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Topology in R

여기에서는 실수체 R\R 에서의 위상수학의 기초적인 내용을 다룬다.

Open and Closed Sets

ϵ\epsilon-근방(ϵ\epsilon-neighborhood)

aR,ϵ>0a \in \R , \epsilon > 0 에 대하여 aaϵ\epsilon-근방은 다음과 같다.

Vϵ(a)={xR:xa<ϵ} V _{\epsilon }(a) = \{x \in \R : |x-a| < \epsilon \}
  • Vϵ(a)V_{\epsilon}(a) 은 중심이 aa 이고 길이가 ϵ\epsilon 인 열린구간 (aϵ,a+ϵ)(a-\epsilon ,a+\epsilon ) 이다.

Open Set

정의 3.2.1 열린 집합(개집합, open set)

모든 점 aOa \in O 에 대하여 OO 에 포함되는 ϵ\epsilon-근방 Vϵ(a)(O)V_{\epsilon}(a) (\subset O) 가 존재하면, 집합 O(R)O (\subset \R ) 을 열린 집합이라 한다.

  • 예시

    R\R 은 자명하게 열린 집합이다.

    공집합 \varnothing 은 가정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공진리에 의하여 \varnothing 도 열린집합이다.

    열린구간 (c,d)(c, d) 에서 임의의 x(c,d)x \in (c, d) 에 대하여 ϵ=min{xc,xd}\epsilon = \min \{|x-c|, |x-d|\} 를 택하면 Vϵ(x)(c,d)V_{\epsilon}(x) \subset (c, d) 이므로 (c,d)(c, d) 은 열린집합이다.

정리 3.2.3

  1. 열린 집합의 임의의 합집합은 열린 집합이다.

  2. 열린 집합의 유한 교집합은 열린 집합이다.

  • 증명

    1:

    열린 집합 모임 O={Oλ:λΛ}\mathcal{O} = \{O _{\lambda } : \lambda \in \Lambda \} 에 대하여 O=OO = \bigcup_{}^{}\mathcal{O} 라 하자. 임의의 aOa \in O 에 대하여 Vϵ(a)OV_{\epsilon}(a) \subset OVϵ(a)V_{\epsilon}(a) 을 찾으면 증명이 끝난다. aa 는 어떤 열린집합 OλO _{\lambda '} 의 원소이다. 따라서 Vϵ(a)OλV_{\epsilon}(a) \subset O _{\lambda '} 이 존재한다. OλOO _{\lambda '} \subset O 이므로 Vϵ(a)OV_{\epsilon}(a) \subset O 이다. ■

    2:

    유한개의 열린 집합 모임 {O1,O2,,ON}\{O_1, O_2, \dots, O_N\} 에 대하여 ak=1NOka \in \displaystyle \bigcap_{k=1}^{N}O_k 라고 하면 각 1kN1 \leq k \leq N 마다 Vϵk(a)OkV_{\epsilon_k}(a) \subset O_kVϵk(a)V_{\epsilon_k}(a) 가 존재한다. ϵ=min{ϵ1,ϵ2,,ϵN}\epsilon = \min \{\epsilon _1, \epsilon _2, \dots, \epsilon _N\} 로 두면 k:Vϵ(a)Vϵk(a)\forall k : V_{\epsilon}(a)\subset V_{\epsilon_k}(a) 이다. 따라서 Vϵ(a)k=1NOkV_{\epsilon}(a) \subset \displaystyle \bigcap_{k=1}^{N}O_k 이다. ■

Limit Point

정의 3.2.4 극한점(limit point), 집적점(cluster point, accumulation point)

xx 의 모든 근방과 집합 AA 의 교집합이 xx 와 다른 점을 가지면 xxAA 의 극한점이라 한다.

  • 정리 3.2.5 는 AA 의 극한점이 AA 의 원소로 만든 수열을 극한으로 보낸 지점임을 말해준다.

  • 예시

    열린구간 (0,2)={xR:0<x<2}(0, 2) = \{x \in \R : 0 < x < 2\} 은 극한점 0022 를 갖는다.

    닫힌구간 [0,2]={xR:0x2}[0, 2] = \{x \in \R : 0 \leq x \leq 2\} 도 극한점 0022 를 갖는다.

정리 3.2.5

다음은 동치이다.

  • xx 가 집합 AA 의 극한점이다.

  • nN:anxanA\forall n \in \N: a_n \neq x \land a_n \in A 인 수열 (an)(a_n) 에 대하여 liman=x\lim a_n = x 이다.

  • 조건 anxa_n \neq x 이 있는 이유가 뭘까? an=xa_n = x 일 경우 점 xAx \in A 에 대하여 상수 수열 (x,x,x,)(x, x, x, \dots) 의 극한값이 xx 가 되기 때문에 이렇게 자명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 증명

    xxAA 의 극한점이라고 가정하자. xx의 모든 근방은 xx 가 아닌 다른 점에서 AA 와 교집합을 가진다. 따라서 각 nNn \in \N 에 대하여 anxa_n \neq x 이면서 다음을 만족하는 점이 존재한다.

    anV1/n(x)A a_n \in V_{1/n}(x) \cap A

    이제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1/N<ϵ1/N < \epsilonNN 을 택하면 모든 nNn \geq N 에 대하여 anx<ϵ|a_n - x| < \epsilon 이다. ▲

    nN:anxanA\forall n \in \N: a_n \neq x \land a_n \in A 인 수열 (an)(a_n) 에 대하여 liman=x\lim a_n = x 임을 가정하자. xx 의 임의의 근방 Vϵ(x)V_{\epsilon}(x) 에 대하여 수렴의 정의에 의하여 충분히 큰 NN 에 대하여 aNVϵ(x)a_N \in V_{\epsilon}(x) 인 항 aNa_N 이 존재한다. 따라서 xxAA 의 극한점이다. ■

Isolated Point

정의 3.2.6 고립점(isolated point)

aAa \in A 만을 포함하는 근방이 존재할 때 aaAA 의 고립점이라 한다.

  • 극한점이 아닌 점 aAa \in AAA 의 고립점이라 한다. 즉, 고립점 aa 에서는 aa 의 어떤 근방이 오직 aa 만을 포함한다.

  • 고립점은 AA 의 원소여야 하지만 AA 의 극한점은 AA 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가령 열린구간 A=(a,a)A = (-a, a) 의 끝점 aaAA 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aa 의 모든 근방과 집합 AAaa 와 다른 점에서 교집합을 갖는다.

  • 예시

    집합 S={0}[1,2]S = \{0\} \cup [1,2] 는 고립점 00 을 갖는다.

  • 예시

    집합 A={1n:nN}A = \bigg \{\dfrac{1}{n} : n \in \N \bigg \} 의 모든 점이 고립점임을 보이자. 1/nA1/n \in A 에 대하여 ϵ=1/n1/(n+1)\epsilon = 1/n - 1/(n+1) 을 정의하면 1/n1/nϵ\epsilon 근방은 다음과 같다.

    Vϵ(1/n)=(1n1n+1n+1,1n+1n1n+1)=(1n+1,n+2n(n+1)) V_{\epsilon}(1/n) = \bigg (\frac{1}{n} - \frac{1}{n} + \frac{1}{n+1}, \frac{1}{n} + \frac{1}{n} - \frac{1}{n+1} \bigg ) = \bigg (\frac{1}{n+1}, \frac{n + 2}{n(n+1)} \bigg )

    이 근방의 우측 끝점은 다음과 같다.

    n+2n(n+1)1n1=n2+n2n(n+1)n(n+1)(n1)=2n(n+1)(n1)=2n(n21) \frac{n+2}{n(n+1)} - \frac{1}{n-1} = \frac{n ^{2} + n - 2 - n(n + 1)}{n(n+1)(n-1)} = \frac{-2}{n(n+1)(n-1)} = - \frac{2}{n(n^2-1)}

    즉, n>2n>2 일 때 n+2n(n+1)<1n1\dfrac{n+2}{n(n+1)} < \dfrac{1}{n-1} 이다. 따라서 n>2n > 2 일 때 Vϵ(1/n)A={1n}V_{\epsilon}(1/n) \cap A = \bigg \{\dfrac{1}{n} \bigg \} 이다. n=1n = 1 일 때는 Vϵ(1)=(12,32)V_{\epsilon}(1) = \bigg (\dfrac{1}{2}, \dfrac{3}{2} \bigg ) 이므로 Vϵ(1)A={1}V_{\epsilon}(1) \cap A = \{1\}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Vϵ(1/n)A={1n} V_{\epsilon}(1/n) \cap A = \bigg \{\frac{1}{n} \bigg \}

    그러므로 AA 의 모든 점은 고립점이다.

    한편 AA 는 극한점 00 을 갖는다. 00 을 중심으로 하는 모든 근방이 AA 의 점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0∉A0 \not\in A 이므로 AA 는 닫힌 집합이 아니다. 닫힌 집합 F=A{0}F = A \cap \{0\}AA 의 폐포이다.

Closed Set

정의 3.2.7 닫힌 집합(폐집합, closed set)

자기 자신의 극한점을 모두 포함하는 집합을 닫힌 집합이라 한다.

  • 즉, 닫힌 집합이란 집합 내의 원소로 이루어진 수열이 수렴할 때 수열의 극한을 포함하는 집합이다.

  • 수학에서 닫힌(closed) 이라는 용어는 보통 집합의 원소에 대한 연산 결과가 여전히 집합에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선형대수학이 관심을 갖는 주제인 벡터공간은 덧셈과 스칼라 곱에 닫힌 집합이다. 해석학이 관심을 갖는 연산이란 극한이다.

    그래서 닫힌 집합이란 그 집합의 원소로 수열을 만들어서 극한으로 보내도 여전히 그 집합 안에 속해있다는 관점에서 "극한에 대하여 닫혀있다" 라는 뜻이다.

닫힌구간은 닫힌집합이다.

  • 증명

    닫힌구간 [c,d][c,d] 의 임의의 극한점 xx 에 대하여 정리 3.2.5 에 의하여 limxn=x\lim x_n = x 인 수열 (xn)[c,d](x_n) \subset [c,d] 가 존재한다.

    cxndc \leq x_n \leq d 이므로 극한과 부등식 에 의하여 cxdc \leq x \leq d 이다. 따라서 닫힌구간 [c,d][c, d] 는 닫힌 집합이다. ■

정리 3.2.8

집합 FRF \subset \R 가 닫힌 집합인 것과 FF 에 포함되는 모든 코시 수열이 FF 안에서 극한값을 가지는 것은 동치이다.

  • 증명

정리 3.2.10 유리수의 조밀성(density of rational number)

모든 yRy \in \R 에 대하여 yy 로 수렴하는 유리수열이 존재한다.

  • 증명

    임의의 yRy \in \R 에 대한 어떤 근방 Vϵ(y)=(yϵ,y+ϵ)V_{\epsilon}(y) = (y - \epsilon ,y + \epsilon ) 에 대하여 유리수의 조밀성에 의하여 rVϵ(y)r \in V_{\epsilon}(y) 인 유리수 rQr \in \Bbb{Q} 가 존재한다. 따라서 yyQ\Bbb{Q} 의 극한점이다. 즉, Q\Bbb{Q} 의 극한점 집합이 곧 R\R 이 된다.

    그러면 정리 3.2.5 에 의하여 임의의 실수 yRy \in \R 에 대하여 yy 로 수렴하는 유리수열이 존재한다. ■

Closure

정의 3.2.11 폐포(closure)

집합 ARA \subset \R 의 모든 극한점 집합 LL 에 대하여 A=AL\overline{A} = A \cup LAA 의 폐포라 한다.

  • 예시

    정리 3.2.10 에 의하여 Q=R\overline{\Bbb{Q}} = \R 이다.

    열린구간 A=(a,b)A = (a, b) 에 대하여 A=[a,b]\overline{A} = [a, b] 이다. AA 가 닫힌구간이면 A=AA = \overline{A} 이다.

문제 3.2-7

ARA \subset \R 에 대하여 AA 의 모든 극한점 집합을 LL 이라고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1. LL 은 닫힌 집합이다.

  2. xxALA \cup L 의 극한점이면 xxAA 의 극한점이다.

  • 증명

    1:

    xxLL 의 극한점이라고 가정하고, xLx \in L 임을 보이자. 즉, xxAA 의 극한점임을 보이는 것이다.

    xx 의 임의의 근방 Vϵ(x)V_{\epsilon}(x) 은 극한점의 정의에 의하여 lxl \neq xlLl \in L 에서 LL 과 교집합을 갖는다. 이제 Vϵ(l)Vϵ(x)V_{\epsilon'}(l) \subset V_{\epsilon}(x) 이 되게 하는 충분히 작은 ϵ>0\epsilon '>0 을 택할 수 있다.

    lLl \in L 이므로 llAA 의 극한점이고, 이에 따라 Vϵ(l)V_{\epsilon'}(l)AA 와 교집합을 갖는다. 이는 Vϵ(x)V_{\epsilon}(x)xx 와 다른 어떤 점에서 AA 와 교집합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xxAA 의 극한점이고, 이에 따라 xLx \in L 이다. ■

    2:

    xxALA \cup L 의 극한점이면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한 근방 Vϵ(x)V_{\epsilon}(x)ALA \cup Lxx 와 다른 점에서 교집합을 갖는다. 만약 AA 과 교집합을 갖는다면 자동으로 xxAA 의 극한점이 되고 증명이 끝난다.

    그러니 Vϵ(x)V_{\epsilon}(x)LLlLl \in L 에서 교집합을 갖는다고 하자. 그러면 xxLL 의 극한점임을 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1) 에 의하여 LL 이 닫힌 집합이므로 xLx \in L 이고, LL 의 원소는 AA 의 극한점이므로 모든 증명이 끝난다. ■

정리 3.2.12

임의의 ARA \subset \R 에 대하여 폐포 A\overline{A}AA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닫힌 집합이다.

  • 증명

    LLAA 의 모든 극한점 집합이므로 A\overline{A}AA 의 극한점을 포함한다. LLAA 의 합집합 연산에 의하여 새로운 극한점이 생겼을 수도 있지만 문제 3.2-7 에 의하여 이는 불가능하다. AA 를 포함하는 닫힌 집합은 항상 LL 을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A\overline{A}AA 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닫힌 집합이다. ■

여집합(complement)

집합 ARA \subset \R 의 여집합은 Ac={xR:x∉A}A ^{c} = \{x \in \R : x \not\in A\} 이다.

정리 3.2.13

  1. 집합 OO 가 열린 집합인 것과 OcO ^{c} 가 닫힌 집합인 것은 동치이다.

  2. 집합 FF 가 닫힌 집합인 것과 FcF ^{c} 가 열린 집합인 것은 동치이다.

  • 증명

    1:

    OO 가 열린 집합임을 가정하자. xxOcO ^{c} 의 극한점이면 xx 의 모든 근방이 OcO ^{c} 의 점을 포함해야 한다. xOx \in O 이면 Vϵ(x)OV_{\epsilon}(x)\subset O 인 근방이 존재하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x∉Ox \not\in O 이다. 그러므로 xOcx \in O ^{c} 이고, OcO ^{c} 는 닫힌 집합이다. ▲

    OcO ^{c} 가 닫힌 집합임을 가정하면 임의의 점 xOx \in O 에 대하여 xxOcO ^{c} 의 극한점이 아님을 보장받는다. 이는 OcO ^{c} 와 교집합이 생기지 않는 xx 의 근방 Vϵ(x)V_{\epsilon}(x) 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Vϵ(x)OV_{\epsilon}(x)\subset O 이다. 따라서 OO 는 열린집합이다. ■

    2:

    임의의 집합 EE 에 대하여 (Ec)c=E(E ^{c})^{c} = E 이므로 1) 에 의하여 바로 증명된다. ■

정리 3.2.14

  1. 닫힌 집합의 유한 합집합은 닫힌 집합이다.

  2. 닫힌 집합의 임의의 교집합은 닫힌 집합이다.

  • 정리 3.2.3 과 대조된다.

  • 증명

    드모르간의 법칙에 의하여 임의의 집합의 모임 {Eλ:λΛ}\{E _{\lambda } : \lambda \in \Lambda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λΛEλ)c=λΛEλc,(λΛEλ)c=λΛEλc \bigg (\bigcup_{\lambda \in \Lambda }^{} E _{\lambda }\bigg )^{c} = \bigcap_{\lambda \in \Lambda }^{} E ^{c}_{\lambda }, \qquad \bigg (\bigcap_{\lambda \in \Lambda }^{} E _{\lambda }\bigg )^{c} = \bigcup_{\lambda \in \Lambda }^{} E ^{c}_{\lambda }

    이 사실과 정리 3.2.3 에 의하여 바로 증명된다. ■

Compact Sets

정의 3.3.1 콤팩트성(compactness)

KK 의 원소로 이루어진 임의의 수열에 대하여 극한이 KK 의 원소인 부분수열이 존재할 때 집합 KRK \subset \R 를 콤팩트하다고 한다.

닫힌 구간은 콤팩트 집합이다.

  • 증명

    닫힌 구간 [c,d][c, d] 에 대한 수열 (an)[c,d](a_n) \in [c, d]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에 의하여 수렴하는 부분수열 (ank)(a _{n_k}) 를 가진다. 또한 닫힌 구간은 닫힌 집합이므로 이 부분수열의 극한값이 [c,d][c, d] 에 포함된다. 따라서 닫힌 구간은 콤팩트 집합이다. ■

  • 위 증명에서는 콤팩트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계라는 조건(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과 닫힌 집합은 극한점을 포함한다는 사실을 사용했다. R\R 의 콤팩트 집합은 이 두 성질로 완전히 결정되며, 이를 정리 3.3.4 에서 증명한다.

Bounded Set

정의 3.3.3 유계집합(bounded set)

aA:aM\forall a \in A: |a| \leq MM>0M>0 이 존재할 때 ARA \subset \R 를 유계집합이라 한다.

  • 즉, 유계집합은 상한과 하한을 갖는 집합이다. M=max{supA,infA}M = \max \{\sup A, \inf A\} 로 정의하면 유계 MM 을 얻는다.

정리 3.3.4 R\R 에서 콤팩트성의 특성

집합 KRK \subset \R 이 콤팩트한 것과 KK 가 닫힌 집합이면서 유계집합인 것은 동치이다.

  • 이 정리는 콤팩트 집합이 유계이고 상한과 하한을 갖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KK 가 콤팩트하면 닫힌 집합이면서 유계집합이다:

    KK 가 유계가 아니면 임의의 nNn \in \N 에 대하여 xn>n|x_n| > nxnKx_n \in K 가 존재한다. KK 가 콤팩트하니까 수열 (xn)K(x_n) \subset K 은 수렴하는 부분수열 (xnk)(x _{n_k}) 를 갖는다. KK 가 유계가 아니라고 가정했으므로 부분수열의 항들은 xnk>nk|x _{n_k}| > n_k 을 만족하며, 따라서 (xnk)(x _{n_k}) 는 유계가 아니다. 그러나 정리 2.3.2 에 의하여 수렴하는 수열은 유계이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KK 는 유계여야 한다. ▲

    KK 가 닫힌 집합임을 보이기 위하여 수열 (xn)K(x_n) \subset K 가 수렴한다는 것을 가정하고 limxn=x\lim x_n = x 라 두자. xKx \in K 임을 보이면 증명이 끝난다. KK 가 콤팩트하므로 부분수열 (xnk)(x _{n_k})KK 안에서 수렴하고, 정리 2.5.2 에 의하여 (xn)(x_n)(xnk)(x _{n_k}) 와 같은 극한값으로 수렴한다. 즉, xKx \in K 이다. ■

    KK 가 닫힌 집합이면서 유계이면 콤팩트하다:

    KK 가 유계이면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에 의하여 임의의 수열 (an)K(a_n) \subset K 은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갖는다. KK 가 닫힌 집합이면 부분수열이 KK 안에서 수렴한다. 그러면 KK 는 콤팩트 집합이다. ■

문제 3.2-11

집합 ARA \subset \R 가 위로 유계이면 supAA\sup A \in \overline{A} 이다.

  • 상한 supA\sup A 의 존재성은 완비성 공리가 보장한다.

  • 증명

    supA=s\sup A = s 가 상한이므로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sϵ<aAs - \epsilon < a \in A 가 존재한다. 즉, aVϵ(s)a \in V_{\epsilon}(s) 이다. 따라서 Vϵ(s)V_{\epsilon}(s)ss 가 아닌 점 aAa \in A 에서 AA 와 교집합을 갖는다. 그러므로 ssAA 의 극한점이다. 따라서 sAs \in \overline{A} 이다. ■

문제 3.3-1

집합 KRK \subset \R 가 콤팩트하면 supKK,infKK\sup K \in K, \inf K \in K 이다.

  • 증명

    KK 가 콤팩트하면 정리 3.3.4 에 의하여 KK 는 닫혀있고 유계이다. 완비성 공리에 의하여 KK는 상한 supK\sup K 를 갖는다. 문제 3.2-11 에 의하여 supKK\sup K \in \overline{K} 이다. KK 가 닫혀있으므로 K=KK = \overline{K} 이다. 따라서 supKK\sup K \in K 이다. ▲

    하한의 경우도 같은 논리로 증명된다. ■

Nested Compact Set Property

정리 3.3.5 축소 콤팩트 집합 성질(Nested Compact Set Property)

다음과 같은 공집합이 아닌 콤팩트 집합으로 이루어진 축소집합열에 대하여 n=1Kn\displaystyle \bigcap_{n=1}^{\infty}K_n \neq \varnothing 이다.

K1K2K3 K_1 \supset K_2 \supset K_3 \supset \dots
  • 이 정리는 닫힌 구간에서 성립하던 축소구간성질을 콤팩트 집합으로 일반화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콤팩트 집합을 닫힌 구간의 일반화라고 생각하면 유용할 때가 많다.

  • 증명

    nNn \in \N 에 대하여 xnKnx_n \in K_n 을 택하면 수열 (xn)(x_n) 은 수렴하는 부분수열 (xnk)(x _{n_k}) 을 갖고, 이 부분수열은 극한값 x=limxnkKnx = \lim x _{n_k} \in K_n 을 갖는다.

    임의의 n0Nn_0 \in \N 에 대하여 nn0n \geq n_0 인 수열 (xn)(x_n) 의 항은 Kn0K _{n_0} 에 포함된다. 처음 몇몇 유한개의 항(nk<n0n_k < n_0)을 무시하면 궁극적으로 부분수열 (xnk)(x _{n_k}) 또한 Kn0K _{n_0} 에 포함된다. 따라서 limxnk=xKn0\lim x _{n_k} = x \in K _{n_0} 이다. n0n_0 은 임의로 주어졌으므로 xn=1Kn\displaystyle x \in \bigcap_{n=1}^{\infty}K_n 이다. ■

Open Cover

정의 3.3.6 열린 덮개(open cover), 유한 부분덮개(finite subcover)

집합 ARA \subset \R 와 열린 집합 모임 {Oλ:λΛ}\{O _{\lambda } : \lambda \in \Lambda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AλΛOλA \subset \displaystyle \bigcup_{\lambda \in \Lambda }^{}O_{\lambda } 일 때 {Oλ:λΛ}\{O_{\lambda } : \lambda \in \Lambda \}AA 의 열린 덮개라 한다.

  • 이 열린 덮개 중 유한개의 합집합으로 AA 를 포함할 수 있을 때, 이 유한개의 집합 모임을 유한 부분덮개라 한다.

  • 열린 집합 모임 {Oλ:λΛ}\{O_{\lambda } : \lambda \in \Lambda \} 는 무한개의 열린 집합으로 이루어져있을 수도 있다.

  • 예시

    열린 구간 (0,1)(0, 1) 와 점 x(0,1)x \in (0, 1) 에 대한 열린 구간 (x/2,1)=Ox(x/2, 1) = O_x 에 대하여 무한 모임 {Ox:x(0,1)}\{O_x : x \in (0, 1)\} 은 열린 구간 (0,1)(0, 1) 의 열린 덮개이다.

    임의의 유한 부분모임 {Ox1,Ox2,,Oxn}\{O_{x_1}, O_{x_2}, \dots, O_{x_n}\} 에 대하여 x=min{x1,x2,,xn}x' = \min \{x_1, x_2, \dots, x_n\} 로 두면 0<y<x/20<y<x'/2 인 실수 yy 에 대하여 y∉i=1nOxiy \not\in \displaystyle \bigcup_{i=1}^{n}O_{x_i} 이다. 따라서 이 열린 덮개의 유한 부분덮개는 존재하지 않는다.

  • 예시

    닫힌 구간 [0,1][0, 1] 에 대하여 위 예시와 비슷한 덮개를 정의하면 집합 Ox=(x/2,1)O_x = (x/2, 1)[0,1][0, 1] 의 끝점을 덮지 못한다. 그러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Oo=(ϵ,ϵ),O1=(1ϵ,1+ϵ)O_o = (-\epsilon ,\epsilon ), O_1 = (1-\epsilon ,1+\epsilon ) 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은 열린 덮개를 만들 수 있다.

    {O0,O1,Ox:x(0,1)} \{O_{0}, O_{1}, O_{x} : x \in (0, 1)\}

    x/2<ϵx'/2 < \epsilonxx' 을 택하면 {O0,Ox,O1}\{O_{0}, O_{x'}, O_{1}\} 은 유한 부분덮개가 된다.

Heine-Borel theorem

정리 3.3.8 하이네-보렐 정리(Heine-Borel theorem)

집합 KRK \subset \R 에 대하여 다음은 동치이다.

  1. KK 는 콤팩트 집합이다.

  2. KK 는 닫힌 집합이면서 유계집합이다.

  3. KK 의 임의의 열린 덮개가 항상 유한 부분덮개를 가진다.

  • 우리는 콤팩트성을 집합 안에서 수렴하는 부분수열이 있다고 정의했다. 그러나 이 정리는 2) 나 3) 으로 콤팩트 집합을 정의해도 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콤팩트성을 정의하여 논의를 전개시킬 수 있다.

  • 증명

    121 \iff 2:

    정리 3.3.4 는 1) 과 2) 가 동치임을 보장한다. 이로써 3) 이 1) 또는 2) 와 동치임을 증명하면 증명이 끝난다.

    323 \implies 2:

    xKx \in K 에 대하여 열린 집합을 Ox=V1(x)O_x = V_{1}(x) 로 정의하여 열린 덮개 {Ox:xK}\{O_{x} : x \in K\} 를 만들자. 가정에 의하여 열린 덮개는 유한 부분덮개 {Ox1,Ox2,,Oxn}\{O_{x_1}, O_{x_2}, \dots, O_{x_n}\} 를 가지는데, 유한 부분덮개는 유계집합이고 KK 가 유한 부분덮개에 포함되므로 KK 도 유계집합이다. ▲

    코시수열 (yn)K(y_n) \in K 에 대하여 limyn=y\lim y_n = y 라고 하자. yKy \in K 임을 보이면 KK 가 닫힌 집합임이 증명된다.

    y∉Ky \not\in K 를 가정하자. OxO_xKK 의 각 점 xx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이 xy/2|x - y|/2 인 열린 구간으로 택하여 열린 덮개를 구성하면, 3) 을 가정했으므로 유한 부분덮개 {Ox1,Ox2,,Oxn}\{O_{x_1}, O_{x_2}, \dots, O_{x_n}\} 가 존재한다.

    ϵ0=min{xiy2:1in}\displaystyle \epsilon _0 = \min \bigg \{\dfrac{|x_i-y|}{2} : 1 \leq i \leq n \bigg \} 에 대하여 (yn)(y_n)yy 로 수렴하므로 yNy<ϵ0|y_N - y| < \epsilon _0 를 만족하는 항 yNy_N 이 존재한다.

    ϵ0\epsilon _0 의 의미는 모든 xKx \in K 에 대하여 yy 와의 거리의 12\dfrac{1}{2} 이 가장 작은 xx 와의 거리이다. 그러면 이 yNy_Nyy 로부터의 거리가 ϵ0\epsilon _0 보다 작으므로 어떠한 OxO_x 에도 포함되지 못한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yN∉i=1nOxi y_N \not\in \bigcup_{i=1}^{n}O_{x_i}

    따라서 이 부분덮개는 KK 를 포함하지 못하는데,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yKy \in K 이고, 이에 따라 KK 는 닫힌 집합이다. ■

    232 \implies 3:

    KK 의 열린 덮개 {Oλ:λΛ}\{ O_{\lambda }:\lambda \in \Lambda \} 가 유한 부분덮개를 가지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I0I_0KI0K \subset I_0 인 닫힌 구간이라 하고, I0I_0A1A_1B1B_1 으로 이등분하자.

    만약 A1KA_1 \cap KB1KB_1 \cap K 모두가 {Oλ:λΛ}\{O_{\lambda }: \lambda \in \Lambda \} 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유한 부분덮개를 가지면 KK 가 유한 부분덮개를 가진다.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A1KA_1 \cap K 또는 B1KB_1 \cap K 는 유한 부분덮개를 가지지 않는다. ▲

    KK 와의 교집합이 유한 부분덮개를 가지지 않는 I0I_0 의 반쪽을 I1I_1 이라 하자. 그러면 I1KI_1 \cap K 는 유한 부분덮개를 가지지 않고 I1I0I_1 \subset I_0 이다.

    다시 I1I_1 을 이등분하고 KK 와의 교집합이 유한 부분덮개를 가지지 않는 반쪽을 I2I_2 라 하자. 즉, I2KI_2 \cap K 는 유한 부분덮개를 가지지 않고 I2I1I_2 \subset I_1 이다.

    이렇게 구간을 계속 이등분하여 구간 InI_n 을 얻을 수 있다. 그러면 InKI_n \cap K 는 유한 부분덮개를 가지지 않고, (In)(I_n)I0I1I2I_0 \supset I_1 \supset I_2 \supset \dots 인 축소구간열이며, limIn=0\lim |I_n| = 0 이다. ▲

    KK 가 컴팩트하므로 각 nn 에 대한 KInK \cap I_n 도 컴팩트하다. 축소 콤팩트 집합 성질에 의하여 n=1InK\bigcap_{n=1}^{\infty}I_n \cap K \neq \varnothing 이다. 따라서 nN:xIn\forall n \in \N : x \in I_nxKx \in K 가 존재한다. ▲

    xKx \in K 를 포함하는 열린 집합 Oλ0{Oλ:λΛ}O_{\lambda _0} \in \{O_{\lambda }:\lambda \in \Lambda \} 가 존재한다. Oλ0O_{\lambda _0} 가 열린 집합이므로 Vϵ0(x)Oλ0V_{\epsilon_0}(x)\subset O_{\lambda _0} 를 만족하는 ϵ0>0\epsilon_0>0 가 존재한다. 축소구간열 (In)(I_n) 들의 길이가 무한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에 In0<ϵ0|I _{n_0}| < \epsilon_0 을 만족하는 n0n_0 가 존재한다. xIn0x \in I _{n_0} 이므로 In0Vϵ0(x)Oλ0I _{n_0} \subset V_{\epsilon_0}(x) \subset O_{\lambda _0} 이다. 따라서 In0I _{n_0} 는 유한 부분덮개를 가진다. 이는 모순이다. 그러므로 A1KA_1 \cap KB1KB_1 \cap K 모두가 유한 부분덮개를 가지며, 결국 KK 도 유한 부분덮개를 가진다. ■

Perfect Set

정의 3.4.1 완전집합(perfect set)

고립점을 가지지 않는 닫힌 집합 PRP \subset \R 을 완전집합이라 한다.

  • 비어있지 않은 완전집합은 비가산 집합이다.

  • 예시

    [a,a][a, a] 같은 한 원소 집합을 제외하면 닫힌 구간은 완전집합이다.

정리 3.4.3

공집합이 아닌 완전집합은 비가산 집합이다.

  • 열린구간 (0, 1)은 비가산 집합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집합이 아닌 완전집합들은 모두 비가산 집합이다.

  • 증명

    PP 가 공집합이 아니면서 완전집합이면 유한집합일 수 없다. 유한집합은 고립점으로만 이루어진 집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PP 는 무한집합이다. ▲

    PP 가 가산집합이면 다음과 같이 PP 의 모든 원소에 자연수로 번호를 붙일 수 있다.

    P={x1,x2,} P = \{x_1, x_2, \dots\}

    x1I1{maxI1,minI1}x_1 \in I_1 \setminus \{\max I_1, \min I_1\} 인 닫힌 구간 I1=[a,b]I_1 = [a, b] 을 정의하자. x1x_1 은 고립점이 아니므로 또 다른 점 y2Py_2 \in P 가 존재하여 y2I1{maxI1,minI1}y_2 \in I_1 \setminus \{\max I_1, \min I_1\} 를 만족한다.

    ϵ=min{y2a,by2,x1y1}\epsilon = \min \{y_2 - a, b - y_2, |x_1 - y_1|\} 에 대하여 구간 I2=[y2ϵ/1,y2+ϵ/2]I_2 = [y_2 - \epsilon /1, y_2 + \epsilon /2] 를 정의하면 I2I1,x1∉I2I_2 \subset I_1, x_1 \not\in I_2 이다.

    image

    같은 방식으로 x2∉I3,I3I2x_2 \not\in I_3, I_3 \subset I_2 인 닫힌 구간 I3I_3 를 만들 수 있다. 즉, InI_n 이란 yny_n 을 중심으로 하고 InIn1,xn1∉InI_n \subset I _{n-1}, x _{n-1} \not\in I _{n} 을 만족하는 닫힌 구간이다. 항상 ynIny_n \in I_n 이므로 InPI_n \cap P \neq \varnothing 이다.

    Kn=InPK_n = I_n \cap P 를 정의하자. KnK_n 은 닫힌 집합의 교집합이므로 정리 3.2.14 에 의하여 닫힌 집합이고, 유계집합 InI_n 에 포함되므로 유계이다. 따라서 KnK_n 은 콤팩트하다. 또한 KnK_n \neq \varnothing 이고, Kn+1KnK _{n+1} \subset K_n 이다. 그러면 축소 콤패트 집합 성질이 만족되어 n=1Kn\displaystyle \bigcap_{n=1}^{\infty}K_n \neq \varnothing 이 성립한다.

    그런데 모든 KnK_n 들이 PP 의 부분집합이고 xn∉In+1x_n \not\in I _{n+1} 이므로 n=1Kn=\displaystyle \bigcap_{n=1}^{\infty}K_n = \varnothing 이다. 이는 모순이다. 따라서 PP 는 가산집합이 아니다. ■

Connected Set

정의 3.4.4 분리되어 있는 집합(separated set), 비연결집합(disconnected set), 연결집합(connected set)

공집합이 아닌 두 집합 A,BRA, B \subset \R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AB=AB=\overline{A} \cap B = \varnothing \land A \cap \overline{B} = \varnothing 이면 AABB 가 분리되었다고 한다.

  • 서로 분리된 집합 A,BA, B 에 대하여 E=ABE = A \cup B 를 비연결집합이라 한다.

  • 비연결집합이 아닌 집합을 연결집합이라 한다.

  • 증명

    A=(1,2),B=(2,5),C=(1,2]A = (1, 2), B = (2, 5), C = (1, 2] 에 대하여 ABA \cup B 는 비연결집합이고, CBC \cup BCB={2}C \cap \overline{B} = \{2\} 이므로 연결집합이다.

정리 3.4.6

다음은 동치이다.

  1. 집합 ERE \subset \R 가 연결집합이다.

  2. E=ABE = A \cup B 인 공집합이 아닌 임의의 서로소 집합 A,BA, B 에 대하여 limxn=x\lim x_n = x 인 수열 (xn)(x_n) 이 존재하여 (xn)(x_n)AA 또는 BB 에 포함되고 xx 는 다른 집합에 포함된다.

  • 정리 3.2.5에 의하여 조건 2) 는 두 집합 A,BA, B 중 하나가 다른 집합의 극한점을 포함한다는 것과 같다.

  • 증명

    121 \implies 2:

    EE 가 연결집합이고 E=ABE = A \cup BA,BA, B 가 서로소 집합이며 공집합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EE 가 연결집합이므로 A,BA, B 는 분리되지 않았다. 즉, AB\overline{A}\cap B 또는 ABA \cap \overline{B} 가 공집합이 아니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xABx \in \overline{A}\cap B 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xAxBx \in \overline{A} \land x \in B 인데 A,BA, B 가 서로소이므로 x∉Ax \not\in A 이다. 따라서 xxAA 의 극한점이다. 그러면 정리 3.2.5 에 의하여 xx 로 수렴하는 수열 (xn)A(x_n) \in A 가 존재한다. ■

    212 \implies 1:

    이 명제를 대우로 증명해보자. EE 가 비연결집합임을 가정하고, E=ABE = A \cap BA,BA, B 가 서로소 집합이며 공집합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수열 (xn)A(x_n) \subset Axx 로 수렴하면 xAx \in \overline{A} 이다. AB=\overline{A} \cup B = \varnothing 이므로 x∉Bx \not\in B 이다. 똑같은 수열을 집합 BB 에서 가정해도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정리 3.4.7

다음은 동치이다.

  1. ERE \subset \R 가 연결집합이다.

  2. 임의의 a,bEa, b \in Ea<c<ba < c < bcc 에 대하여 cEc \in E 이다.

  • 증명

    121 \implies 2:

    EE 가 연결집합이고 a,bEa, b \in Ea<c<ba<c<b 를 가정하자. 집합 A,BA, B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aA,bBa \in A, b \in B 이다.

    A=(,c)E A = (- \infty ,c) \cap E
    B=(c,)E B = (c , \infty )\cap E

    A(,c)A \subset (-\infty ,c ) 이므로 극한과 부등식 에 의하여 AA 의 모든 극한점은 (,c](-\infty , c] 에 포함된다. 이는 BB 와 서로소이므로 AB=\overline{A} \cap B = \varnothing 이다. 같은 논리로 AB=A \cap \overline{B} = \varnothing 를 얻는다.

    따라서 만약 E=ABE = A \cup B 이면 EE 는 비연결집합이다. 그러나 EE 는 연결집합이므로 이는 모순이다. 그러므로 EE 에는 ABA \cup B 외에 다른 점을 포함해야 하는데, 모든 제한조건을 만족하는 점은 cc 이다. 따라서 cEc \in E 이다. ■

    212 \implies 1:

    EE 를 임의의 a,bEa, b \in E 에 대하여 a<c<ba<c<b 이면 cEc \in E 가 되는 구간이라고 가정하자. 정리 3.4.6 에 의하여 공집합이 아닌 서로소 집합 AABB 에 대하여 E=ABE = A \cup B 라고 가정하고, 두 집합 중 하나가 다른 집합의 극한점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이면 증명이 끝난다.

    a0Aa_0 \in Ab0Bb_0 \in B 를 택하고 편의상 a0<b0a_0 < b_0 라고 하자. 구간 I0=[a0,b0]I_0 = [a_0, b_0] 에 대하여 I0EI_0 \subset E 이다. 구간 I1=[a1,b1]I0I_1 = [a_1, b_1] \subset I_02I1=I02|I_1| = |I_0| 이 되도록 a1Aa_1 \in Ab1Bb_1 \in B 을 택할 수 있다. 이렇게 I1I_1I0I_0 보다 1/21/2 만큼 줄어든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anA,bnBa_n \in A, b_n \in B 이면서 길이가 (bnan)0(b_n - a_n) \to 0 인 축소 구간 In=[an,bn]I_n = [a_n, b_n] 을 얻는다.

    축소구간성질 에 의하여 xn=0Inx \in \displaystyle \bigcap_{n=0}^{\infty}I_nxx 가 존재한다. 극한과 사칙연산을 사용하여 수열 (an)A(a_n) \subset A(bn)B(b_n) \subset B 에 대하여 liman=x\lim a_n = xlimbn=x\lim b_n = x 임을 쉽게 보일 수 있다.

    AABB 가 서로소이므로 xEx \in EAA 또는 BB 에 속한다. xAx \in A 일 경우 limbn=x\lim b_n = x 이므로 xxBB 의 극한점이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

Baire's Theorem

F-sigma set, G-delta set

정의 3.5.1 FσF _{\sigma } 집합(F-sigma set), GδG _{\delta } 집합(G-delta set)

집합 ARA \subset \R 를 닫힌 집합의 셀 수 있는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을 때 AAFσF _{\sigma } 집합이라 한다.

집합 BRB \subset \R 를 열린 집합의 셀 수 있는 교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을 때 BBGδG _{\delta } 집합이라 한다.

  • 정리 3.2.3 은 열린 집합의 합집합이 열린 집합임을 말해준다. 정리 3.2.14는 닫힌 집합의 교집합이 닫힌 집합임을 말해준다.

    닫힌 집합의 합집합이나 열린 집합의 교집합을 이 정의처럼 정의하면 새로운 종류의 R\R 의 부분집합을 얻을 수 있다.

문제 3.5-1

집합 AAGδG _{\delta } 인 것은 AcA ^{c}FσF_{\sigma } 집합인 것과 동치이다.

  • 증명

    AAGδG _{\delta } 이면 열린 집합 OnO_n 에 대한 셀 수 있는 교집합 A=n=1OnA = \displaystyle \bigcap_{n=1}^{\infty}O_n 으로 나타낼 수 있다. 드모르간의 법칙 에 의하여 Ac=n=1OncA ^{c} = \displaystyle \bigcup_{n=1}^{\infty }O_n ^{c} 이다. 정리 3.2.13 에 의하여 OncO_n ^{c} 는 닫힌집합이다. 따라서 AcA ^{c}FσF_{\sigma } 이다. ▲

    그 역도 비슷한 방식으로 쉽게 증명할 수 있다. ■

문제 3.5-3

  1. 닫힌 구간 [a,b][a, b]GδG _{\delta } 집합이다.

  2. 반열린 구간 (a,b](a, b]GδG _{\delta } 집합이면서 FδF_{\delta } 집합이다.

  3. Q\Bbb{Q}FσF_{\sigma } 집합이고 I\Bbb{I}GδG _{\delta } 집합이다.

  • 증명

    1:

    [a,b]=n=1(a1n,b+1n) [a, b] = \bigcap_{n=1}^{\infty}\bigg (a - \frac{1}{n}, b + \frac{1}{n} \bigg ) \tag*{■}

    2:

    (a,b]=n=1(a,b+1/n) (a, b] = \bigcap_{n=1}^{\infty}(a, b+1/n)
    (a,b]=n=1[a+1/n,b] (a, b] = \bigcup_{n=1}^{\infty}[a + 1/n, b] \tag*{■}

    3:

    Q\Bbb{Q} 가 가산집합이므로 Q={r1,r2,}\Bbb{Q}=\{r_1, r_2, \dots\} 로 쓸 수 있다. 그러면 각 집합 {rn}\{r_n\} 은 닫혀있고, 정리 3.2.13 에 의하여 {rn}c\{r_n\}^{c} 은 열려있다.

    Q=n=1{rn}\Bbb{Q} = \displaystyle \bigcup_{n=1}^{\infty }\{r_n\} 이므로 Q\Bbb{Q}FσF_{\sigma } 집합이고, R\R 에서 I=QcI = \Bbb{Q}^{c} 이므로 드모르간의 법칙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I=Qc=n=1{rn}c \Bbb{I} = \Bbb{Q}^{c} = \bigcap_{n=1}^{\infty}\{r_n\}^{c}

    따라서 I\Bbb{I}GσG _{\sigma } 집합이다. ■

정리 3.5.2

nNn \in \N 에 대한 열린 집합 GnRG_n \subset \R 이 조밀하다고 하자. 즉, 임의의 두 실수 a<ba < b 에 대하여 a<x<ba < x < b 인 점 xGnx \in G_n 이 존재한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n=1Gn \bigcap_{n=1}^{\infty}G_n \neq \varnothing
  • 증명

    x1G1x_1 \in G_1 을 택하면 G1G_1 이 열려있으므로 양수 ϵ1\epsilon _1 에 대한 근방 Vϵ1(x1)G1V_{\epsilon_1}(x_1) \subset G_1 이 존재한다. ϵ1<ϵ1\epsilon '_1<\epsilon _1 을 잡고 I1=Vϵ1(x1)I_1 = \overline{V_{\epsilon'_1}(x_1)} 을 정의하면, I1I_1 은 닫힌구간이고 I1Vϵ1(x1)G1I_1 \subset V_{\epsilon_1}(x_1) \subset G_1 이다.

    G2G_2 가 조밀하므로 임의의 열린 구간에 반드시 G2G_2 의 원소가 존재한다. 따라서 x2Vϵ1(x1)G1x_2 \in V_{\epsilon'_1}(x_1) \subset G_1x2G2x_2 \in G_2 가 존재한다. 정리 3.2.3에 의하여 열린 집합의 유한 교집합은 열린 집합이므로 G2Vϵ1(x1)G_2 \cap V_{\epsilon'_1}(x_1) 은 열린 집합이다. 따라서 양수 ϵ2\epsilon _2 에 대하여 Vϵ2(x2)G2Vϵ1(x1)V_{\epsilon_2}(x_2) \subset G_2 \cap V_{\epsilon'_1}(x_1) 이 존재한다. ϵ2<ϵ2\epsilon '_2 < \epsilon _2 을 잡고 I2=Vϵ2(x2)I_2 = \overline{V_{\epsilon'_2}(x_2)} 을 정의하면 I2G2I_2 \subset G_2 이고 I2I1I_2 \subset I_1 이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각 nNn \in \N 에 대하여 InGnI_n \subset G_n 이고 I1I2I_1 \supset I_2 \supset \dots 인 닫힌 구간열 InI_n 을 만들 수 있다. ▲

    축소구간성질 에 의하여 xn=1Inx \in \displaystyle \bigcap_{n=1}^{\infty}I_n 이 존재한다. InGnI_n \subset G_n 이므로 nN:xGn\forall n \in N: x \in G_n 이다. 따라서 n=1Gn\displaystyle \bigcap_{n=1}^{\infty}G_n \neq \varnothing 이다. ■

집합 GGR\R 에서 조밀하다는 것과 모든 R\R 의 점이 GG 의 극한점인 것은 동치이다.

  • 이는 R\R 에서 조밀한 GG 에 대하여 G=R\overline{G} = \R 임을 뜻한다.

  • 증명

정의 3.5.3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nowhere-dense set)

집합 EE 에 대해 E\overline{E} 가 공집합이 아닌 열린 구간을 포함하지 않으면 EE 를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이라 한다.

  • Q\Bbb{Q}R\R 에서 조밀하지만, Z\Bbb{Z}R\R 에서 조밀한 곳이 없다.

문제 3.5-8

집합 EER\R 에서 조밀한 곳이 없는 것과 Ec\overline{E}^{c}R\R 에서 조밀한 것은 동치이다.

  • 증명

Baire's theorem

정리 3.5.4 베르 정리(Baire's theorem)

R\R 은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의 셀 수 있는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없다.

  • 증명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 모임 {E1,E2,}\{E_1, E_2, \dots\} 의 합집합으로 R=n=1En\R = \displaystyle \bigcap_{n=1}^{\infty}E_n 을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자명하게 R=n=1En\R = \displaystyle \bigcup_{n=1}^{\infty }\overline{E_n} 이다. 드모르간의 법칙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n=1Enc \varnothing = \bigcap_{n=1}^{\infty}\overline{E_n}^{c}

    EnE_n 이 조밀한 곳이 없으므로 문제 3.5-8 에 의하여 Ec\overline{E}^{c} 는 조밀하다. 정리 3.2.12 에 의하여 폐포는 닫힌집합이고, 정리 3.2.13 에 의하여 닫힌집합의 여집합은 열린집합이므로 Ec\overline{E}^{c} 는 열려있다. 그러면 정리 3.5.2 가 성립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n=1Enc \bigcap_{n=1}^{\infty}\overline{E_n}^{c} \neq \varnothing

    이는 모순이다. ■


        Abbott, S. (2015). Understanding analysis.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