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AxiomaticSetTheory

NBG Axiom System

20세기 초에 집합론에 모순이 발견됨으로써 집합론의 모순과 직관적으로 여겨져서 엄밀한 정의를 보류해왔던 개념들을 제거해야 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집합론이 제시되었는데 이들이 얼마나 다르든, 이들은 모두 공통적인 근본 이론을 가졌다.

폰 노이만(von Neumann)이 최초로 제시(1925, 1928)하고 이후에 로빈슨(1937)과 버네이즈(Bernays)(1937-1954)와 괴델(Godel)(1940)이 개정한 체계인 1차 이론 NBG 를 다루자. NBG 는 단일 술어 기호 A22A _{2}^{2} 를 갖고 함수 기호나 개별 상수는 갖지 않는다. 그리고 A22(x,y)A _{2}^{2}(x, y)xyx \in y 로 축약하고, ¬A22(x,y)\neg A _{2}^{2}(x, y)x∉yx \not\in y 로 축약하자.

괴델의 표기법을 따라서 변수를 X1,X2,X_1, X_2, \dotsX,Y,ZX, Y, Z 로 표기하자.

모임(class)

모인은 특정한 성질을 만족하는 집합을 모은 것이다.

동등성(equality)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X=YX = Y : (Z)(ZX    ZY)(\forall Z)(Z \in X \iff Z \in Y)
  • 두 모임은 같은 멤버를 가질 때 서로 같다.

포함(inclusion)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XYX \subseteq Y : (Z)(ZX    ZY)(\forall Z)(Z \in X \implies Z \in Y) (inclusion)
  • XYX \subset Y : XYXYX \subseteq Y \land X \neq Y (proper inclusion)
  • XYX \subseteq Y 일 때 XXYY 의 부분모임(subclass)라고 한다. XYX \subset Y 일 때 XXYY 의 진부분모임(proper subclass)라고 한다.

여기에서는 \subset 를 진부분집합 관계를 뜻하는 용도로 사용하지만, 보통 \subset 는 부분집합 관계를 뜻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NBG 집합론의 정리를 뜻하는 NBG\vdash _{\text{NBG}}\vdash 로 축약하여 사용하자.

정리 4.1

  1. X=Y    (XYYX)\vdash X = Y \iff (X \subseteq Y \land Y \subseteq X)
  2. X=X\vdash X = X
  3. X=Y    Y=X\vdash X = Y \implies Y = X
  4. X=Y    (Y=Z    X=Z)\vdash X = Y \implies (Y = Z \implies X = Z)
  • 증명

Set, Proper Class

집합(set), 고유 모임(proper class)

  • M(X)\operatorname{M} (X) : (Y)(XY)(\exists Y)(X \in Y) (XX 는 집합이다)
  • Pr(X)\operatorname{Pr} (X) : ¬M(X)\neg \operatorname{M} (X) (XX 는 고유 모임이다)
  • 즉, 어떤 모임이 다른 모임에 속하면 집합이라고 한다. 그렇지 않은 모임를 고유 모임이라고 한다.

  • 이제 이로써 이전의 집합론에서 발생했던 모순들이 더 이상 모순이 아니라 단지 다양한 클래스가 집합이 아니라 고유 모임임을 말해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문제 4.1

XY    M(X) \vdash X \in Y \implies \operatorname{M} (X)
  • 체계 NBG 는 개별 개체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오직 모임만을 다루도록 설계되었다. 왜냐하면 수학 자체가 개별 대상을 다룰 필요 없이 모임에 대하여서만 형식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모임이 아닌 대상을 다루는 과학을 다룰 때 수학이 응용되어야 한다면 NBG 를 약간 변형하여 모임과 비모임 개체에 적용되는 체계를 사용해야 한다. 가령 체계 UR 이 있다.

    모임이 아닌 개별 개체를 허용한다면 동등성의 정의가 달라져야 한다. 모든 개별 개체는 아무것도 없는 똑같은 원소를 갖기 때문이다.

  • 이제 소문자 x1,x2,x_1, x_2, \dotsx,y,zx, y , z 를 집합에 대한 변수로써 사용한다.

    (xj)B(xj)(\forall x_j)B(x_j) 는 다음을 의미한다. 즉, BB 가 모든 집합에 대하여 성립한다.

    (X)(M(X)    B(X)) (\forall X)(\operatorname{M} (X) \implies B(X))

    (xj)B(xj)(\exists x_j)B(x_j) 는 다음을 의미한다. 즉, BB 가 어떤 집합에 대하여 성립한다.

    (X)(M(X)B(X)) (\exists X)(\operatorname{M} (X) \land B(X))

Extensionality Principle

문제 4.2 확장성 원리(extensionality principle)

X=Y    (z)(zX    zY) \vdash X = Y \iff (\forall z)(z \in X \iff z \in Y)
  • 두 모임이 같다는 것은 두 모임이 같은 집합을 원소로 갖는다는 것과 동치이다.

  • 증명

Axiom T

공리 T(Axiom T)

X1=X2    (X1X3    X2X3) X_1 = X_2 \implies (X_1 \in X_3 \iff X_2 \in X_3)
  • 서로 같은 클래스들은 같은 클래스에 속한다.

문제 4.3

M(Z)Z=Y    M(Y) \vdash \operatorname{M} (Z) \land Z = Y \implies \operatorname{M} (Y)
  • 증명

정리 4.2

NBG 는 동등성을 지닌 1차 이론이다.

  • 본 정리는 동등성의 치환성을 수반한다.

  • 증명

Axiom P - Pairing Axiom

공리 P(Axiom P - Pairing Axiom)

(x)(y)(z)(u)(uz    u=xu=y) (\forall x)(\forall y)(\exists z)(\forall u)(u \in z \iff u = x \lor u = y)
  • 임의의 집합 xxyy 에 대하여 오직 xxyy 만을 멤버로 가지는 집합 xx 가 존재한다.

    이 주장은 두 집합을 지닌 모임이 집합이라는 것을 선언해준다.

    공리는 이로써 집합을 생성하는 방법을 정해주는 역할, 무엇이 집합인지 특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Unordered Pair

문제 4.4 무순서쌍의 유일한 존재성(uniqueness existence of unordered pair)

(x)(y)(1z)(u)(uz    u=xu=y) \vdash (\forall x)(\forall y)(\exists _1z)(\forall u)(u \in z \iff u = x \lor u = y)

이때, zz{x,y}\{x, y\} 라고 표기한다.

  • 이 정리는 오직 xxyy 만을 갖는 집합 zz 는 유일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Axiom N - Null Set

공리 N(Axiom N - Null Set)

(x)(y)(y∉x) (\exists x)(\forall y)(y \not\in x)
  • 원소를 갖지 않는 집합이 존재한다는 공리이다.

    이 공리는 공집합이 집합이라는 선언을 해준다.

공집합 상수(null set constant)

(y)(y∉) (\forall y)(y \not\in \varnothing)
  • 공집합은 유일하다. 즉, (1x)(y)(y∉x)\vdash (\exists _1x)(\forall y)(y \not\in x) 이다. 그러므로 공집합을 의미하는 상수 \varnothing 을 도입할 수 있다.

    \varnothing 이 집합이라는 것은 공리 N 과 문제 4.3 에 의하여 증명된다.

문제 4.4 가 보장하는 xxyy 의 무순서쌍에 새 함수 기호 g(x,y)g(x, y) 를 도입할 수 있다. 관례를 따라 이것을 {x,y}\{x, y\} 라고 표기한다.

임의의 모임 XXYY 에 대한 {X,Y}\{X, Y\} 의 유일한 값도 정의해야 한다. XX 가 집합이 아니거나 YY 가 집합이 아닐 때 {X,Y}\{X, Y\}\varnothing 이라고 한다.

  • 이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Z)([(¬M(X)¬M(Y))Z=][M(X)M(Y)(u)(uZ    u=Xu=Y)]) \begin{align}\begin{split} \vdash (\exists _1Z)(&[(\neg \operatorname{M} (X) \lor \neg \operatorname{M} (Y)) \land Z = \varnothing] \lor \\ &[\operatorname{M} (X) \land \operatorname{M} (Y) \land (\forall u)(u \in Z \iff u = X \lor u = Y)]) \\ \end{split}\end{align} \tag*{}

    이 결과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항 {X,Y}\{X,Y\} 의 도입을 정당화해준다.

    [(¬M(X)¬M(Y)){X,Y}=][M(X)M(Y)(u)(u{X,Y}    u=Xu=Y)] \begin{align}\begin{split} &[(\neg \operatorname{M} (X) \lor \neg \operatorname{M} (Y)) \land \{X,Y\} = \varnothing] \lor \\ &[\operatorname{M} (X) \land \operatorname{M} (Y) \land (\forall u)(u \in \{X,Y\} \iff u = X \lor u = Y)] \\ \end{split}\end{align} \tag*{}

    그러면 다음 두 결과가 성립한다.

    (x)(y)(u)(u{x,y}    u=xu=y)\vdash (\forall x)(\forall y)(\forall u)(u \in \{x, y\} \iff u = x \lor u = y)
    (X)(Y)M({X,Y})\vdash (\forall X)(\forall Y)\operatorname{M} (\{X, Y\})

싱글톤(singleton)

{X,X}\{X, X\}{X}\{X\} 라고 정의한다.

  • 집합 xx 에 대하여 {x}\{x\}xx 의 싱글톤이라고 한다. 이 집합은 오직 xx 를 원소로 갖는다.

  • 정리 2.28 은 \varnothing 이나 {X,Y}\{X, Y\} 같은 새로운 개별 상수나 함수 기호를 추가하는 것이 NBG 이론에 본질적으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Ordered Pair

순서쌍(ordered pair)

{{X},{X,Y}}\{\{X\},\{X,Y\}\}<X,Y>\left< X,Y \right> 라고 정의한다.

  • 이 정의에 어떤 본질적인 직관적 의미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단지 순서쌍의 다음의 성질을 보이기 위하여 편의적인 방법으로 정의된 것이다.

정리 4.3

(x)(y)(u)(v)(<x,y>=<u,v>    x=uy=v) \vdash (\forall x)(\forall y)(\forall u)(\forall v)(\left< x,y \right> = \left< u,v \right> \implies x = u \land y = v)
  • 동등성의 치환성에 의하여 이 정리의 역도 성립한다.

  • 증명

n-튜플(n-tuple)

<X>=X \left< X \right> = X
<X1,,Xn,Xn+1>=<<X1,,Xn>,Xn+1> \left< X_1, \dots, X_n, X _{n+1} \right> = \left< \left< X_1, \dots, X_n \right>, X _{n+1} \right>
  • 즉, <X,Y,Z>=<<X,Y>,Z>\left< X,Y,Z \right> = \left< \left< X, Y \right>, Z \right> 이고 <X,Y,Z,U>=<<<X,Y>,Z>,U>\left< X, Y, Z, U \right> = \left< \left< \left< X, Y \right>, Z \right>, U \right> 이다.

Axiom B1 - B7

모임의 존재성 공리

(B1)(X)(u)(v)(<u,v>X    uv)(B1) \quad (\exists X)(\forall u)(\forall v)(\left< u,v \right> \in X \iff u \in v) (\in-관계)

(B2)(X)(Y)(Z)(u)(uZ    uXuY)(B2) \quad (\forall X)(\forall Y)(\exists Z)(\forall u)(u \in Z \iff u \in X \land u \in Y) (교집합)

(B3)(X)(Z)(u)(uZ    u∉X)(B3) \quad (\forall X)(\exists Z)(\forall u)(u \in Z \iff u \not\in X) (여집합)

(B4)(X)(Z)(u)(uZ    (v)(<u,v>X))(B4) \quad (\forall X)(\exists Z)(\forall u)(u \in Z \iff (\exists v)(\left< u, v \right> \in X)) (정의역(domain))

(B5)(X)(Z)(u)(v)(<u,v>Z    uX)(B5) \quad (\forall X)(\exists Z)(\forall u)(\forall v)(\left< u, v \right> \in Z \iff u \in X)

(B6)(X)(Z)(u)(v)(w)(<u,v,w>Z    <v,w,u>X)(B6) \quad (\forall X)(\exists Z)(\forall u)(\forall v)(\forall w)(\left< u, v, w \right> \in Z \iff \left< v, w, u \right> \in X)

(B7)(X)(Z)(u)(v)(w)(<u,v,w>Z    <u,w,v>X)(B7) \quad (\forall X)(\exists Z)(\forall u)(\forall v)(\forall w)(\left< u, v, w \right> \in Z \iff \left< u, w, v \right> \in X)

  • 확장성의 원리를 사용하면 공리 (B2),(B3),(B4)(B2), (B3), (B4)ZZ 의 유일성을 증명할 수 있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X)(Y)(1Z)(u)(uZ    uXuY)\vdash (\forall X)(\forall Y)(\exists_1 Z)(\forall u)(u \in Z \iff u \in X \land u \in Y)
    (X)(1Z)(u)(uZ    u∉X)\vdash (\forall X)(\exists_1 Z)(\forall u)(u \in Z \iff u \not\in X)
    (X)(1Z)(u)(uZ    (v)(<u,v>X))\vdash (\forall X)(\exists_1 Z)(\forall u)(u \in Z \iff (\exists v)(\left< u, v \right> \in X))

    이 결과는 새 함수 기호 ,,D\cap, -, \mathcal{D} 를 도입하는 것을 정당화해준다.

Intersection, Complement, Domain, Union, Universal Class, Difference

교집합(intersection), 여집합(complement), 정의역(domain), 합집합(union), 보편 모임(universal class), 차집합(difference)

  • XXYY 의 교집합: (u)(uXY    uXuY)(\forall u)(u \in X \cap Y \iff u \in X \land u \in Y)

  • XX 의 여집합: (u)(uX    u∉X)(\forall u)(u \in \overline{X} \iff u \not\in X)

  • XX 의 정의역: (u)(uD(X)    (v)(<u,v>X))(\forall u)(u \in \mathcal{D}(X) \iff (\exists v)(\left< u, v \right> \in X))

  • XXYY 의 합집합: XY=XYX \cup Y = \overline{\overline{X} \cap \overline{Y}}

  • 보편적 모임: V=V = \overline{\varnothing}

  • XXYY 의 차집합: XY=XYX - Y = X \land \overline{Y}

  • 보편 집합 VV 가 집합이 아닌 고유 모임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Predicative wff

술어적인 wff(predicative wff)

X1,,Xn,Y1,,YmX_1, \dots, X_n, Y_1, \dots, Y_m 중에서 변수를 갖는 wff ϕ(X1,,Xn,Y1,,Ym)\phi (X_1, \dots, X_n, Y_1, \dots, Y_m) 에서 오직 집합 변수에만 양화사가 지칭되었다면 술어적인 wff 라고 한다.

  • 예시

    (x1)(x1Y1)(\exists x_1)(x_1 \in Y_1) 은 술어적이지만, (Y1)(x1Y1)(\exists Y_1)(x_1 \in Y_1) 은 술어적이지 않다.

Class Existence Theorem

정리 4.4 모임 존재 정리(Class Existence Theorem)

술어적인 wff ϕ(X1,,Xn,Y1,,Ym)\phi (X_1, \dots, X_n, Y_1, \dots, Y_m)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Z)(x1)(xn)(<x1,,xn>Z    ϕ(x1,,xn,Y1,,Ym)) \vdash (\exists Z)(\forall x_1)\dots (\forall x_n)(\left< x_1, \dots, x_n \right> \in Z \iff \\ \phi (x_1, \dots, x_n, Y_1, \dots, Y_m))
  • 증명

  • 예시

    ϕ(X,Y1,Y2)\phi (X, Y_1, Y_2)(u)(v)(X=<u,v>uY1vY2)(\exists u)(\exists v)(X = \left< u,v \right> \land u \in Y_1 \land v \in Y_2) 라고 하자. ϕ\phi 에서 양화사가 오직 집합 변수를 지칭한다. 그러므로 모임 존재 정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Z)(x)(xZ    (u)(v)(x=<u,v>uY1vY2)) \vdash (\exists Z)(\forall x)(x \in Z \iff (\exists u)(\exists v)(x = \left< u, v \right> \land u \in Y_1 \land v \in Y_2))

    확장성 원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Z)(x)(xZ    (u)(v)(x=<u,v>uY1vY2)) \vdash (\exists_1 Z)(\forall x)(x \in Z \iff (\exists u)(\exists v)(x = \left< u, v \right> \land u \in Y_1 \land v \in Y_2))

    이 결과를 기반으로 새 함수 기호 ×\times 를 도입할 수 있다.

Cartesian Product, Relation

데카르트 곱(Cartesian product), 관계(relation)

Y1Y_1Y2Y_2 의 데카르트 곱 Y1×Y2Y_1 \times Y_2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x)(xY1×Y2    (u)(v)(x=<u,v>uY1vY2)) \begin{align}\begin{split} (\forall x)( &x \in Y_1 \times Y_2 \iff \\ & (\exists u)(\exists v)(x = \left< u, v \right> \land u \in Y_1 \land v \in Y_2))\\ \end{split}\end{align} \tag*{}

또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Y×YY \times YY2Y ^{2} 로 정의한다.

  • n>2n > 2 에 대하여 Yn1×YY ^{n-1} \times YYnY ^{n} 로 정의한다.

  • 이항관계 XX 에 대하여 XV2X \subseteq V ^{2}Rel(X)\operatorname{Rel} (X) 로 정의한다.

  • V2V ^{2} 는 모든 순서쌍의 모임이다.

  • 관계란 대상 간의 어떤 연결을 의미한다. 수학에서 관계는 순서쌍 <u,v>\left< u,v \right> 로 표현된다.

Power Class, Sum Class, Identity Relation

멱 모임(power class)

다음을 만족하는 P(Y)\operatorname{P} (Y)YY 의 멱 모임이라 한다.

(x)(xP(Y)    xY) (\forall x)(x \in \operatorname{P} (Y) \iff x \subseteq Y)
  • ϕ(X,Y)\phi (X, Y)XYX \subseteq Y 라고 하자. 모임 존재 정리와 확장성 원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Z)(x)(xZ    xY)\vdash (\exists _1Z)(\forall x)(x \in Z \iff x \subseteq Y)

    즉, YY 의 모든 부분집합을 원소로 갖는 유일한 모임 ZZ 가 존재한다. ZZYY 의 멱 모임이라 하고 P(Y)\operatorname{P}(Y) 라고 표기한다.

합 모임(sum class)

YY 의 합 모임 Y\bigcup_{}^{}Y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x)(xY    (v)(xvvY)) (\forall x)(x \in \bigcup_{}^{}Y \iff (\exists v)(x \in v \land v \in Y))
  • ϕ(X,Y)\phi (X, Y)(v)(XvvY)(\exists v)(X \in v \land v \in Y) 라고 하자. 모임 존재 정리와 확장성 원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Z)(x)(xZ    (v)(xvvY)) \vdash (\exists _1 Z)(\forall x)(x \in Z \iff (\exists v)(x \in v \land v \in Y))

    즉, YY 의 원소의 원소를 모두 포함하는 유일한 모임 ZZ 가 존재하고, 이 ZZY\bigcup_{}^{}Y 라고 표기한다.

항등 관계(identity relation)

다음을 만족하는 모임 II 를 항등 관계라고 한다.

(x)(xI    (u)(x=<u,u>)) (\forall x)(x \in I \iff (\exists u)(x = \left< u, u \right>))
  • ϕ(X)\phi (X)(u)(X=<u,u>)(\exists u)(X = \left< u,u \right>) 라고 하자. 모임 존재 정리와 확장성 원리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유일한 모임 ZZ 가 존재한다.

    (x)(xZ    (u)(x=<u,u>)) (\forall x)(x \in Z \iff (\exists u)(x = \left< u,u \right>))

    ZZ 를 항등 관계라고 하고 II 라고 표기한다.

따름정리 4.5

ϕ(X1,,Xn,Y1,,Ym)\phi (X_1, \dots, X_n, Y_1, \dots, Y_m) 이 술어적 wff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1W)(WVn(x1)(xn)(<x1,,xn>W    ϕ(x1,,xn,Y1,,Ym))) \begin{align}\begin{split} &\vdash (\exists _1W)\bigg (W \subseteq V ^{n} \land (\forall x_1)\dots (\forall x_n)\Big (\left< x_1, \dots, x_n \right>\in W \iff \\ &\qquad \qquad \qquad \phi (x_1, \dots, x_n,Y_1, \dots, Y_m)\Big )\bigg ) \end{split}\end{align} \tag*{}
  • 증명

Inverse Relation, Range

어떤 술어적인 wff ϕ(X1,,Xn,Y1,,Ym)\phi (X_1, \dots, X_n, Y_1, \dots, Y_m) 에 대하여

{<x1,,xn>:ϕ(x1,,xn,Y1,,Ym)} \{\left< x_1, \dots, x_n \right> : \phi (x_1, \dots, x_n, Y_1, \dots, Y_m)\}

ϕ(x1,,xn,Y1,,Ym)\phi (x_1, \dots, x_n, Y_1, \dots, Y_m) 를 만족하는 모든 n-튜플 <x1,,xn>\left< x_1, \dots, x_n \right> 의 모임으로 정의한다.

  • 즉, 완전히 형식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u)(u{<x1,,xn>:ϕ(x1,,xn,Y1,,Ym)}    (x1)(xn)(u=<x1,,xn>ϕ(x1,,xn,Y1,,Ym))) (\forall u)(u \in \{\left< x_1, \dots, x_n \right> : \phi (x_1, \dots, x_n, Y_1, \dots, Y_m)\} \iff \\ (\exists x_1)\dots (\exists x_n)(u = \left< x_1, \dots, x_n \right> \land \phi (x_1, \dots, x_n, Y_1, \dots, Y_m)))
  • 예시

    ϕ\phi<x2,x1>Y\left< x_2, x_1 \right> \in Y 라고 하자. Y˘\breve{Y}{<x1,x2>:<x2,x1>Y}\{\left< x_1, x_2 \right> : \left< x_2, x_1 \right> \in Y\} 의 축약이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Y˘V2(x1)(x2)(<x1,x2>Y˘    <x2,x1>Y) \breve{Y} \subseteq V ^{2} \land (\forall x_1)(\forall x_2)(\left< x_1, x_2 \right> \in \breve{Y} \iff \left< x_2, x_1 \right> \in Y)

    Y˘\breve{Y}YY 의 역관계(inverse relation)라고 한다.

  • 예시

    ϕ\phi(v)(<v,x>Y)(\exists v)(\left< v,x \right> \in Y) 라고 하자. R(Y)\mathcal{R}(Y){x:(v)(<v,x>Y)}\{x : (\exists v)(\left< v,x \right> \in Y)\} 라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u)(uR(Y)    (v)(<v,u>Y)) \vdash (\forall u)(u \in \mathcal{R}(Y) \iff (\exists v)(\left< v, u \right> \in Y))

    R(Y)\mathcal{R}(Y)YY 의 치역(range)이라고 한다. 자명하게 R(Y)=D(Y)\vdash \mathcal{R}(Y) = \mathcal{D}(Y) 이다.

공리 (B1)(B7)(B1)-(B7) 은 정리 4.4 모임 존재 정리의 특수한 경우들이다. 그러므로 정리 4.4 의 공리꼴의 무한한 인스턴스 대신 유한한 공리꼴만을 가정해도 충분하다.

Axiom U - Sum Set

더욱 복잡도가 높은 집합의 존재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공리들이 필요하다.

공리 U(Axiom U - Sum Set)

(x)(y)(u)(uy    (v)(uvvx)) (\forall x)(\exists y)(\forall u)(u \in y \iff (\exists v)(u \in v \land v \in x))
  • 이 공리는 집합 xx 의 합 모임 x\bigcup_{}^{} x 이 집합임을 선언해준다. 이 공리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x)M(x) \vdash (\forall x)\operatorname{M} \left(\bigcup x\right)
  • 집합 xx 안의 모든 집합의 합집합 x\bigcup x 를 보통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vxv \bigcup_{v \in x}^{} v

Axiom W - Power Set

공리 W(Axiom W - Power Set)

(x)(y)(u)(uy    ux) (\forall x)(\exists y)(\forall u)(u \in y \iff u \subseteq x)
  • 기존 집합에서 새로운 집합을 생성하는 방법 중 하나는 기존 집합의 부분집합의 집합을 취하는 것이다.

    이 공리는 집합 xx 의 멱 모임 P(x)\operatorname{P} (x) 가 집합임을 선언해준다. 즉, 이 공리에 의해 다음이 성립한다.

    (x)M(P(x)) \vdash (\forall x)\operatorname{M} (\operatorname{P} (x))

Axiom S - Subsets

공리 S(Axiom S - Subsets)

(x)(Y)(z)(u)(uz    uxuY) (\forall x)(\forall Y)(\exists z)(\forall u)(u \in z \iff u \in x \land u \in Y)
  • 집합을 생성하는 더욱 일반적인 방법은 이 공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름정리 4.6

  1. (x)(Y)M(xY)\vdash (\forall x)(\forall Y)\operatorname{M} (x \cap Y) (집합과 모임의 교집합은 집합이다.)
  2. (x)(Y)(Yx    M(Y))\vdash (\forall x)(\forall Y)(Y \subseteq x \implies \operatorname{M} (Y)) (집합의 부분모임은 집합이다.)
  3. 임의의 술어적인 wff B(y)B(y) 에 대하여 (x)M({y:yxB(y)})\vdash (\forall x)\operatorname{M} (\{y : y \in x \land B(y)\}).
  • 증명

교집합(intersection)

X\bigcap X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y:(x)(xX    yx)} \{y : (\forall x)(x \in X \implies y \in x)\}

정리 4.7

  1. (x)(xX    Xx)\vdash (\forall x)(x \in X \implies \bigcap X \subseteq x)
  2. X    M(X)\vdash X \neq \varnothing \implies \operatorname{M} \left( \bigcap X\right)
  3. =V\vdash \bigcap \varnothing= V
  • 증명

Function, Restriction, Injection

집합론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공리 S 보다 더욱 강력한 공리가 필요하다. 먼저 편의상 다음을 정의하자.

함수(function), 제한(restriction), 단사 함수(injection, one-to-one function)

  • Fnc(X)\operatorname{Fnc} (X) : XX 는 함수이다.

    Rel(X)(x)(y)(z)(<x,y>X<x,z>X    y=z) \begin{align}\begin{split} \operatorname{Rel} (X) \land (\forall x)(\forall y)(\forall z)(& \left< x, y \right> \in X \land\\ & \left< x, z \right> \in X \implies y = z)\\ \end{split}\end{align} \tag*{}
  • X:YZX:Y \to Z : XXYY 에서 ZZ 로 가는 함수이다.

    Fnc(X)D(X)=YR(X)Z\operatorname{Fnc} (X) \land \mathcal{D}(X) = Y \land \mathcal{R}(X) \subseteq Z
  • YXY \mathord{\downharpoonright} X : XX 의 정의역을 YY 로 제한한 것.

    X(Y×V) X \cap (Y \times V)
  • Fnc1(X)\operatorname{Fnc} _1(X) : XX 는 단사 함수이다.

    Fnc(X)Fnc(X˘) \operatorname{Fnc} (X) \land \operatorname{Fnc} (\breve{X})
  • XY={z(u)(<Y,u>X    u=z)elseX'Y = \begin{cases} z & (\forall u)(\left< Y, u \right> \in X \iff u = z)\\ \varnothing & \text{else} \\ \end{cases}

  • XY=R(YX)X''Y = \mathcal{R}(Y \mathord{\downharpoonright} X)

  • <y,z>X\left< y, z \right> \in X 를 만족하는 유일한 zz 가 존재하면 z=Xyz = X'y 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Xy=X'y = \varnothing 이다.

    XX 가 함수이고 yy 가 그것의 정의역의 집합일 경우 XyX'y 은 함수에 yy 를 적용한 결과값이다. 그러므로 XyX'yX(y)X(y) 로 표기한다.

    XX 가 함수일 경우 XYX''YYY 로 제한된 XX 의 치역이다.

Axiom R - Replacement

공리 R(Axiom R - Replacement)

Fnc(Y)    (x)(y)(u)(uy    (v)(<v,u>Yvx)) \begin{align}\begin{split} &\operatorname{Fnc} (Y) \implies (\forall x)(\exists y)(\forall u)\big ( \\ & \qquad u \in y \iff (\exists v)(\left< v,u \right> \in Y \land v \in x)\big ) \\ \end{split}\end{align} \tag*{}
  • 공리 R 은 YY 가 함수이고 xx 가 집합이면 첫번째 성분이 xx 에 속하는 YY 의 순서쌍의 두번째 성분의 모임은 집합이라는 것을 선언해준다.

    또는 그와 같은 말로, R(xY)\mathcal{R}(x \mathord{\downharpoonright} Y) 은 집합이다.

Axiom I - Axiom of Infinity

공리 I(Axiom I - Axiom of Infinity)

(x)(x(u)(ux    u{u}x)) (\exists x)(\varnothing \in x \land (\forall u)(u \in x \implies u \cup \{u\}\in x))
  • 무한집합의 존재성을 위해서는 본 공리가 필요하다.

  • 공리 I 는 \varnothing 를 포함하고 어떤 집합 uu 가 포함되면 u{u}u \cup \{u\} 도 포함하는 집합의 존재를 선언한다.

    즉, 이러한 집합 xx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x \{\varnothing\} \in x
    {,{}}x \{\varnothing, \{\varnothing\}\} \in x
    {,{,{}}}x \{ \varnothing, \{\varnothing, \{\varnothing\}\}\} \in x
    \vdots

    이는 페아노 공리에서 자연수 집합 N\N 을 정의한 방법과 같다. 이제 {}\{\varnothing\}11 으로 표기하고, {,{}}\{\varnothing, \{\varnothing\}\}22 로 표기하고, 각 집합에 순서대로 자연수 숫자를 부여하여 표기하자.

  • 이것이 NBG 의 마지막 공리이다. 사실 공리 S 는 다른 공리에 의해 증명될 수 있지만 NBG 의 약한 부분이론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포함시켰다.

    이렇게 형성된 NBG 체계에 의한 집합론에서 러셀의 모순, 칸토어의 모순 등은 성립하지 않는다.

Ordinal Numbers

Order Relation, Well-Order

비반사(irreflexive), 추이적 관계(transitive), 부분순서(partially order), 연결 관계(connected relation), 전순서(totally order), 정렬순서(well-order)

각각 아래의 wff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XIrrYX \operatorname{Irr}Y : XXYY 에 대한 비반사 관계이다.

    Rel(X)(y)(yY    <y,y>∉X) \operatorname{Rel} (X) \land (\forall y)(y \in Y \implies \left< y, y \right> \not\in X)
  • XTrYX \operatorname{Tr}Y : XXYY 에 대한 추이적 관계이다.

    Rel(X)(u)(v)(w)([uYvYwY<u,v>X<v,w>X]    <u,w>X) \begin{align}\begin{split} \operatorname{Rel} (X) \land (\forall u)(\forall v)(\forall w)(& [u \in Y \land v \in Y \land \\ & w \in Y \land \left< u, v \right> \in X \land \left< v, w \right> \in X] \\ & \implies \left< u, w \right> \in X) \\ \end{split}\end{align} \tag*{}
  • XPartYX \operatorname{Part}Y : XXYY 에 대한 부분순서이다.

    (XIrrY)(XTrY) (X \operatorname{Irr}Y) \land (X \operatorname{Tr}Y)
  • XConYX \operatorname{Con}Y : XXYY 에 대한 연결 관계이다.

    Rel(X)(u)(v)([uYvYuv]    <u,v>X<v,u>X) \begin{align}\begin{split} \operatorname{Rel} (X) \land (\forall u)(\forall v)(& [u \in Y \land v \in Y \land u \neq v] \implies \\ & \left< u, v \right> \in X \lor \left< v, u \right> \in X) \\ \end{split}\end{align} \tag*{}
  • XTotYX \operatorname{Tot}Y : XXYY 에 대한 전순서이다.

    (XIrrY)(XTrY)(XConY) (X \operatorname{Irr}Y) \land (X \operatorname{Tr}Y) \land (X \operatorname{Con}Y)
  • XWeYX \operatorname{We}Y : XXYY 에 대한 정렬순서이다. 즉, 관계 XXYY 에 대하여 비반사이고, 공집합이 아닌 모든 YY 의 부분모임이 XX 의 순서관계에 의한 최소 원소를 갖는다.

    (XIrrY)(Z)([ZYZ]    (y)(yZ(v)(vZvy    <y,z>X<v,y>∉X))) \begin{align}\begin{split} (X \operatorname{Irr}Y) \land (\forall Z)\bigg (&[Z \subseteq Y \land Z \neq \varnothing] \implies (\exists y)\Big (y \in Z \land \\ &\enspace (\forall v)\big (v \in Z \land v \neq y \implies \\ & \qquad \left< y, z \right> \in X \land \left< v, y \right> \not\in X \big )\Big )\bigg ) \\ \end{split}\end{align} \tag*{}
  • 예시

    양의 정수 집합 PP 위의 관계 << 는 정렬순서이다.

    정수 집합 Z\Bbb{Z} 위의 관계 << 는 전순서이고, 최소 원소가 없으므로 정렬순서가 아니다.

    정수 집합의 모든 부분집합의 집합 WW 위의 관계 \subset 는 부분순서이고, 전순서가 아니다. 왜냐하면 {1}⊄{2}\{1\}\not \subset \{2\} 이고 {2}⊄{1}\{2\}\not \subset \{1\} 이기 때문이다.

Similar Order

유사성 사상(similarity mapping)

Simp(Z,W1,W2)\operatorname{Simp}(Z, W_1, W_2) : ZZx1x_1 위의 관계 r1r_1x2x_2 위의 관계 r2r_2 로 보내는 유사성 사상이다.

(x1)(x2)(r1)(r2)(Rel(r1)Rel(r2)W1=<r1,x1>W2=<r2,x2>Fnc1(Z)D(Z)=x1R(Z)=x2(u)(v)(ux1vx1    (<u,v>r1    <Zu,Zv>r2))) \begin{align}\begin{split} (\exists x_1)(\exists x_2)&(\exists r_1)(\exists r_2)( \operatorname{Rel} (r_1) \land \operatorname{Rel} (r_2) \land \\ & W_1 = \left< r_1, x_1 \right> \land W_2 = \left< r_2, x_2 \right> \land \\ & \operatorname{Fnc} _1(Z) \land \mathcal{D}(Z) = x_1 \land \mathcal{R}(Z) = x_2 \land \\ & (\forall u)(\forall v)(u \in x_1 \land v \in x_1 \implies \\ & \qquad \qquad (\left< u,v \right> \in r_1 \iff \left< Z'u , Z'v \right> \in r_2)))\\ \end{split}\end{align} \tag*{}

유사 순서 구조(similar ordered structure)

Sim(W1,W2)\operatorname{Sim}(W_1, W_2) : W1W_1W2W_2 는 유사 순서 구조이다.

(z)Simp(z,W1,W2) (\exists z)\operatorname{Simp}(z, W_1, W_2)
  • 순서 동형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 예시

    음이 아닌 정수 집합 AA 위의 관계 <<r1r_1 이라고 하고, 양의 정수 집합 BB 위의 관계 <<r2r_2 라고 하고, xAx \in A 에 대한 모든 순서쌍 <x,x+1>\left< x, x+1 \right> 집합을 zz 라고 하자.

    zz<r1,A>\left< r_1 , A \right><r2,B>\left< r_2 , B \right> 로 보내는 유사 사상이다.

Composition, Field, Total Order, Well-Ordering

합성(composition)

X1X2X_1 \circ X_2 : X2X_2X1X_1 의 합성.

{<u,v>:(z)(<u,z>X2<z,v>X1)} \{\left< u,v \right> : (\exists z)(\left< u, z \right> \in X_2 \land \left< z, v \right> \in X_1)\}

역(field), 전순서 관계(total order relation), 정렬 관계(well-ordering relation)

  • Fld(X)\operatorname{Fld}(X) : XX 는 역이다.

    D(X)R(X) \mathcal{D}(X) \cup \mathcal{R}(X)
  • TOR(X)\operatorname{TOR}(X) : XX 는 전순서 관계이다.

    Rel(X)(XTot(Fld(X))) \operatorname{Rel} (X) \land (X \operatorname{Tot}(\operatorname{Fld}(X)))
  • WOR(X)\operatorname{WOR}(X) : XX 는 정렬 순서 관계이다.

    Rel(X)(XWe(Fld(X))) \operatorname{Rel} (X) \land (X \operatorname{We}(\operatorname{Fld}(X)))

Ordinal Class, Ordinal Number

순서형(order type)

전순서 xx 에 대하여 xx 와 유사한 모든 전순서 모임을 xx 의 순서형이라고 한다.

  • 위상 수학에서 정의한 순서형과 똑같이 정의된다.

  • 특히, 수리논리학에서는 정렬순서 관계의 순서형에 큰 관심을 갖는다. \varnothing 의 순서형 {}\{\varnothing\} 을 제외하고 모든 순서형이 고유 모임이라는 것이 밝혀지기 때문에 WW 의 유일한 원소에 대하여 모든 정렬순서가 유사한 정렬순서 구조의 모임 WW 를 찾는 것이 좋다. 이는 순서수(ordinal number)의 개념으로 이어진다.

포함 관계(소속 관계, membership relation), 추이적(transitive), 절단(section), 절편(segment)

  • EE : 포함 관계

    {<x,y>:xy} \{\left< x, y \right> : x \in y\}
  • Trans(X)\operatorname{Trans}(X) : XX 는 추이적이다.

    (u)(uX    uX) (\forall u)(u \in X \implies u \subseteq X)
  • SectY(X,Z)\operatorname{Sect}_{Y}(X, Z) : ZZXXYY-절단이다.

    ZX(u)(v)([uXvZ<u,v>Y]    uZ) \begin{align}\begin{split} Z \subseteq X \land (\forall u)(\forall v)(&[u \in X \land v \in Z \land \left< u,v \right> \in Y] \\ & \implies u \in Z)\\ \end{split}\end{align} \tag*{}
  • SegY(X,W)\operatorname{Seg}_{Y}(X, W) : ZZWW 에 의한 YY-절편이다.

    {x:xX<x,W>Y} \{x : x \in X \land \left< x, W \right> \in Y \}

순서수 모임(ordinal class), 순서수의 모임(class of ordinal number), 순서수(ordinal number)

  • Ord(X)\operatorname{Ord}(X) : XX 는 순서수 모임이다. 즉, \in-관계(포함 관계)가 XX 를 정렬하고, XX 의 임의의 원소가 XX 의 부분집합이다.

    EWeXTrans(X) E \operatorname{We}X \land \operatorname{Trans}(X)
  • On\operatorname{On} : 모든 순서수의 모임.

    {x:Ord(x)} \{x : \operatorname{Ord}(x)\}

집합인 순서수 모임을 순서수라고 한다.

  • 따라서 (x)(xOn    Ord(x))\vdash (\forall x)(x \in \operatorname{On}\iff \operatorname{Ord}(x)) 이다.


이제 α,β,γ,δ,τ,\alpha,\beta,\gamma ,\delta,\tau,\dots 로 순서수를 나타내자. 즉,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α)B(α)(\forall \alpha)B(\alpha)(x)(xOn    B(x))(\forall x)(x \in \operatorname{On}\implies B(x)) 의 축약이다.

  • (α)B(α)(\exists \alpha)B(\alpha)(x)(xOnB(x))(\exists x)(x \in \operatorname{On}\land B(x)) 의 축약이다.

정리 4.8

  1. Ord(X)    (X∉X(u)(uX    u∉u))\vdash \operatorname{Ord}(X) \implies (X \not\in X \land (\forall u)(u \in X \implies u \not\in u))
  2. Ord(X)YXTrans(Y)    YX\vdash \operatorname{Ord}(X) \land Y \subset X \land \operatorname{Trans}(Y) \implies Y \in X
  3. Ord(X)Ord(Y)    (YX    YX)\vdash \operatorname{Ord}(X) \land \operatorname{Ord}(Y) \implies (Y \subset X \iff Y \in X)
  4. Ord(X)Ord(Y)    [(XYX=YYX)¬(XYYX)¬(XYX=Y)]\operatorname{Ord}(X) \land \operatorname{Ord}(Y) \implies [(X \in Y \lor X = Y \lor Y \in X) \land \neg (X \in Y \land Y \in X) \land \neg (X \in Y \land X = Y)]
  5. Ord(X)YX    YOn\vdash \operatorname{Ord}(X) \land Y \in X \implies Y \in \operatorname{On}
  6. EWeOn\vdash E \operatorname{We}\operatorname{On}
  7. Ord(On)\vdash \operatorname{Ord}(\operatorname{On})
  8. ¬M(On)\vdash \neg \operatorname{M} (\operatorname{On})
  9. Ord(X)    X=OnXOn\vdash \operatorname{Ord}(X) \implies X = \operatorname{On}\lor X \in \operatorname{On}
  10. yOnTrans(y)    yOn\vdash y \subseteq \operatorname{On}\land \operatorname{Trans}(y) \implies y \in \operatorname{On}
  11. xOnyOn    (xyyx)x \in \operatorname{On}\land y \in \operatorname{On}\implies (x \subseteq y \lor y \subseteq x)
  • 9) 에 의하여 순서수가 아닌 유일한 순서수 모임은 On\operatorname{On} 그 자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증명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x<oyx <_o y : xOnyOnxyx \in \operatorname{On}\land y \in \operatorname{On}\land x \in y
  • xoyx \leq _o y : yOn(x=yx<oy)y \in \operatorname{On}\land ( x = y \lor x <_o y)
  • 따라서 순서수에 대하여 <o<_o\in 와 같다. 그러므로 <o<_oOn\operatorname{On} 을 정렬한다.

    특히, 정리 4.8 5) 에 의하여 임의의 순서수 xx 는 그것보다 작은 순서수의 집합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ransfinite Induction

정리 4.9 초한귀납법(Transfinite Induction)

(β)[(α)(αβ    αX)    βX]    OnX \vdash (\forall \beta)\big [ (\forall \alpha)(\alpha \in \beta \implies \alpha \in X) \implies \beta \in X \big] \implies \operatorname{On}\subseteq X
  • 즉, 쉽게 말해서 이러하다.

    만약, 모든 서수 β\beta 에 대하여 β\beta 보다 작은 모든 서수가 XX 에 속할 때 β\betaXX 에 속한다면, 모든 서수가 XX 에 속한다.

  • 이 정리는 모든 서수가 주어진 성질 B(α)B(\alpha) 를 가진다는 것을 증명해야 할 때 사용된다. X={x:B(x)xOn}X = \{x : B(x) \land x \in \operatorname{On}\} 으로 두고 다음을 증명하면 된다.

    (β)[(α)(αβ    B(α))    B(β)](\forall \beta)\left[ (\forall \alpha)(\alpha \in \beta \implies B(\alpha)) \implies B(\beta) \right]
  • 증명

    (β)[(α)(αβ    αX)    βX](\forall \beta)\left[ (\forall \alpha)(\alpha \in \beta \implies \alpha \in X) \implies \beta \in X \right] 를 가정하자.

    OnX\operatorname{On}-X 에 포함되는 서수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On\operatorname{On}EE 에 의하여 정렬되므로 OnX\operatorname{On}-X 에 속하는 최소 서수 β\beta 가 존재한다.

    그러면 β\beta 보다 작은 모든 서수가 XX 에 속한다. 그러면 가정에 의하여 β\betaXX 에 속한다. 이는 모순이다. ■

정리 4.10

xx'x{x}x \cup \{x\} 로 정의하자.

다음이 성립한다.

  1. (x)(xOn    xOn)\vdash (\forall x)(x \in \operatorname{On}\iff x' \in \operatorname{On})
  2. (α)¬(β)(α<oβ<oα)\vdash (\forall \alpha)\neg (\exists \beta)(\alpha <_o \beta <_o \alpha')
  3. (α)(β)(α=β    α=β)\vdash (\forall \alpha)(\forall \beta)(\alpha' = \beta' \implies \alpha = \beta)
  • 증명

다음수 서수(successor ordinal), 제1종 서수(first kind ordinal)

  • Suc(X)\operatorname{Suc}(X) : XX 는 다음수 서수이다.

    XOn(α)(X=α) X \in \operatorname{On}\land (\exists \alpha)(X = \alpha')
  • K1K_1 : 제1종 서수의 모임.

    {x:x=Suc(x)} \{x : x = \varnothing \lor \operatorname{Suc}(x) \}
  • ω\omega : 제1종 서수 α\alpha 에 대하여 α\alpha 보다 작은 모든 서수도 제1종일 때 모든 서수 α\alpha 의 모임.

    {x:xK1(u)(ux    uK1)} \{x : x \in K_1 \land (\forall u)(u \in x \implies u \in K_1)\}
  • ω\omega 를 직관적으로 자연수 집합 N\N 의 서수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 예시

    ω1ω \vdash \varnothing \in \omega \land 1 \in \omega

    (1={}1 = \{\varnothing\} 임을 기억하자.)

정리 4.11

  1. (α)(αω    αω)\vdash (\forall \alpha)(\alpha \in \omega \iff \alpha' \in \omega )
  2. M(ω)\vdash \operatorname{M} (\omega )
  3. X(u)(uX    uX)    ωX\vdash \varnothing \in X \land (\forall u)(u \in X \implies u' \in X) \implies \omega \subseteq X
  4. (α)(αωβ<oα    βω)\vdash (\forall \alpha)(\alpha \in \omega \land \beta <_o \alpha \implies \beta \in \omega )
  • 증명

유한 서수(finite ordinal)

ω\omega 의 원소를 유한 서수라고 한다.

또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11\varnothing' 으로 정의한다.
  • 2211' 으로 정의한다.
  • 3322' 으로 정의한다.
  • \dots

그러므로 ω,1ω,2ω,\varnothing \in \omega , 1 \in \omega , 2 \in \omega , \dots 이다.

  • ω\omega 의 원소, 즉, 자연수 0,1,2,3,0, 1, 2, 3, \dots 이 아닌 서수를 초한 서수라고 한다. ω\omega 가 최초의 초한 서수이다.

극한 서수(limit ordinal)

Lim(x)\operatorname{Lim}(x) : xx 는 극한 서수이다.

xOnx∉K1 x \in \operatorname{On}\land x \not\in K_1
  • ω\omegaω=α\omega = \alpha' 인 서수 α\alpha 를 갖지 않는데, 이러한 서수를 극한 서수라고 한다.

정리 4.12

  1. xx 가 서수 집합이면, x\bigcup xxx 의 최소 상계인 서수이다.

    (x)(xOn    [xOn(α)(αx    αox)(β)((α)(αx    αoβ)    xoβ)]) \begin{align}\begin{split} \vdash (\forall x)&\Bigg (x \subseteq \operatorname{On}\implies \bigg [\bigcup x \in \operatorname{On}\land (\forall \alpha)\Big (\alpha \in x \implies \\ & \alpha \leq _o \bigcup x \Big ) \land (\forall \beta) \Big ((\forall \alpha ) \big (\alpha \in x \implies \\ & \alpha \leq _o \beta \big ) \implies \bigcup x \leq _o \beta \Big )\bigg ] \Bigg ) \\ \end{split}\end{align} \tag*{}
  2. xx 가 최대 원소가 없는 공집합이 아닌 서수 집합이면, x\bigcup x 은 극한 서수이다.

    (x)(xOnx(α)(αx    (β)(βxα<oβ))    Lim(x)) \begin{align}\begin{split} \vdash (\forall x)\bigg (&x \subset \operatorname{On}\land x \neq \varnothing \land (\forall \alpha )\Big (\alpha \in x \implies \\ & (\exists \beta)\big (\beta \in x \land \alpha <_o \beta \big ) \Big ) \implies \operatorname{Lim}\Big (\bigcup x \Big )\bigg ) \\ \end{split}\end{align} \tag*{}
  • 증명

정리 4.13 초한귀납법: 두번째 형태(Transfinite Induction: Second Form)

  1. [X(α)(αX    αX)(α)(Lim(α)(β)(β<oα    βX)    αX)]    OnX\vdash \Big [\varnothing \in X \land (\forall \alpha )(\alpha \in X \implies \alpha ' \in X) \land (\forall \alpha )\big (\operatorname{Lim}(\alpha ) \land \\ \qquad (\forall \beta )(\beta <_o \alpha \implies \beta \in X) \implies \alpha \in X \big )\Big ] \implies \operatorname{On}\subseteq X
  2. δ\delta 까지의 귀납법

    [X(α)(α<oδαX    αX)(α)(α<oδLim(α)(β)(β<oα    βX)    αX)]    δX \begin{align}\begin{split} & \vdash \Big [\varnothing \in X \land (\forall \alpha )(\alpha <_o \delta \land \alpha \in X \implies \alpha ' \in X) \land \\ &\qquad (\forall \alpha )\big (\alpha <_o \delta \land \operatorname{Lim}(\alpha )\land (\forall \beta )(\beta <_o \alpha \implies \\ &\qquad \beta \in X) \implies \alpha \in X \big )\Big ]\implies \delta \subseteq X \\ \end{split}\end{align} \tag*{}
  3. ω\omega 까지의 귀납법

    X(α)(α<oωαX    αX)    ωX \begin{align}\begin{split} \vdash & \varnothing \in X \land (\forall \alpha )(\alpha <_o \omega \land \alpha \in X \implies \alpha ' \in X) \\ & \implies \omega \subseteq X \\ \end{split}\end{align} \tag*{}
  • 집합론은 초한귀납법의 정의와 다음의 정리에 깊이 의존한다.

  • 증명

정리 4.14

  1. 주어진 XX 에 대하여 α\alpha 에서 YY 의 값이 α\alpha 보다 작은 서수 집합에 대한 YY 의 제한을 적용한 XX 의 값이 되도록 모든 서수 위에서 정의된 유일한 함수 YY 가 존재한다.

    (X)(1Y)(Fnc(Y)D(Y)=On(α)(Yα=X(αY))) \begin{align}\begin{split} \vdash (& \forall X)(\exists _1Y)\Big (\operatorname{Fnc} (Y) \land \\ & \mathcal{D}(Y) = \operatorname{On}\land (\forall \alpha )\big (Y'\alpha = X' (\alpha \mathord{\downharpoonright} Y) \big )\Big ) \\ \end{split}\end{align} \tag*{}
  2. (x)(X1)(X2)(1Y)(Fnc(Y)D(Y)=OnY=x(α)(Y(α)=X1(Yα))(α)(Lim(α)    Yα=X2(αY)))\vdash (\forall x)(\forall X_1)(\forall X_2)(\exists _1Y) \Big ( \operatorname{Fnc} (Y) \land \mathcal{D}(Y) = \operatorname{On}\land \\ Y'\varnothing =x \land (\forall \alpha )\big ( Y'(\alpha ') = X'_1 (Y'\alpha ) \big ) \land \\ (\forall \alpha )\big (\operatorname{Lim}(\alpha )\implies Y'\alpha =X'_2 (\alpha \mathord{\downharpoonright} Y)\big ) \Big )

  3. δ\delta 까지의 귀납법

    (x)(X1)(X2)(1Y)(Fnc(Y)D(Y)=δY=x(α)(α<oδ    Y(α)=X1(Yα))(α)(Lim(α)α<oδ    Yα=X2(αY))) \begin{align}\begin{split} \vdash (\forall x)(&\forall X_1)(\forall X_2)(\exists _1Y)\Big (\operatorname{Fnc} (Y) \land \mathcal{D}(Y) = \delta \land Y'\varnothing =x \land \\ &(\forall \alpha )\big (\alpha ' <_o \delta \implies Y'(\alpha ') = X'_1(Y'\alpha )\big ) \land \\ & (\forall \alpha) \big (\operatorname{Lim}(\alpha )\land \alpha <_o \delta \implies Y'\alpha = X'_2 (\alpha \mathord{\downharpoonright} Y)\big )\Big ) \\ \end{split}\end{align} \tag*{}
  • 이 정리를 통하여 초한 귀납법에 의한 새로운 함수 기호들을 도입할 수 있다.

  • 예시

    서수 덧셈. 본 정리 2) 에 대하여 다음을 취하자.

    x=βX1={<u,v>:v=u}X2={<u,v>:v=R(u)} x = \beta \quad X_1=\{\left< u,v \right> : v = u'\} \quad X_2 = \left\{\left< u,v \right> : v = \bigcup \mathcal{R}(u)\right\}

    그러면 각 서수 β\beta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유일한 함수 YβY _{\beta } 가 존재한다.

    Yβ=β(α)(Yβ(α)=(Yβα)[Lim(α)    Yβα=(Yβα)]) Y _{\beta }'\varnothing =\beta \land (\forall \alpha )\Big (Y _{\beta }'(\alpha ') = (Y _{\beta }'\alpha )' \land \big [\operatorname{Lim}(\alpha )\implies Y _{\beta }'\alpha = \bigcup (Y _{\beta }'' \alpha ) \big ]\Big )

    그러면 정의역 (On)2(\operatorname{On})^{2} 위의 유일한 이항 함수 +o+_o 를 임의의 서수 β\betaγ\gamma 에 대하여 +o(β,γ)=Yβγ+_o(\beta ,\gamma )= Y _{\beta }' \gamma 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관례를 따라 +o(β,γ)+_o(\beta ,\gamma )β+oγ\beta +_o \gamma 로 표기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β+o=β \beta +_o \varnothing = \beta
    β+o(γ)=(β+oγ) \beta +_o (\gamma ') = (\beta +_o \gamma )'
    Lim(α)    β+oα=τ<oα(β+oτ) \operatorname{Lim}(\alpha ) \implies \beta +_o \alpha = \bigcup_{\tau <_o \alpha }^{}(\beta +_o \tau)

    특히, 다음이 성립한다.

    β+o1=β+o()=(β+o)=β \beta +_o 1 = \beta +_o (\varnothing ') = (\beta +_o \varnothing )' = \beta '
  • 예시

    서수 곱셈. 본 정리 2) 에 대하여 다음을 취하자.

    x=X1={<u,v>:v=u+oβ}X2={<u,v>:v=R(u)} x = \varnothing \quad X_1 = \{\left< u,v \right> : v = u +_o \beta \} \quad X_2 = \left\{\left< u,v \right> : v = \bigcup \mathcal{R}(u)\right\}

    그러면 위 예시와 같은 방식으로 다음의 성질을 가지는 함수 β×oγ\beta \times _o \gamma 를 얻을 수 있다.

    β×o= \beta \times _o \varnothing =\varnothing
    β×o(γ)=(β×oγ)+oβ \beta \times _o (\gamma ') = (\beta \times _o \gamma ) +_o \beta
    Lim(α)    β×oα=τ<oα(β×oτ) \operatorname{Lim}(\alpha ) \implies \beta \times _o \alpha = \bigcup _{\tau<_o \alpha }(\beta \times _o \tau)
  • 증명

임의의 모임 XX 에 대하여 EXE_XXX 로 제한된 포함 관계라고 정의한다.

EX={<u,v>:uvuXvX} E_X = \{\left< u,v \right> : u \in v \land u \in X \land v \in X\}

Consistency Proof for Formal Number Theory(Schutte)

1차 수론 SS 의 무모순성 증명은 최초로 겐첸(Gentzen, 1936, 1938)에 의하여 제시되었다. 이 내용을 PA\mathsf{PA} 의 서수 분석에서 엄밀하게 알아본다. 이후 아커만(Ackermann, 1940), Schutte(1951), Hlodovskii(1959) 등 다른 방식의 수론의 무모순성 증명이 제시되었고, 괴델의 두번째 불완전성 정리에서처럼 이 모든 증명들은 SS 안에서 사용가능한 방법론을 사용하지 않았다. Schutte(1951)의 증명을 살펴보자.

무모순성 증명은 SS 보다 강력한 체계 SS _{\infty} 에 적용된다.

체계 SS_{\infty}(system SS_{\infty})

SS_{\infty} 의 기호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 기호의 정의에 의하여 SSSS _{\infty} 는 같은 항을 갖고, 그러므로 같은 원자식(항 sstt 에 대한 식 s=ts=t)을 갖는다.

  • 기호: SS _{\infty}SS 처럼 개별 상수 00 과 함수 기호 ++, \cdot, ' 와 술어 기호 == 를 갖는다.

SS_{\infty} 의 연결사와 wff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 정의에 의하여 SS 의 모든 wff 가 SS_{\infty} 의 wff 의 축약이 된다.

  • 연결사: SS 가 기본 연결사로     \implies¬\neg 을 가진 것에 비해 SS_{\infty} 의 원시 명제 연결사는 \lor¬\neg 이다. A    BA \implies B(¬A)B(\neg A)\lor B 로 정의한다.

  • wff: SS_{\infty} 의 wff 를 유한하게 연결사 \lor¬\neg 과 양화사 (xi)(\forall x_i) 를 원자식에 적용하여 얻은 식으로 정의한다.

닫힌 원자 wff s=ts = t 에 대하여 ++\cdot 의 모든 재귀식을 풀어서 sstt 의 값을 계산했을 때 두 값이 같으면 s=ts = t 가 옳다(correct)고 하고, 그렇지 않으면 s=ts = t 가 틀리다(incorrect)고 하자.

다음을 SS_{\infty} 의 공리로 정의한다. SS_{\infty} 의 모든 공리가 닫힌 wff 이고, 추론 규칙은 닫힌 전제를 닫힌 결과로 보내기 때문에 SS_{\infty} 의 모든 정리는 닫힌 wff 이다.

  • 공리:

    1. 모든 옳은 닫힌 원자 wff
    2. 모든 틀린 닫힌 원자 wff 의 부정

SS_{\infty} 는 다음과 같은 추론규칙을 갖는다. 선 위의 wff 들이 전제이고 선 아래의 wff 가 결론이다.

  1. 약한 규칙(weak rule)

    1. 교환(exchange): CABDCBAD\dfrac{C \lor A \lor B \lor D}{C \lor B \lor A \lor D}
    2. 합병(consolidation): AADAD\dfrac{A \lor A \lor D}{A \lor D}
  2. 강한 규칙(strong rule)

    1. 희석(dilution): 임의의 닫힌 wff AA 에 대하여 DAD\dfrac{D}{A \lor D}
    2. 드모르간(De Morgan): ¬AD¬BD¬(AB)D\dfrac{\neg A \lor D \quad \neg B \lor D}{\neg (A \lor B) \lor D}
    3. 부정(negation): AD¬¬AD\dfrac{A \lor D}{\neg \neg A \lor D}
    4. 양화(quantification): 닫힌 항 tt 에 대하여 ¬A(t)D(¬(x)A(x))D\dfrac{\neg A(t) \lor D}{(\neg (\forall x) A (x)) \lor D}
    5. 무한 귀납(infinite induction): 모든 자연수 nn 에 대하여 A(n)D((x)A(x))D\dfrac{A (\overline{n}) \lor D}{((\forall x) A(x)) \lor D}
  3. 절단(cut): CA¬ADCD\dfrac{C \lor A \quad \neg A \lor D}{C \lor D}

wff CCDD 를 사이드(side) wff 라고 하며, 사이드 wff 는 생략될 수 있다. wff AABB 들, 즉 사이드 wff 가 아닌 wff 를 주요(principal) wff 라고 한다.

절단의 주요 wff AA 를 절단 wff 라고 하고, ¬A\neg A 안에서 연결사와 양화사의 갯수를 절단의 차수(degree)라고 한다.

  • 명백히 주어진 닫힌 원자 wff s=ts = t 가 옳은지 틀린지 효과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즉, 기계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절차가 존재한다.

  • 예시

    다음은 SS_{\infty} 의 공리이다.

    (0)(0)+0=(0)(0)(0'') \cdot (0'') + 0'' = (0''') \cdot (0'')
    0+0000' + 0'' \neq 0 ' \cdot 0''
  • 예시

    다음과 같이 사이드 wff 를 생략할 수 있다.

    A¬ADD\dfrac{A \quad \neg A \lor D}{D} 는 절단이고 ¬A¬B¬(AB)\dfrac{\neg A \quad \neg B}{\neg (A \lor B)} 는 드모르간의 법칙이다.

G-트리(G-tree)

G-트리를 다음과 같은 그래프로 정의하자.

  • 단계 00 에는 종점(terminal point)라고 불리는 단일 점이 있다.
  • 각 단계 i+1i+1 의 점은 단계 ii 의 단 하나의 점과 연결된다.
  • 단계 ii 의 각 점 PP 는 단계 i+1i+100 개, 또는 11 개, 또는 가산 무한히 많은 점과 연결된다. 이때, 단계 i+1i+1 의 점을 PP 의 선행자(predecessor)라고 한다.
  • 단계 ii 의 각 점은 오직 단계 i1i-1i+1i+1 의 점과 연결된다.
  • 선행자를 갖지 않는 점을 초기점(initial point)이라고 한다.
  • 무한 귀납의 규칙이 SS 에서의 증명의 개념보다 더 복잡하므로 SS_{\infty} 에서의 증명의 개념을 더 정의해야 한다. 따라서 G-트리를 기반으로 증명트리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 예시

    A,B,C,DA,B,C,D 가 초기점이고 EE 가 종점이다.

  • 예시

    A,B,C1,C2,A,B,C_1, C_2, \dots 가 초기점이고 EE 가 종점이다.

  • 예시

    AA 가 유일한 초기점이고, EE 가 종점이다.

증명 트리(proof-tree), 증명(proof), 정리(theorem)

증명 트리로써 SS_{\infty} 의 wff 를 G-트리의 점에 다음과 같이 할당한다.

  1. 초기점에 할당되는 wff 는 SS_{\infty} 의 공리이다.
  2. 비초기점 PPPP 의 선행자에 할당되는 wff 는 각각 어떤 추론 규칙의 결론과 전제이다.

(증명 트리의 차수) 증명 트리에서 나타나는 절단의 차수의 최댓값이 존재한다. 이 최댓값을 증명 트리의 차수라고 한다. 만약 절단이 나타나지 않으면 차수를 00 이라고 정의한다.

다음과 같이 증명 트리의 wff 에 서수를 할당한다.

  1. 약한 규칙의 결론의 서수는 전제의 서수와 같다.
  2. 강한 규칙이나 절단의 결론의 서수는 전제의 서수보다 크다.

(증명 트리의 서수) 증명 트리의 종점에 할당되는 wff 를 끝 wff 라고 하자. 끝 wff 의 서수를 증명 트리의 서수라고 한다.

(증명 트리의 스레드) 증명 트리의 스레드(thread)는 유한 또는 가산무한의 wff 열 A1,A2,A_1, A_2, \dots 이다. A1A_1 는 끝 wff 이고, 각 wff Ai+1A _{i+1}AiA_i 의 선행자이다. 스레드의 각 wff 에 부여된 서수 α1,α2,\alpha _1, \alpha _2, \dots 는 증가하지 않으며, 강한 규칙이나 절단이 적용된 단계에서 감소한다.

이제 SS_{\infty} 의 증명과 정리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증명 트리는 끝 wff 의 증명이다.
  • SS_{\infty} 의 정리는 증명 트리의 끝 wff 에 대한 wff 들로 정의된다.
  • 서수의 열이 가산무한히 감소할 수 없으므로 스레드에 강한 규칙이나 절단이 오직 유한하게만 존재한다. 또한 주어진 wff 에 대하여 약한 규칙이 오직 유한하게 필요하다. 그러므로 증명 트리의 모든 스레드의 약한 규칙의 연속적인 적용은 오직 유한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증명 트리의 모든 스레드는 유한하다.

  • 증명 트리의 wff 에 할당될 서수의 모임을 제한하면, 이는 증명 트리의 개념을 제한하고, 그러므로 더 작은 정리 집합을 얻게 된다.

    가산무한한 서수의 다양한 구성적인(constructive) 절편을 사용하면, 그렇게 얻게될 체계와 무모순성 증명에 사용될 방법들이 덜 또는 더 구성적이게 된다.

보조정리 A.1

nn 개의 연결사와 양화사를 갖는 닫힌 wff AA 를 잡자. 그러면 절단이 사용되지 않고 서수가 2n+1\leq 2n + 1¬AA\neg A \lor A 의 증명이 존재한다.

  • 증명

    nn 에 대한 귀납법을 수행하자.

    n=0n = 0:

    AA 는 닫힌 원자 wff 이다. 그러면 AA 가 옳거나 틀리므로 AA¬A\neg A 가 공리이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증명 트리를 만들 수 있다.

    연역 근거
    1 AA
    2 ¬AA\neg A \lor A 희석(강)
    연역 근거
    1 ¬A\neg A
    2 A¬AA \lor \neg A 희석(강)
    3 ¬AA\neg A \lor A 교환(약)

    ¬AA\neg A \lor A 의 증명이 서수 11 을 갖도록 서수를 부여할 수 있다.

    nn 보다 작은 수에 대하여 성립한다고 가정:

    1. AAA1A2A_1 \lor A_2 인 경우. 귀납의 가정에 의하여 서수가 2(n1)+1=2n12(n-1) + 1 = 2n-1 보다 같거나 작은 ¬A1A1\neg A_1 \lor A_1¬A2A2\neg A_2 \lor A_2 의 증명이 존재한다. 그러면 각각에 대하여 강한 규칙 희석을 사용하여 서수 2n2n 을 갖는 ¬A1A2A2\neg A_1 \lor A_2 \lor A_2¬A2A1A2\neg A_2 \lor A_1 \lor A_2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이로써 강한 규칙 드모르간을 사용하여 서수 2n+12n+1 을 갖는 ¬(A1A2)A1A2\neg (A_1 \lor A_2)\lor A_1 \lor A_2, 즉, ¬AA\neg A \lor A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2. AA¬B\neg B 인 경우. 귀납의 가정에 의하여 서수 2n12n-1¬BB\neg B \lor B 의 증명이 존재한다. 약한 규칙 교환에 의하여 서수 2n12n-1B¬BB \lor \neg B 의 증명을 얻을 수 있고, 강한 규칙 부정에 의하여 서수 2n(2n+1)2n (\leq 2n+1)¬¬B¬B\neg \neg B \lor \neg B, 즉, ¬AA\neg A \lor A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3. AA(x)B(x)(\forall x)B(x) 인 경우. 귀납의 가정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kk 에 대하여 서수가 2n12n-1 과 같거나 작은 ¬B(k)B(k)\neg B(k) \lor B(k) 의 증명이 존재한다. 그러면 강한 규칙 양화에 의하여 각 kk 에 대하여 서수 2n\leq 2n(¬(x)B(x))B(k)(\neg (\forall x)B(x)) \lor B(k) 증명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약한 규칙 교환에 의하여 서수 2n\leq 2nB(k)¬(x)B(x)B(\overline{k}) \lor \neg (\forall x)B(x) 의 증명이 존재한다. 강한 규칙 무한 귀납을 적용하면 서수 2n+1\leq 2n+1((x)B(x))¬(x)B(x)((\forall x)B(x)) \lor \neg (\forall x)B(x)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약한 규칙 교환을 적용하면 서수 2n+1\leq 2n+1(¬(x)B(x))(x)B(x)(\neg (\forall x)B(x)) \lor (\forall x)B(x), 즉, ¬AA\neg A \lor A 의 증명을 얻는다.

보조정리 A.2

임의의 닫힌 항 ttss, 그리고 오직 xx 를 자유변수로 갖는 임의의 wff A(x)A(x) 에 대하여 wff st¬A(s)A(t)s \neq t \lor \neg A(s) \lor A(t)SS_{\infty} 의 정리이고 절단 규칙 없이 증명가능하다.

  • 증명

    일반적으로 SS_{\infty} 에서 증명가능한 닫힌 wff B(t)B(t) 에 대하여 sstt 와 같은 값을 가지면 B(s)B(s)SS_{\infty} 에서 증명가능하다. ssttn\overline{n} 라는 같은 값을 가지면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A(n)A(n)\neg A(\overline{n})\lor A(\overline{n}) 이 증명가능하므로 ¬A(s)A(t)\neg A(s) \lor A(t) 는 증명가능하다. 그러면 희석에 의하여 st¬A(s)A(t)s \neq t \lor \neg A(s) \lor A(t) 는 증명가능하다. ▲

    sstt 가 다른 값을 가지면 s=ts=t 는 틀리므로 sts \neq t 는 공리이다. 그러면 희석과 교환에 의하여 st¬A(s)A(t)s \neq t \lor \neg A(s) \lor A(t) 는 정리이다. ■

보조정리 A.3

SS 의 정리인 모든 닫힌 wff 는 SS_{\infty} 의 정리이다.

  • 증명

    SS 의 정리인 닫힌 wff AA 를 잡자. 명백하게 SS 의 모든 증명은 유한한 증명 트리로 표현가능하다. 이 증명 트리의 초기 wff 는 SS 의 공리이고, 츄론규칙은 물론 MP 와 Gen 이다. AA 의 증명트리의 서수를 nn 이라고 하자.

    n=0n = 0 이면 AASS 의 공리이다.

    1차 논리 공리 (A1)(A1):

    AAB    (C    B)B \implies (C \implies B), 즉, ¬B(¬CB)\neg B \lor (\neg C \lor B) 인 경우.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SS_{\infty} 에서 ¬BB\neg B \lor B 는 증명가능하다. 그러면 희석과 교환에 의하여 ¬B¬CB\neg B \lor \neg C \lor B 이다. ▲

    1차 논리 공리 (A2)(A2)

    AA(B    (C    D))    ((B    C)    (B    D))(B \implies (C \implies D)) \implies ((B \implies C) \implies (B \implies D)), 즉, ¬(¬B¬CD)¬(¬BC)(¬BD)\neg (\neg B \lor \neg C \lor D) \lor \neg (\neg B \lor C) \lor (\neg B \lor D) 인 경우.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BC)¬BC\neg (\neg B \lor C) \lor \neg B \lor C(¬B¬CD)¬(¬B¬CD)(\neg B \lor \neg C \lor D) \lor \neg (\neg B \lor \neg C \lor D) 를 얻을 수 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연역할 수 있다.

    연역 근거
    1 (¬B¬CD)¬(¬B¬CD)(\neg B \lor \neg C \lor D) \lor \neg (\neg B \lor \neg C \lor D)
    2 ¬(¬B¬CD)(¬B¬CD)\neg (\neg B \lor \neg C \lor D) \lor (\neg B \lor \neg C \lor D) 1, 교환
    3 ¬(¬B¬CD)(¬BD¬C)\neg (\neg B \lor \neg C \lor D) \lor (\neg B \lor D \lor \neg C) 2, 교환
    4 ¬(¬BC)¬BC\neg (\neg B \lor C) \lor \neg B \lor C
    5 ¬BC¬(¬BC)\neg B \lor C \lor \neg (\neg B \lor C) 4, 교환
    6 C¬B¬(¬BC)C \lor \neg B \lor \neg (\neg B \lor C) 5, 교환
    7 ¬(¬B¬CD)¬BD¬B¬(¬BC)\neg (\neg B \lor \neg C \lor D) \lor \neg B \lor D \lor \neg B \lor \neg (\neg B \lor C) 3, 6, 절단
    8 ¬(¬B¬CD)¬BD¬(¬BC)\neg (\neg B \lor \neg C \lor D) \lor \neg B \lor D \lor \neg (\neg B \lor C) 7, 합병
    9 ¬(¬B¬CD)¬(¬BC)(¬BD)\neg (\neg B \lor \neg C \lor D) \lor \neg (\neg B \lor C) \lor (\neg B \lor D) 8, 교환

    1차 논리 공리 (A3)(A3):

    AA((¬C)    (¬B))    (((¬C)    B)    C)(( \neg C) \implies (\neg B)) \implies (((\neg C) \implies B) \implies C), 즉, ¬(¬¬C¬B)¬(¬¬CB)C\neg (\neg \neg C \lor \neg B) \lor \neg (\neg \neg C \lor B) \lor C 인 경우. 먼저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CC\neg C \lor C 이고, 부정에 의하여 ¬¬¬CC\neg \neg \neg C \lor C 이며, 희석과 교환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C¬(¬¬CB)C(a) \neg \neg \neg C \lor \neg (\neg \neg C \lor B) \lor C \tag{a}

    같은 방식으로 ¬¬¬CC¬¬B\neg \neg \neg C \lor C \lor \neg \neg B¬BC¬¬B\neg B \lor C \lor \neg \neg B 을 얻고, 드모르간에 의하여 ¬(¬¬CB)C¬¬B\neg (\neg \neg C \lor B) \lor C \lor \neg \neg B 이다. 그러면 교환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B¬(¬¬CB)C(b) \neg \neg B \lor \neg (\neg \neg C \lor B) \lor C \tag{b}

    (a)(a)(b)(b) 에 대한 드모르간에 의하여 ¬(¬¬C¬B)¬(¬¬CB)C\neg (\neg \neg C \lor \neg B) \lor \neg (\neg \neg C \lor B)\lor C 이다. ▲

    1차 논리 공리 (A4)(A4):

    AA(xi)B(xi)    B(t)(\forall x_i)B(x_i) \implies B(t), 즉, (¬(x)B(x))B(t)(\neg (\forall x)B(x)) \lor B(t) 인 경우.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B(t)B(t)\neg B(t) \lor B(t) 이다. 양화 규칙에 의하여 (¬(x)B(x))B(t)(\neg (\forall x)B(x)) \lor B(t) 이다. ▲

    1차 논리 공리 (A5)(A5):

    AA(x)(B    C)    (B    (x)C)(\forall x)(B \implies C) \implies (B \implies (\forall x) C), 즉, ¬(x)(¬BC(x))¬B(x)C(x)\neg (\forall x)(\neg B \lor C(x)) \lor \neg B \lor (\forall x)C(x) 인 경우. 이때 xxBB 의 자유변수가 아니다.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n 에 대하여 ¬(¬BC(n))¬BC(n)\neg (\neg B \lor C(\overline{n})) \lor \neg B \lor C(\overline{n}) 의 증명이 존재한다. 보조정리 A.1 에 의하여 이들 증명의 서수는 ¬BC(x)\neg B \lor C(x) 의 연결사와 양화사의 갯수 kk 에 대하여 2k+1\leq 2k+1 이다.

    그러면 양화 규칙에 의하여 각 nn 에 대하여 다음은 서수 2k+2\leq 2k + 2 인 증명을 가진다.

    ¬(x)(¬BC(x))¬BC(n)\neg (\forall x) (\neg B \lor C(x)) \lor \neg B \lor C(\overline{n})

    그러면 무한 귀납에 의하여 다음은 서수 2k+3\leq 2k + 3 인 증명을 가진다.

    ¬(x)(¬BC(x))¬B(x)C(x)\neg (\forall x) (\neg B \lor C(x)) \lor \neg B \lor (\forall x) C(x)

    수론 공리 (S1)(S1):

    AAt1=t2    (t1=t3    t2=t3)t_1 = t_2 \implies (t_1 = t_3 \implies t_2 = t_3), 즉, t1t2t1t3t2=t3t_1 \neq t_2 \lor t_1 \neq t_3 \lor t_2 = t_3 인 경우.

    A(x)A(x)x=t3x = t_3 로 두고, sst1t_1 로 두고, ttt2t_2 로 두고 보조정리 A.2 를 적용하면 된다. ▲

    수론 공리 (S2)(S2):

    x1=x2    x1=x2x_1 = x_2 \implies x_1' = x_2', 즉, t1t2(t1)=(t2)t_1 \neq t_2 \lor (t_1)' = (t_2)' 인 경우. t1t_1t2t_2 가 같은 값을 가지면 (t1)(t_1)'(t2)(t_2)' 도 그렇다. 그러므로 (t1)=(t2)(t_1)' = (t_2)' 는 옳고, 그러므로 공리이다. 그러면 희석에 의하여 t1t2(t1)=(t2)t_1 \neq t_2 \lor (t_1)' = (t_2)' 을 얻는다.

    t1t_1t2t_2 가 다른 값을 가질 경우 t1t2t_1 \neq t_2 이 공리이므로 희석과 교환에 의하여 t1t2(t1)=(t2)t_1 \neq t_2 \lor (t_1)' = (t_2)' 이 증명가능하다. ▲

    수론 공리 (S3)(S3):

    AA0t0 \neq t' 인 경우. 00tt' 은 다른 값을 가지므로 0t0 \neq t' 은 공리이다. ▲

    수론 공리 (S4)(S4):

    AA(t1)=(t2)    t1=t2(t_1)' = (t_2)' \implies t_1 = t_2, 즉, (t1)(t2)t1=t2(t_1)' \neq (t_2)' \lor t_1 = t_2 인 경우. (쉽게 증명가능하다.) ▲

    수론 공리 (S5)(S5):

    AAt1+0=t1t_1 + 0 = t_1 인 경우. t+0t+0tt 가 같은 값을 가지므로 t+0=tt+0=t 는 공리이다. ▲

    수론 공리 (S6)(S8)(S6)-(S8):

    닫힌 항의 값을 계산하는 재귀 식으로부터 곧바로 쉽게 증명된다. ▲

    수론 공리 (S9)(S9):

    AAB(0)    ((x)(B(x)    B(x))    (x)B(x))B(0) \implies \bigg ((\forall x)\Big (B(x) \implies B(x')\Big ) \implies (\forall x)B(x) \bigg ), 즉, 다음과 같을 경우.

    ¬B(0)¬(x)(¬B(x)B(x))(x)B(x) \neg B(0) \lor \neg (\forall x)\Big (\neg B(x) \lor B(x')\Big ) \lor (\forall x)B(x)

    먼저 보조정리 A.1 과 교환과 희석에 의해 다음은 증명가능하다.

    ¬B(0)¬(x)(¬B(x)B(x))B(0)(1) \neg B(0) \lor \neg (\forall x)\left( \neg B(x) \lor B(x') \right) \lor B(0) \tag{1}

    한편, k0k \geq 0 에 대하여 다음 wff 가 증명가능하다는 것을 귀납적으로 증명하자.

    ¬B(0)¬(¬B(0)B(1))¬(¬B(k)B(k))B(k)(2) \neg B(0) \lor \neg (\neg B(0) \lor B(\overline{1})) \lor \dots \lor \neg (\neg B(\overline{k})\lor B(\overline{k}'))\lor B(\overline{k}') \tag{2}
    1. k=0k=0 인 경우 보조정리 A.1 과 희석과 교환에 의하여 S¬¬B(0)¬B(0)B(1)\vdash _{S_{\infty} }\neg \neg B(0) \lor \neg B(0) \lor B(1) 이다. 비슷하게 S¬B(1)¬B(0)B(1)\vdash _{S_{\infty} }\neg B(\overline{1})\lor \neg B(0) \lor B(\overline{1}) 을 얻는다. 그러므로 드모르간에 의하여 S¬(¬B(0)B(1))¬B(0)B(1)\vdash _{S_{\infty} }\neg (\neg B(0) \lor B(\overline{1})) \lor \neg B(0) \lor B(\overline{1}) 이고 교환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S¬B(0)¬(¬B(0)B(1))B(1) \vdash _{S_{\infty} } \neg B(0) \lor \neg (\neg B(0) \lor B(\overline{1})) \lor B(\overline{1})
    2. kk 에 대하여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S¬B(0)¬(¬B(0)B(1))¬(¬B(k)B(k))B(k) \vdash _{S_{\infty} } \neg B(0) \lor \neg (\neg B(0) \lor B(\overline{1})) \lor \dots \lor \neg (\neg B(\overline{k})\lor B(\overline{k}'))\lor B(\overline{k}')

      교환, 부정, 희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S¬¬B(k)¬B(0)¬(¬B(0)B(1))¬(¬B(k)¬B(k))B(k) \begin{align}\begin{split} \vdash _{S_{\infty} }&\neg \neg B(\overline{k}') \lor \neg B(0) \lor \neg (\neg B(0) \lor B(\overline{1})) \lor \dots \\ &\lor \neg (\neg B(\overline{k})\lor \neg B(\overline{k}')) \lor B(\overline{k}'') \\ \end{split}\end{align} \tag*{}

      한편, 보조정리 A.1 를 B(k)B(\overline{k}'') 에 적용하고, 희석과 교환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S¬B(k)¬B(0)¬(¬B(0)B(1))¬(¬B(k)¬B(k))B(k) \begin{align}\begin{split} \vdash _{S_{\infty} }&\neg B(\overline{k}'') \lor \neg B(0) \lor \neg (\neg B(0) \lor B(\overline{1})) \lor \dots \\ &\lor \neg (\neg B(\overline{k})\lor \neg B(\overline{k}')) \lor B(\overline{k}'') \\ \end{split}\end{align} \tag*{}

      그러면 드모르간에 의하여 다음을 얻는다.

      S¬(¬B(k)B(k))¬B(0)¬(¬B(0)B(1))¬(¬B(k)¬B(k))B(k) \begin{align}\begin{split} \vdash _{S_{\infty} }&\neg (\neg B(\overline{k}')\lor B(\overline{k}'')) \lor \neg B(0) \lor \neg (\neg B(0) \lor B(\overline{1})) \lor \dots \\ &\lor \neg (\neg B(\overline{k})\lor \neg B(\overline{k}')) \lor B(\overline{k}'') \\ \end{split}\end{align} \tag*{}

      여기에 교환을 적용하면 k+1k+1 인 경우의 결론이 바로 나온다.

    이제 (2)(2) 에 양화를 적용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S¬B(0)¬(x)(¬B(x)B(x))¬(x)(¬B(x)B(x))B(k) \vdash _{S_{\infty} } \neg B(0) \lor \neg (\forall x)(\neg B(x) \lor B(x')) \lor \dots \\ \lor \neg (\forall x) (\neg B(x)\lor B(x'))\lor B(\overline{k}')

    합병에 의하여 S¬B(0)¬(x)(¬B(x)B(x))B(k)\vdash _{S_{\infty} }\neg B(0) \lor \neg (\forall x)(\neg B(x) \lor B(x')) \lor B(\overline{k}') 이다. 그러면 (1)(1) 에 의하여 모든 k0k \geq 0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S¬B(0)¬(x)(¬B(x)B(x))B(k) \vdash _{S_{\infty} }\neg B(0) \lor \neg (\forall x)(\neg B(x) \lor B(x')) \lor B(\overline{k})

    이제 무한 귀납을 적용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S¬B(0)¬(x)(¬B(x)B(x))(x)B(x) \vdash _{S_{\infty} }\neg B(0) \lor \neg (\forall x)(\neg B(x) \lor B(x')) \lor (\forall x) B(x)

    그러므로 SS 의 모든 닫힌 공리는 SS_{\infty} 에서 증명가능하다. ▲

    n>0n>0 을 가정하자.

    그러면 AA 는 MP 의 결과이거나, Gen 의 결과이다.

    AABBB    AB \implies A 에 MP 를 적용하여 나온 결과이면 BBB    AB \implies A 는 증명트리에서 nn 보다 작은 서수를 갖고 있다. BB 에 자유변수가 있어도 BB 와 선행자에 있는 자유변수를 00 으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BB 가 자유변수를 갖지 않는다고 가정해도 상관없다. 그러면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SB\vdash _{S_{\infty} }BSB    A\vdash _{S_{\infty} }B \implies A, 즉, S¬BA\vdash _{S_{\infty} }\neg B \lor A 이다. 그러면 절단에 의하여 SA\vdash _{S_{\infty} }A 이다.

    AABB 로부터 일반화된 결과 (x)B(x)(\forall x)B(x) 인 경우도 있다. 증명 트리에서 B(x)B(x) 를 역추적하여 자유변수 xx 를 적절하게 n\overline{n} 으로 바꿀 수 있다. 그러면 같은 서수의 B(n)B(\overline{n}) 의 증명을 얻는다. 이는 모든 nn 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모든 nn 에 대하여 SB(n)\vdash _{S_{\infty} }B(\overline{n}) 이다. 그러면 무한 귀납에 의하여 S(x)B(x)\vdash _{S_{\infty} }(\forall x)B(x), 즉, SA\vdash _{S_{\infty} }A 이다. ■

따름정리 A.4

SS_{\infty} 가 무모순이면 SS 도 무모순이다.

  • SS_{\infty} 의 무모순성을 증명하면 자동으로 SS 의 무모순성도 증명된다.

  • 증명

    SS 가 모순이면 S00\vdash _S0 \neq 0 이다. 보조정리 A.3 에 의하여 S00\vdash _{S_{\infty} }0 \neq 0 이다. 그러나 0=00=0 이 옳으므로 S0=0\vdash _{S_{\infty} }0 = 0 이다. 그러면 SS_{\infty} 의 임의의 wff AA 에 대하여 희석에 의하여 S00A\vdash _{S_{\infty} } 0 \neq 0 \lor A 이고 S0=0\vdash _{S_{\infty} }0 = 0 과 함께 절단을 적용하면 SA\vdash _{S_{\infty} }A 을 얻는다. 즉, SS_{\infty} 의 임의의 wff 가 증명가능하다. 그러므로 SS_{\infty} 는 모순이다. ■

보조정리 A.5

드모르간의 법칙, 부정, 무한 귀납은 가역이다. 즉, 어떤 전제의 귀결인 wff 의 증명으로부터 이들 규칙을 통하여 전제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이 증명의 서수와 차수는 원래의 증명의 서수와 차수보다 크지 않다.

  • 증명

    드모르간:

    AA¬(BE)D\neg (B \lor E) \lor D 인 경우. AA 의 증명을 취하자. AA 에서부터 시작하여 증명 트리를 거슬러 올라가서 ¬(BE)\neg (B \lor E) 를 부분식으로 갖는 모든 wff 들을 찾자. 이 과정은 모든 약한 규칙의 적용과 ¬(BE)\neg (B \lor E) 를 사이드 wff 로 갖는 모든 강한 규칙의 적용의 결과를 추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과정은 오로지 희석 F¬(BE)F\dfrac{F}{\neg (B \lor E)\lor F} 을 만나거나 드모르간

    ¬BF¬EF¬(BE)F\dfrac{\neg B \lor F \quad \neg E \lor F }{\neg (B \lor E)\lor F}

    을 만나야만 끝난다. 이 과정을 통하여 ¬(BE)\neg (B \lor E) 가 나타나는 wff 를 모은 집합을 ¬(BE)\neg (B \lor E) 의 역사(history)라고 한다.

    ¬(BE)\neg (B \lor E) 을 그것의 역사 속에서 ¬B\neg B 로 교체할 수 있다. 그러면 불필요해진 식들을 지우고 끝 wff 가 ¬BD\neg B \lor D 인 증명 트리를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BE)\neg (B \lor E)¬E\neg E 로 교체하면 ¬ED\neg E \lor D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

    부정:

    AA¬¬BD\neg \neg B \lor D 인 경우. ¬¬B\neg \neg B 의 역사를 정의하고 역사 속의 모든 ¬¬B\neg \neg BBB 로 대체하면 BDB \lor D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

    무한 귀납:

    AA((x)B(x))((\forall x) B(x)) 인 경우. (x)B(x)(\forall x)B(x) 의 역사를 정의하고 (x)B(x)(\forall x)B(x) 를 그것의 역사 속에서 B(n)B(\overline{n}) 으로 교체하면 B(n)DB(\overline{n})\lor D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

보조정리 A.6 (Schutte 1951: Reduktionssatz)

SS_{\infty} 안에서 양의 차수 mm 과 서수 α\alpha 를 갖는 어떤 증명 AA 에 대하여 그것보다 낮은 차수와 서수 2α2 ^{\alpha } 를 갖는 SS_{\infty} 안에서의 AA 의 증명이 존재한다.

  • 증명

    주어진 AA 의 증명의 서수 α\alpha 에 대한 초한 귀납법을 사용하자.

    α=0\alpha = 0 인 경우 이 증명은 절단을 포함할 수 없고, 그러므로 차수가 00 이다. ▲

    모든 서수 <α< \alpha 에 대하여 정리가 증명되었다고 가정하자. 끝 wff AA 에서부터 시작하여 약한 규칙이 아닌 규칙이 첫번째로 적용된 것을 찾자. 즉, 강한 규칙이나 절단이 적용된 것을 찾자.

    이것이 강한 규칙인 경우 각 전제는 서수 α1(<α)\alpha _1 (<\alpha) 를 갖는다.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이들의 전제에 대하여 더 낮은 차수와 서수 2α12 ^{\alpha _1} 를 갖는 증명 트리가 존재한다. 원래의 증명 트리의 전제 위쪽부분을 이 증명트리로 교체하자. 그러면 AA 의 서수가 모든 2α12 ^{\alpha _1} 보다 큰 2α2 ^{\alpha } 인 새로운 AA 의 증명을 얻는다. ▲

    절단이 적용되었을 경우는 AACDC \lor D 일 때 다음과 같다.

    CB¬BDCD \frac{C \lor B \quad \neg B \lor D}{C \lor D}

    CBC \lor B¬BD\neg B \lor D 의 서수를 각각 α1\alpha _1α2\alpha_2 라고 하면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이들의 증명 트리의 위쪽을 차수를 감소시키고 서수를 2α12 ^{\alpha _1}2α22 ^{\alpha _2} 가 되도록 교체할 수 있다.

    이제 BB 의 형태에 따른 조사를 해야 한다.

    1. BB 가 원자 wff 인 경우.

      BB¬B\neg B 는 반드시 공리이다. BB¬B\neg B 중에 공리가 아닌 것을 KK 라고 하자.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KK 를 포함하는 전제의 증명 트리 위쪽 부분을 더 작은 차수와 서수 2αi2 ^{\alpha _i} (i=1i=1 또는 i=2i=2)를 갖는 증명 트리로 교체할 수 있다.

      이 새로운 증명 트리에서 KK 의 역사를 정의하고, 역사에서 KK 를 모두 지우면 서수 2αi2 ^{\alpha _i} 를 갖는 CC 의 증명 트리 또는 DD 의 증명 트리를 얻는다. 그러면 희석에 의하여 서수 2α2 ^{\alpha } 를 갖는 CDC \lor D 의 증명을 얻을 수 있고, 절단을 제거했으므로 이 증명 트리의 차수는 mm 보다는 작다.

    2. BB¬E\neg E 인 경우. C¬E¬¬EDCD\dfrac{C \lor \neg E \quad \neg \neg E \lor D}{C \lor D}

      차수가 <m<m 이고 서수 2α22 ^{\alpha _2} 를 갖는 ¬¬ED\neg \neg E \lor D 의 증명이 존재한다. 보조정리 A.5 에 의하여 차수 <m<m 와 서수 2α22 ^{\alpha _2}EDE \lor D 에 대한 증명 트리가 존재한다. 한편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차수 <m<m 와 서수 2α22 ^{\alpha _2}C¬EC \lor \neg E 에 대한 증명 트리가 존재한다.

      이제 다음을 고려하자.

      연역 근거
      1 EDE \lor D
      2 DED \lor E 1, 교환
      3 C¬EC \lor \neg E
      4 ¬EC\neg E \lor C 3, 교환
      5 DCD \lor C 2, 4, 절단
      6 CDC \lor D 5, 교환

      위의 절단은 ¬E\neg E 의 차수이고 이는 ¬¬E\neg \neg E 보다 작으며, 그러므로 m\leq m 이다. DCD \lor C 의 서수는 2α22 ^{\alpha _2} 가 되도록 잡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증명은 더 작은 차수와 서수 2α2 ^{\alpha } 이다.

    3. BBEFE \lor F 인 경우. CEF¬(EF)DCD\dfrac{C \lor E \lor F \quad \neg (E \lor F) \lor D}{C \lor D}

      더 작은 차수와 서수 2α22 ^{\alpha _2} 를 갖는 ¬(EF)D\neg (E \lor F) \lor D 에 대한 증명트리가 존재한다. 그러면 보조정리 A.5 에 의하여 차수가 <m<m 이고 서수가 2α22 ^{\alpha _2}¬ED\neg E \lor D¬FD\neg F \lor D 의 증명트리가 존재한다. 또한 차수가 <m<m 이고 서수가 2α12 ^{\alpha _1}CEFC \lor E \lor F 의 증명트리가 존재한다.

      연역 근거
      1 CEFC \lor E \lor F
      2 ¬FD\neg F \lor D
      3 CEDC \lor E \lor D 1, 2, 절단
      4 CDEC \lor D \lor E 3, 교환
      5 ¬ED\neg E \lor D
      6 CDDC \lor D \lor D 4, 5, 절단
      7 CDC \lor D 6, 합병

      이 절단은 차수 <m<m 를 가지므로 새로운 증명트리는 차수 <m<m 를 가진다. CEDC \lor E \lor D 의 서수는 2max(α1,α2)+o12 ^{\max (\alpha _1,\alpha _2)}+_o1 로 잡을 수 있고 CDDC \lor D \lor DCDC \lor D2α2 ^{\alpha } 로 잡을 수 있다.

    4. BB(x)E(\forall x)E 인 경우. C(x)E(¬(x)E)DCD\dfrac{C \lor (\forall x)E \quad (\neg (\forall x)E) \lor D}{C \lor D}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C(x)EC \lor (\forall x)E 의 증명 트리는 더 작은 차수와 서수 2α12 ^{\alpha _1} 를 갖는 증명 트리로 교체할 수 있다. 보조정리 A.5 와 일반적으로 SS_{\infty} 에서 증명가능한 닫힌 wff B(t)B(t) 에 대하여 sstt 와 같은 값을 가지면 B(s)B(s)SS_{\infty} 에서 증명가능하다는 사실에 의하여 임의의 tt 에 대하여 차수가 <m<m 이고 서수가 2α12 ^{\alpha_1 }CE(t)C \lor E(t) 의 증명을 얻을 수 있다.

      귀납적 가정에 의하여 (¬(x)E)D(\neg (\forall x)E)\lor D 도 더 작은 차수와 서수 2α22 ^{\alpha _2} 를 갖는 증명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 증명에서 ¬(x)E\neg (\forall x)E 의 역사는 다음과 같은 희석과 양화의 적용의 주요 wff 로써 종료된다.

      ¬E(ti)gi(¬(x)E)gi \dfrac{\neg E(t_i) \lor g_i }{(\neg (\forall x)E) \lor g_i }

      그러한 양화의 적용을 다음과 같은 절단으로 교체할 수 있다.

      CE(ti)(¬E(ti))giCgi \frac{C \lor E(t_i) \quad (\neg E(t_i)) \lor g_i}{C \lor g_i}

      역사에서 모든 ¬(x)E(x)\neg (\forall x)E(x)CC 로 교체하자. 그 결과는 끝 wff 가 CDC \lor D 인 증명트리이다.

      이 증명 트리는 ¬E(ti)\neg E(t_i) 의 차수가 ¬(x)E\neg (\forall x)E 보다 작으므로 차수가 <m<m 이다.

      증명 트리에서 각각의 이전 서수 β\beta2α1+oβ2 ^{\alpha _1} +_o \beta 로 교체하자. β\beta 가 이전에 제거된 양화 규칙의 전제 ¬E(ti)gi\neg E(t_i) \lor g_i 의 서수이고, γ\gamma 가 결론 (¬(x)E)gi(\neg (\forall x)E) \lor g_i 이면, 새로 도입된 절단에서 CE(ti)C \lor E(t_i) 가 서수 2α12 ^{\alpha _1} 를 갖고, ¬E(ti)gi\neg E(t_i) \lor g_i 가 서수 2α1+oβ2 ^{\alpha _1} +_o \beta 를 갖고, 결론 CgiC \lor g_i 는 서수 2α1+oγ>max(2α1,2α1+oβ)2 ^{\alpha _1}+_o \gamma >\max (2 ^{\alpha _1}, 2 ^{\alpha _1} +_o \beta ) 를 갖는다.

      다른 모든 곳에서 결론의 서수는 전제의 서수보다 크다. 왜냐하면 δ<oμ\delta <_o \mu2α1+oδ<o2α1+oμ2 ^{\alpha _1} +_o \delta <_o 2 ^{\alpha _1} +_o \mu 를 함의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서수 α2\alpha _2 를 가졌던 오른쪽 전제 (¬(x)E)D(\neg (\forall x)E) \lor D 는 다음과 같은 서수 2α1+o2α22 ^{\alpha _1} +_o 2 ^{\alpha _2} 를 갖는 CDC \lor D 로 넘어가게 된다.

      2α1+o2α22max(α1,α2)+o2max(α1,α2)=2max(α1,α2)×o2=2max(α1,α2)+o12α 2 ^{\alpha _1} +_o 2 ^{\alpha _2} \leq 2 ^{\max (\alpha _1, \alpha _2)} +_o 2 ^{\max (\alpha _1, \alpha _2)} =\\ \qquad 2 ^{\max (\alpha _1, \alpha _2)} \times _o 2 = 2 ^{\max (\alpha _1, \alpha _2)} +_o 1 \leq 2 ^{\alpha }

      이것이 <o2α<_o 2 ^{\alpha } 이면 CDC \lor D 의 서수를 2α2 ^{\alpha } 까지 올릴 수 있다. ■

따름정리 A.7

서수 α\alpha 와 차수 mmAA 의 모든 증명은 서수 222α2 ^{2 ^{\rddots ^{2 ^{\alpha }}}} 와 차수 00 을 갖는 증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 그러므로 모든 증명이 절단이 없는 증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정리 A.8

SS_{\infty} 는 무모순이다.

  • 증명

    (00)(00)(00)(0 \neq 0) \lor (0 \neq 0) \lor \dots \lor (0 \neq 0) 의 형태를 갖는 wff AA 를 잡자. AA 의 증명이 존재하면 따름정리 A.7 에 의하여 절단이 존재하지 않는 AA 의 증명이 존재한다.

    추론 규칙 중에서 오직 절단만이 식의 어떤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약한 규칙은 위치를 바꾸거나 무의미한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고, 강한 규칙은 식에 요소를 추가하는 것이다.

    식에 어떤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절단이 증명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AA 는 반드시 (00)(00)(00)(0 \neq 0) \lor (0 \neq 0) \lor \dots \lor (0 \neq 0) 의 형태의 wff 로부터 도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증명의 공리는 이런 형태여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공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AA 는 증명불가능하다. 그러므로 SS_{\infty} 는 무모순이다. (체계가 모순적이면 모든 wff 가 증명 가능하다. 그러므로 체계의 무모순성은 증명불가능한 wff 의 존재성과 같다.) ■

  • 서수 집합 {ω,ωω,ωωω,}\{\omega ,\omega ^{\omega }, \omega ^{\omega ^{\omega }},\dots \} 를 생각하자. 이 집합의 최소상계를 ϵ0\epsilon_0 이라 정의한다.

    무모순성 정리의 가장 비구성적(non-constructive)인 측면은 보조정리 A.6 에서 사용된 초한귀납법이다. 주어진 서수까지의 초한귀납법의 원리는 겐첸과 Schutte 에 의하여 형식화되고 연구되었다. ϵ0\epsilon_0 까지의 초한귀납법은 SS 에서 도출될 수 없다.

    이 내용을 PA\mathsf{PA} 의 서수 분석에서 엄밀하게 알아본다.

    한편, 증명에 할당될 서수 모임에 대한 제한이 없으면 다음이 성립한다.

    1. SS_{\infty}ω\omega-무모순이다.
    2. 표준 모델에서 참인 SS_{\infty} 의 모든 닫힌 wff 은 증명가능하다. 그러므로 SS_{\infty} 는 완전하다.
  • 겐첸은 ϵ0\epsilon_0 까지의 초한귀납법이 SS, 즉, PA 에서 형식화될 수는 있지만, PA 에서 증명될 수는 없다는 것을 보였다. 반면 임의의 α<ϵ0\alpha < \epsilon_0 까지의 초한귀납법은 형식화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PA 에서 증명도 될 수 있다. 이 결과 자체가 PA 의 무모순성을 증명한다. 왜냐하면 만약 수론이 모순적이라면 모든 것이 증명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내용을 PA\mathsf{PA} 의 서수 분석에서 엄밀하게 알아본다.

    겐첸의 결과는 ordinal analysis 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시작시켰다. 서수 분석(ordinal analysis)은 주어진 이론 TT 에 대하여 TT 의 무모순성을 증명하기에 충분한 최소 서수 α\alpha 를 찾는 것이 목표이다. 다음의 표에 각 이론의 무모순성을 증명할 수 있는 최소 서수가 나와있다. 1차 논리의 수론 SS, 즉, PA\mathsf{PA} 의 무모순성을 증명할 수 있는 최초 서수는 ϵ0\epsilon_0 라는 것을 확인하자.


        Mendelson, E. (2009).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logic. CR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