
과 의 데카르트 곱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또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를 로 정의한다.
-
에 대하여 를 로 정의한다.
-
이항관계 에 대하여 를 로 정의한다.
-
는 모든 순서쌍의 모임이다.
-
관계란 대상 간의 어떤 연결을 의미한다. 수학에서 관계는 순서쌍 로 표현된다.
Power Class, Sum Class, Identity Relation✔
멱 모임(power class)
다음을 만족하는 를 의 멱 모임이라 한다.
-
를 라고 하자. 모임 존재 정리와 확장성 원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즉, 의 모든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유일한 모임 가 존재한다. 를 의 멱 모임이라 하고 라고 표기한다.
합 모임(sum class)
의 합 모임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를 라고 하자. 모임 존재 정리와 확장성 원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즉, 의 원소의 원소를 모두 포함하는 유일한 모임 가 존재하고, 이 를 라고 표기한다.
항등 관계(identity relation)
다음을 만족하는 모임 를 항등 관계라고 한다.
-
를 라고 하자. 모임 존재 정리와 확장성 원리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유일한 모임 가 존재한다.
를 항등 관계라고 하고 라고 표기한다.
따름정리 4.5
이 술어적 wff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Inverse Relation, Range✔
어떤 술어적인 wff 에 대하여
를 를 만족하는 모든 n-튜플 의 모임으로 정의한다.
-
즉, 완전히 형식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
예시
를 라고 하자. 를 의 축약이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를 의 역관계(inverse relation)라고 한다.
-
예시
를 라고 하자. 을 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을 의 치역(range)이라고 한다. 자명하게 이다.
공리 은 정리 4.4 모임 존재 정리의 특수한 경우들이다. 그러므로 정리 4.4 의 공리꼴의 무한한 인스턴스 대신 유한한 공리꼴만을 가정해도 충분하다.
Axiom U - Sum Set✔
더욱 복잡도가 높은 집합의 존재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공리들이 필요하다.
공리 U(Axiom U - Sum Set)
-
이 공리는 집합 의 합 모임 이 집합임을 선언해준다. 이 공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집합 안의 모든 집합의 합집합 를 보통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Axiom W - Power Set✔
공리 W(Axiom W - Power Set)
-
기존 집합에서 새로운 집합을 생성하는 방법 중 하나는 기존 집합의 부분집합의 집합을 취하는 것이다.
이 공리는 집합 의 멱 모임 가 집합임을 선언해준다. 즉, 이 공리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Axiom S - Subsets✔
공리 S(Axiom S - Subsets)
- 집합을 생성하는 더욱 일반적인 방법은 이 공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름정리 4.6
- (집합과 모임의 교집합은 집합이다.)
- (집합의 부분모임은 집합이다.)
- 임의의 술어적인 wff 에 대하여 .
- 증명
교집합(intersection)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정리 4.7
- 증명
Function, Restriction, Injection✔
집합론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공리 S 보다 더욱 강력한 공리가 필요하다. 먼저 편의상 다음을 정의하자.
함수(function), 제한(restriction), 단사 함수(injection, one-to-one function)
-
: 는 함수이다.
-
: 는 에서 로 가는 함수이다.
-
: 의 정의역을 로 제한한 것.
-
: 는 단사 함수이다.
-
-
-
를 만족하는 유일한 가 존재하면 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이다.
가 함수이고 가 그것의 정의역의 집합일 경우 은 함수에 를 적용한 결과값이다. 그러므로 는 로 표기한다.
가 함수일 경우 는 로 제한된 의 치역이다.
Axiom R - Replacement✔
공리 R(Axiom R - Replacement)
-
공리 R 은 가 함수이고 가 집합이면 첫번째 성분이 에 속하는 의 순서쌍의 두번째 성분의 모임은 집합이라는 것을 선언해준다.
또는 그와 같은 말로, 은 집합이다.
Axiom I - Axiom of Infinity✔
공리 I(Axiom I - Axiom of Infinity)
-
무한집합의 존재성을 위해서는 본 공리가 필요하다.
-
공리 I 는 를 포함하고 어떤 집합 가 포함되면 도 포함하는 집합의 존재를 선언한다.
즉, 이러한 집합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는 페아노 공리에서 자연수 집합 을 정의한 방법과 같다. 이제 을 으로 표기하고, 을 로 표기하고, 각 집합에 순서대로 자연수 숫자를 부여하여 표기하자.
-
이것이 NBG 의 마지막 공리이다. 사실 공리 S 는 다른 공리에 의해 증명될 수 있지만 NBG 의 약한 부분이론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포함시켰다.
이렇게 형성된 NBG 체계에 의한 집합론에서 러셀의 모순, 칸토어의 모순 등은 성립하지 않는다.
Ordinal Numbers✔
Order Relation, Well-Order✔
비반사(irreflexive), 추이적 관계(transitive), 부분순서(partially order), 연결 관계(connected relation), 전순서(totally order), 정렬순서(well-order)
각각 아래의 wff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는 에 대한 비반사 관계이다.
-
: 는 에 대한 추이적 관계이다.
-
: 는 에 대한 부분순서이다.
-
: 는 에 대한 연결 관계이다.
-
: 는 에 대한 전순서이다.
-
: 는 에 대한 정렬순서이다. 즉, 관계 가 에 대하여 비반사이고, 공집합이 아닌 모든 의 부분모임이 의 순서관계에 의한 최소 원소를 갖는다.
-
예시
양의 정수 집합 위의 관계 는 정렬순서이다.
정수 집합 위의 관계 는 전순서이고, 최소 원소가 없으므로 정렬순서가 아니다.
정수 집합의 모든 부분집합의 집합 위의 관계 는 부분순서이고, 전순서가 아니다. 왜냐하면 이고 이기 때문이다.
Similar Order✔
유사성 사상(similarity mapping)
: 는 위의 관계 을 위의 관계 로 보내는 유사성 사상이다.
- 순서 보존 사상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유사 순서 구조(similar ordered structure)
: 와 는 유사 순서 구조이다.
-
순서 동형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
예시
음이 아닌 정수 집합 위의 관계 을 이라고 하고, 양의 정수 집합 위의 관계 을 라고 하고, 에 대한 모든 순서쌍 집합을 라고 하자.
는 를 로 보내는 유사 사상이다.
Composition, Field, Total Order, Well-Ordering✔
합성(composition)
: 와 의 합성.
역(field), 전순서 관계(total order relation), 정렬 관계(well-ordering relation)
-
: 는 역이다.
-
: 는 전순서 관계이다.
-
: 는 정렬 순서 관계이다.
Ordinal Class, Ordinal Number✔
순서형(order type)
전순서 에 대하여 와 유사한 모든 전순서 모임을 의 순서형이라고 한다.
-
위상 수학에서 정의한 순서형과 똑같이 정의된다.
-
특히, 수리논리학에서는 정렬순서 관계의 순서형에 큰 관심을 갖는다. 의 순서형 을 제외하고 모든 순서형이 고유 모임이라는 것이 밝혀지기 때문에 의 유일한 원소에 대하여 모든 정렬순서가 유사한 정렬순서 구조의 모임 를 찾는 것이 좋다. 이는 순서수(ordinal number)의 개념으로 이어진다.
포함 관계(소속 관계, membership relation), 추이적(transitive), 절단(section), 절편(segment)
-
: 포함 관계
-
: 는 추이적이다.
-
: 는 의 -절단이다.
-
: 는 에 의한 -절편이다.
순서수 모임(ordinal class), 순서수의 모임(class of ordinal number), 순서수(ordinal number)
-
: 는 순서수 모임이다. 즉, -관계(포함 관계)가 를 정렬하고, 의 임의의 원소가 의 부분집합이다.
-
: 모든 순서수의 모임.
집합인 순서수 모임을 순서수라고 한다.
- 따라서 이다.
이제 로 순서수를 나타내자. 즉,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는 의 축약이다.
-
는 의 축약이다.
정리 4.8
-
9) 에 의하여 순서수가 아닌 유일한 순서수 모임은 그 자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증명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따라서 순서수에 대하여 는 와 같다. 그러므로 는 을 정렬한다.
특히, 정리 4.8 5) 에 의하여 임의의 순서수 는 그것보다 작은 순서수의 집합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ransfinite Induction✔
정리 4.9 초한귀납법(Transfinite Induction)
-
즉, 쉽게 말해서 이러하다.
만약, 모든 서수 에 대하여 보다 작은 모든 서수가 에 속할 때 도 에 속한다면, 모든 서수가 에 속한다.
-
이 정리는 모든 서수가 주어진 성질 를 가진다는 것을 증명해야 할 때 사용된다. 으로 두고 다음을 증명하면 된다.
-
증명
를 가정하자.
에 포함되는 서수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 에 의하여 정렬되므로 에 속하는 최소 서수 가 존재한다.
그러면 보다 작은 모든 서수가 에 속한다. 그러면 가정에 의하여 는 에 속한다. 이는 모순이다. ■
정리 4.10
를 로 정의하자.
다음이 성립한다.
- 증명
다음수 서수(successor ordinal), 제1종 서수(first kind ordinal)
-
: 는 다음수 서수이다.
-
: 제1종 서수의 모임.
-
: 제1종 서수 에 대하여 보다 작은 모든 서수도 제1종일 때 모든 서수 의 모임.
-
를 직관적으로 자연수 집합 의 서수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
예시
( 임을 기억하자.)
정리 4.11
- 증명
유한 서수(finite ordinal)
의 원소를 유한 서수라고 한다.
또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을 으로 정의한다.
- 를 으로 정의한다.
- 를 으로 정의한다.
그러므로 이다.
- 의 원소, 즉, 자연수 이 아닌 서수를 초한 서수라고 한다. 가 최초의 초한 서수이다.
극한 서수(limit ordinal)
: 는 극한 서수이다.
- 는 인 서수 를 갖지 않는데, 이러한 서수를 극한 서수라고 한다.
정리 4.12
-
가 서수 집합이면, 는 의 최소 상계인 서수이다.
-
가 최대 원소가 없는 공집합이 아닌 서수 집합이면, 은 극한 서수이다.
- 증명
정리 4.13 초한귀납법: 두번째 형태(Transfinite Induction: Second Form)
-
까지의 귀납법
-
까지의 귀납법
-
집합론은 초한귀납법의 정의와 다음의 정리에 깊이 의존한다.
-
증명
정리 4.14
-
주어진 에 대하여 에서 의 값이 보다 작은 서수 집합에 대한 의 제한을 적용한 의 값이 되도록 모든 서수 위에서 정의된 유일한 함수 가 존재한다.
-
-
까지의 귀납법
-
이 정리를 통하여 초한 귀납법에 의한 새로운 함수 기호들을 도입할 수 있다.
-
예시
서수 덧셈. 본 정리 2) 에 대하여 다음을 취하자.
그러면 각 서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유일한 함수 가 존재한다.
그러면 정의역 위의 유일한 이항 함수 를 임의의 서수 와 에 대하여 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관례를 따라 를 로 표기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특히, 다음이 성립한다.
-
예시
서수 곱셈. 본 정리 2) 에 대하여 다음을 취하자.
그러면 위 예시와 같은 방식으로 다음의 성질을 가지는 함수 를 얻을 수 있다.
-
증명
임의의 모임 에 대하여 를 로 제한된 포함 관계라고 정의한다.
Consistency Proof for Formal Number Theory(Schutte)✔
1차 수론 의 무모순성 증명은 최초로 겐첸(Gentzen, 1936, 1938)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이 내용을 의 서수 분석에서 엄밀하게 알아본다. 이후 아커만(Ackermann, 1940), Schutte(1951), Hlodovskii(1959) 등 다른 방식의 수론의 무모순성 증명이 제시되었고, 괴델의 두번째 불완전성 정리에서처럼 이 모든 증명들은 안에서 사용가능한 방법론을 사용하지 않았다. Schutte(1951)의 증명을 살펴보자.
무모순성 증명은 보다 강력한 체계 에 적용된다.
체계 (system )
의 기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 기호의 정의에 의하여 와 는 같은 항을 갖고, 그러므로 같은 원자식(항 와 에 대한 식 )을 갖는다.
- 기호: 는 처럼 개별 상수 과 함수 기호 , , 와 술어 기호 를 갖는다.
의 연결사와 wff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 정의에 의하여 의 모든 wff 가 의 wff 의 축약이 된다.
-
연결사: 가 기본 연결사로 과 을 가진 것에 비해 의 원시 명제 연결사는 과 이다. 는 로 정의한다.
-
wff: 의 wff 를 유한하게 연결사 와 과 양화사 를 원자식에 적용하여 얻은 식으로 정의한다.
닫힌 원자 wff 에 대하여 와 의 모든 재귀식을 풀어서 와 의 값을 계산했을 때 두 값이 같으면 가 옳다(correct)고 하고, 그렇지 않으면 가 틀리다(incorrect)고 하자.
다음을 의 공리로 정의한다. 의 모든 공리가 닫힌 wff 이고, 추론 규칙은 닫힌 전제를 닫힌 결과로 보내기 때문에 의 모든 정리는 닫힌 wff 이다.
-
공리:
- 모든 옳은 닫힌 원자 wff
- 모든 틀린 닫힌 원자 wff 의 부정
는 다음과 같은 추론규칙을 갖는다. 선 위의 wff 들이 전제이고 선 아래의 wff 가 결론이다.
-
약한 규칙(weak rule)
- 교환(exchange):
- 합병(consolidation):
-
강한 규칙(strong rule)
- 희석(dilution): 임의의 닫힌 wff 에 대하여
- 드모르간(De Morgan):
- 부정(negation):
- 양화(quantification): 닫힌 항 에 대하여
- 무한 귀납(infinite induction):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절단(cut):
wff 와 를 사이드(side) wff 라고 하며, 사이드 wff 는 생략될 수 있다. wff 와 들, 즉 사이드 wff 가 아닌 wff 를 주요(principal) wff 라고 한다.
절단의 주요 wff 를 절단 wff 라고 하고, 안에서 연결사와 양화사의 갯수를 절단의 차수(degree)라고 한다.
-
명백히 주어진 닫힌 원자 wff 가 옳은지 틀린지 효과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즉, 기계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절차가 존재한다.
-
예시
다음은 의 공리이다.
-
예시
다음과 같이 사이드 wff 를 생략할 수 있다.
는 절단이고 는 드모르간의 법칙이다.
G-트리(G-tree)
G-트리를 다음과 같은 그래프로 정의하자.
- 단계 에는 종점(terminal point)라고 불리는 단일 점이 있다.
- 각 단계 의 점은 단계 의 단 하나의 점과 연결된다.
- 단계 의 각 점 는 단계 의 개, 또는 개, 또는 가산 무한히 많은 점과 연결된다. 이때, 단계 의 점을 의 선행자(predecessor)라고 한다.
- 단계 의 각 점은 오직 단계 나 의 점과 연결된다.
- 선행자를 갖지 않는 점을 초기점(initial point)이라고 한다.
-
무한 귀납의 규칙이 에서의 증명의 개념보다 더 복잡하므로 에서의 증명의 개념을 더 정의해야 한다. 따라서 G-트리를 기반으로 증명트리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
예시

가 초기점이고 가 종점이다.
-
예시

가 초기점이고 가 종점이다.
-
예시

가 유일한 초기점이고, 가 종점이다.
증명 트리(proof-tree), 증명(proof), 정리(theorem)
증명 트리로써 의 wff 를 G-트리의 점에 다음과 같이 할당한다.
- 초기점에 할당되는 wff 는 의 공리이다.
- 비초기점 와 의 선행자에 할당되는 wff 는 각각 어떤 추론 규칙의 결론과 전제이다.
(증명 트리의 차수) 증명 트리에서 나타나는 절단의 차수의 최댓값이 존재한다. 이 최댓값을 증명 트리의 차수라고 한다. 만약 절단이 나타나지 않으면 차수를 이라고 정의한다.
다음과 같이 증명 트리의 wff 에 서수를 할당한다.
- 약한 규칙의 결론의 서수는 전제의 서수와 같다.
- 강한 규칙이나 절단의 결론의 서수는 전제의 서수보다 크다.
(증명 트리의 서수) 증명 트리의 종점에 할당되는 wff 를 끝 wff 라고 하자. 끝 wff 의 서수를 증명 트리의 서수라고 한다.
(증명 트리의 스레드) 증명 트리의 스레드(thread)는 유한 또는 가산무한의 wff 열 이다. 는 끝 wff 이고, 각 wff 는 의 선행자이다. 스레드의 각 wff 에 부여된 서수 는 증가하지 않으며, 강한 규칙이나 절단이 적용된 단계에서 감소한다.
이제 의 증명과 정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증명 트리는 끝 wff 의 증명이다.
- 의 정리는 증명 트리의 끝 wff 에 대한 wff 들로 정의된다.
-
서수의 열이 가산무한히 감소할 수 없으므로 스레드에 강한 규칙이나 절단이 오직 유한하게만 존재한다. 또한 주어진 wff 에 대하여 약한 규칙이 오직 유한하게 필요하다. 그러므로 증명 트리의 모든 스레드의 약한 규칙의 연속적인 적용은 오직 유한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증명 트리의 모든 스레드는 유한하다.
-
증명 트리의 wff 에 할당될 서수의 모임을 제한하면, 이는 증명 트리의 개념을 제한하고, 그러므로 더 작은 정리 집합을 얻게 된다.
가산무한한 서수의 다양한 구성적인(constructive) 절편을 사용하면, 그렇게 얻게될 체계와 무모순성 증명에 사용될 방법들이 덜 또는 더 구성적이게 된다.
보조정리 A.1
개의 연결사와 양화사를 갖는 닫힌 wff 를 잡자. 그러면 절단이 사용되지 않고 서수가 인 의 증명이 존재한다.
-
증명
에 대한 귀납법을 수행하자.
:
는 닫힌 원자 wff 이다. 그러면 가 옳거나 틀리므로 나 가 공리이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증명 트리를 만들 수 있다.
연역 근거 1 2 희석(강) 연역 근거 1 2 희석(강) 3 교환(약) 의 증명이 서수 을 갖도록 서수를 부여할 수 있다.
보다 작은 수에 대하여 성립한다고 가정:
-
가 인 경우. 귀납의 가정에 의하여 서수가 보다 같거나 작은 와 의 증명이 존재한다. 그러면 각각에 대하여 강한 규칙 희석을 사용하여 서수 을 갖는 와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이로써 강한 규칙 드모르간을 사용하여 서수 을 갖는 , 즉,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
가 인 경우. 귀납의 가정에 의하여 서수 의 의 증명이 존재한다. 약한 규칙 교환에 의하여 서수 의 의 증명을 얻을 수 있고, 강한 규칙 부정에 의하여 서수 의 , 즉,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
가 인 경우. 귀납의 가정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서수가 과 같거나 작은 의 증명이 존재한다. 그러면 강한 규칙 양화에 의하여 각 에 대하여 서수 의 증명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약한 규칙 교환에 의하여 서수 의 의 증명이 존재한다. 강한 규칙 무한 귀납을 적용하면 서수 의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약한 규칙 교환을 적용하면 서수 의 , 즉, 의 증명을 얻는다.
■
-
보조정리 A.2
임의의 닫힌 항 와 , 그리고 오직 를 자유변수로 갖는 임의의 wff 에 대하여 wff 는 의 정리이고 절단 규칙 없이 증명가능하다.
-
증명
일반적으로 에서 증명가능한 닫힌 wff 에 대하여 가 와 같은 값을 가지면 도 에서 증명가능하다. 가 와 라는 같은 값을 가지면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이 증명가능하므로 는 증명가능하다. 그러면 희석에 의하여 는 증명가능하다. ▲
와 가 다른 값을 가지면 는 틀리므로 는 공리이다. 그러면 희석과 교환에 의하여 는 정리이다. ■
보조정리 A.3
의 정리인 모든 닫힌 wff 는 의 정리이다.
-
증명
의 정리인 닫힌 wff 를 잡자. 명백하게 의 모든 증명은 유한한 증명 트리로 표현가능하다. 이 증명 트리의 초기 wff 는 의 공리이고, 츄론규칙은 물론 MP 와 Gen 이다. 의 증명트리의 서수를 이라고 하자.
이면 가 의 공리이다.
1차 논리 공리 :
가 , 즉, 인 경우.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에서 는 증명가능하다. 그러면 희석과 교환에 의하여 이다. ▲
1차 논리 공리
가 , 즉, 인 경우.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와 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연역할 수 있다.
연역 근거 1 2 1, 교환 3 2, 교환 4 5 4, 교환 6 5, 교환 7 3, 6, 절단 8 7, 합병 9 8, 교환 ▲
1차 논리 공리 :
가 , 즉, 인 경우. 먼저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이고, 부정에 의하여 이며, 희석과 교환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같은 방식으로 와 을 얻고, 드모르간에 의하여 이다. 그러면 교환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와 에 대한 드모르간에 의하여 이다. ▲
1차 논리 공리 :
가 , 즉, 인 경우.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이다. 양화 규칙에 의하여 이다. ▲
1차 논리 공리 :
가 , 즉, 인 경우. 이때 는 의 자유변수가 아니다.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의 증명이 존재한다.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이들 증명의 서수는 의 연결사와 양화사의 갯수 에 대하여 이다.
그러면 양화 규칙에 의하여 각 에 대하여 다음은 서수 인 증명을 가진다.
그러면 무한 귀납에 의하여 다음은 서수 인 증명을 가진다.
▲
수론 공리 :
가 , 즉, 인 경우.
를 로 두고, 를 로 두고, 를 로 두고 보조정리 A.2 를 적용하면 된다. ▲
수론 공리 :
, 즉, 인 경우. 와 가 같은 값을 가지면 와 도 그렇다. 그러므로 는 옳고, 그러므로 공리이다. 그러면 희석에 의하여 을 얻는다.
과 가 다른 값을 가질 경우 이 공리이므로 희석과 교환에 의하여 이 증명가능하다. ▲
수론 공리 :
가 인 경우. 과 은 다른 값을 가지므로 은 공리이다. ▲
수론 공리 :
가 , 즉, 인 경우. (쉽게 증명가능하다.) ▲
수론 공리 :
가 인 경우. 와 가 같은 값을 가지므로 는 공리이다. ▲
수론 공리 :
닫힌 항의 값을 계산하는 재귀 식으로부터 곧바로 쉽게 증명된다. ▲
수론 공리 :
가 , 즉, 다음과 같을 경우.
먼저 보조정리 A.1 과 교환과 희석에 의해 다음은 증명가능하다.
한편, 에 대하여 다음 wff 가 증명가능하다는 것을 귀납적으로 증명하자.
-
인 경우 보조정리 A.1 과 희석과 교환에 의하여 이다. 비슷하게 을 얻는다. 그러므로 드모르간에 의하여 이고 교환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
에 대하여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교환, 부정, 희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한편, 보조정리 A.1 를 에 적용하고, 희석과 교환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그러면 드모르간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여기에 교환을 적용하면 인 경우의 결론이 바로 나온다.
이제 에 양화를 적용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합병에 의하여 이다. 그러면 에 의하여 모든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제 무한 귀납을 적용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그러므로 의 모든 닫힌 공리는 에서 증명가능하다. ▲
을 가정하자.
그러면 는 MP 의 결과이거나, Gen 의 결과이다.
가 와 에 MP 를 적용하여 나온 결과이면 와 는 증명트리에서 보다 작은 서수를 갖고 있다. 에 자유변수가 있어도 와 선행자에 있는 자유변수를 으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가 자유변수를 갖지 않는다고 가정해도 상관없다. 그러면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와 , 즉, 이다. 그러면 절단에 의하여 이다.
가 로부터 일반화된 결과 인 경우도 있다. 증명 트리에서 를 역추적하여 자유변수 를 적절하게 으로 바꿀 수 있다. 그러면 같은 서수의 의 증명을 얻는다. 이는 모든 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모든 에 대하여 이다. 그러면 무한 귀납에 의하여 , 즉, 이다. ■
-
따름정리 A.4
가 무모순이면 도 무모순이다.
-
의 무모순성을 증명하면 자동으로 의 무모순성도 증명된다.
-
증명
가 모순이면 이다. 보조정리 A.3 에 의하여 이다. 그러나 이 옳으므로 이다. 그러면 의 임의의 wff 에 대하여 희석에 의하여 이고 과 함께 절단을 적용하면 을 얻는다. 즉, 의 임의의 wff 가 증명가능하다. 그러므로 는 모순이다. ■
보조정리 A.5
드모르간의 법칙, 부정, 무한 귀납은 가역이다. 즉, 어떤 전제의 귀결인 wff 의 증명으로부터 이들 규칙을 통하여 전제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이 증명의 서수와 차수는 원래의 증명의 서수와 차수보다 크지 않다.
-
증명
드모르간:
가 인 경우. 의 증명을 취하자. 에서부터 시작하여 증명 트리를 거슬러 올라가서 를 부분식으로 갖는 모든 wff 들을 찾자. 이 과정은 모든 약한 규칙의 적용과 를 사이드 wff 로 갖는 모든 강한 규칙의 적용의 결과를 추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오로지 희석 을 만나거나 드모르간
을 만나야만 끝난다. 이 과정을 통하여 가 나타나는 wff 를 모은 집합을 의 역사(history)라고 한다.
을 그것의 역사 속에서 로 교체할 수 있다. 그러면 불필요해진 식들을 지우고 끝 wff 가 인 증명 트리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을 로 교체하면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
부정:
가 인 경우. 의 역사를 정의하고 역사 속의 모든 를 로 대체하면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
무한 귀납:
가 인 경우. 의 역사를 정의하고 를 그것의 역사 속에서 으로 교체하면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
보조정리 A.6 (Schutte 1951: Reduktionssatz)
안에서 양의 차수 과 서수 를 갖는 어떤 증명 에 대하여 그것보다 낮은 차수와 서수 를 갖는 안에서의 의 증명이 존재한다.
-
증명
주어진 의 증명의 서수 에 대한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자.
인 경우 이 증명은 절단을 포함할 수 없고, 그러므로 차수가 이다. ▲
모든 서수 에 대하여 정리가 증명되었다고 가정하자. 끝 wff 에서부터 시작하여 약한 규칙이 아닌 규칙이 첫번째로 적용된 것을 찾자. 즉, 강한 규칙이나 절단이 적용된 것을 찾자.
이것이 강한 규칙인 경우 각 전제는 서수 를 갖는다.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이들의 전제에 대하여 더 낮은 차수와 서수 를 갖는 증명 트리가 존재한다. 원래의 증명 트리의 전제 위쪽부분을 이 증명트리로 교체하자. 그러면 의 서수가 모든 보다 큰 인 새로운 의 증명을 얻는다. ▲
절단이 적용되었을 경우는 가 일 때 다음과 같다.
와 의 서수를 각각 와 라고 하면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이들의 증명 트리의 위쪽을 차수를 감소시키고 서수를 와 가 되도록 교체할 수 있다.
이제 의 형태에 따른 조사를 해야 한다.
-
가 원자 wff 인 경우.
나 는 반드시 공리이다. 와 중에 공리가 아닌 것을 라고 하자.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를 포함하는 전제의 증명 트리 위쪽 부분을 더 작은 차수와 서수 ( 또는 )를 갖는 증명 트리로 교체할 수 있다.
이 새로운 증명 트리에서 의 역사를 정의하고, 역사에서 를 모두 지우면 서수 를 갖는 의 증명 트리 또는 의 증명 트리를 얻는다. 그러면 희석에 의하여 서수 를 갖는 의 증명을 얻을 수 있고, 절단을 제거했으므로 이 증명 트리의 차수는 보다는 작다.
-
가 인 경우.
차수가 이고 서수 를 갖는 의 증명이 존재한다. 보조정리 A.5 에 의하여 차수 와 서수 의 에 대한 증명 트리가 존재한다. 한편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차수 와 서수 의 에 대한 증명 트리가 존재한다.
이제 다음을 고려하자.
연역 근거 1 2 1, 교환 3 4 3, 교환 5 2, 4, 절단 6 5, 교환 위의 절단은 의 차수이고 이는 보다 작으며, 그러므로 이다. 의 서수는 가 되도록 잡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증명은 더 작은 차수와 서수 이다.
-
가 인 경우.
더 작은 차수와 서수 를 갖는 에 대한 증명트리가 존재한다. 그러면 보조정리 A.5 에 의하여 차수가 이고 서수가 인 와 의 증명트리가 존재한다. 또한 차수가 이고 서수가 인 의 증명트리가 존재한다.
연역 근거 1 2 3 1, 2, 절단 4 3, 교환 5 6 4, 5, 절단 7 6, 합병 이 절단은 차수 를 가지므로 새로운 증명트리는 차수 를 가진다. 의 서수는 로 잡을 수 있고 와 는 로 잡을 수 있다.
-
가 인 경우.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의 증명 트리는 더 작은 차수와 서수 를 갖는 증명 트리로 교체할 수 있다. 보조정리 A.5 와 일반적으로 에서 증명가능한 닫힌 wff 에 대하여 가 와 같은 값을 가지면 도 에서 증명가능하다는 사실에 의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차수가 이고 서수가 인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도 더 작은 차수와 서수 를 갖는 증명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 증명에서 의 역사는 다음과 같은 희석과 양화의 적용의 주요 wff 로써 종료된다.
그러한 양화의 적용을 다음과 같은 절단으로 교체할 수 있다.
역사에서 모든 를 로 교체하자. 그 결과는 끝 wff 가 인 증명트리이다.
이 증명 트리는 의 차수가 보다 작으므로 차수가 이다.
증명 트리에서 각각의 이전 서수 를 로 교체하자. 가 이전에 제거된 양화 규칙의 전제 의 서수이고, 가 결론 이면, 새로 도입된 절단에서 가 서수 를 갖고, 가 서수 를 갖고, 결론 는 서수 를 갖는다.
다른 모든 곳에서 결론의 서수는 전제의 서수보다 크다. 왜냐하면 가 를 함의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서수 를 가졌던 오른쪽 전제 는 다음과 같은 서수 를 갖는 로 넘어가게 된다.
이것이 이면 의 서수를 까지 올릴 수 있다. ■
-
따름정리 A.7
서수 와 차수 의 의 모든 증명은 서수 와 차수 을 갖는 증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 그러므로 모든 증명이 절단이 없는 증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정리 A.8
는 무모순이다.
-
증명
의 형태를 갖는 wff 를 잡자. 의 증명이 존재하면 따름정리 A.7 에 의하여 절단이 존재하지 않는 의 증명이 존재한다.
추론 규칙 중에서 오직 절단만이 식의 어떤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약한 규칙은 위치를 바꾸거나 무의미한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고, 강한 규칙은 식에 요소를 추가하는 것이다.
식에 어떤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절단이 증명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는 반드시 의 형태의 wff 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증명의 공리는 이런 형태여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공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는 증명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는 무모순이다. (체계가 모순적이면 모든 wff 가 증명 가능하다. 그러므로 체계의 무모순성은 증명불가능한 wff 의 존재성과 같다.) ■
-
서수 집합 를 생각하자. 이 집합의 최소상계를 이라 정의한다.
무모순성 정리의 가장 비구성적(non-constructive)인 측면은 보조정리 A.6 에서 사용된 초한귀납법이다. 주어진 서수까지의 초한귀납법의 원리는 겐첸과 Schutte 에 의하여 형식화되고 연구되었다. 까지의 초한귀납법은 에서 도출될 수 없다.
이 내용을 의 서수 분석에서 엄밀하게 알아본다.
한편, 증명에 할당될 서수 모임에 대한 제한이 없으면 다음이 성립한다.
- 는 -무모순이다.
- 표준 모델에서 참인 의 모든 닫힌 wff 은 증명가능하다. 그러므로 는 완전하다.
-
겐첸은 까지의 초한귀납법이 , 즉, PA 에서 형식화될 수는 있지만, PA 에서 증명될 수는 없다는 것을 보였다. 반면 임의의 까지의 초한귀납법은 형식화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PA 에서 증명도 될 수 있다. 이 결과 자체가 PA 의 무모순성을 증명한다. 왜냐하면 만약 수론이 모순적이라면 모든 것이 증명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내용을 의 서수 분석에서 엄밀하게 알아본다.
겐첸의 결과는 ordinal analysis 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시작시켰다. 서수 분석(ordinal analysis)은 주어진 이론 에 대하여 의 무모순성을 증명하기에 충분한 최소 서수 를 찾는 것이 목표이다. 다음의 표에 각 이론의 무모순성을 증명할 수 있는 최소 서수가 나와있다. 1차 논리의 수론 , 즉, 의 무모순성을 증명할 수 있는 최초 서수는 라는 것을 확인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