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Functional Limit

Functional Limit

정의 4.2.1 함수의 극한(functional limit)

함수 f:ARRf: A \subset \R \to \R 와 정의역 AA 의 극한점 cc 에 대하여

ϵ>0:δ>0:xA:0<xc<δf(x)L<ϵ \forall \epsilon > 0 : \exists \delta > 0 : \forall x \in A : 0 < |x - c| < \delta \implies |f(x) - L| < \epsilon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xcf(x)=L \lim_{x \to c} f(x) = L
  • 함수의 극한(proofwiki)의 정의와 같다. 보편 양화사 \forall 나 존재 양화사 \exists 를 술어 PP 에 지칭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된다.

    x:P \forall x : P

    이때 이 명제 자체를 Q=x:PQ = \forall x : P 로 두고 QQ 에 또 다시 양화사를 지칭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y:Q \exists y : Q

    이것을 풀어서 쓰면 이렇게 된다.

    y:x:P \exists y : \forall x : P
  • 정의역의 원소 xAx \in Acc 에 가까워지는데, ccAA극한점이므로 AA닫힌 집합이 아닌 경우 c∉Ac \not\in A 인데, 이 경우에도 함수의 극한이 잘 정의된다. 이는 ccff 의 정의역에 속하지 않아도 극한을 정의할 수 있음을 뜻한다.

  • 0<xc0 < |x - c| 라는 조건은 xcx \neq c 라는 것을 간결하게 말하기 위하여 추가된 것 뿐이다.

  • xAx \in A 라는 조건은 xx 에서 함수 ff 가 정의되어 있다는 것을 보장해준다. 하지만 보통 f(x)f(x) 라는 표현 자체에 xx 에서 함수 ff 가 정의되어 있다는 것을 함축하여 xAx \in A 라는 조건을 생략한다.

  • 정의역의 고립점에서의 함수의 극한은 정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고립점에서의 근방은 정의역과 교집합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정의역의 원소 xx 가 고립점으로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의역의 극한점에서만 함수의 극한을 생각한다.

  • 이렇게 극한을 엄밀하게 정의하는 것을 엡실론-델타 논법(ϵδ\epsilon-\delta 논법)이라 한다.

정의 4.2.1B 위상으로 표현한 함수의 극한(topological version of functional limit)

함수 f:ARf: A \to \R 와 정의역 AA 의 극한점 ccLL 의 임의의 ϵ\epsilon-근방 Vϵ(L)V_{\epsilon}(L) 에 대하여 cc 와 다른 xAx \in A

xVδ(c)f(x)Vϵ(L) x \in V_{\delta}(c) \implies f(x) \in V_{\epsilon}(L)

을 만족하게 하는 ccδ\delta-근방 Vδ(c)V_{\delta}(c) 가 항상 존재하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xcf(x)=L \lim_{x \to c} f(x) = L
  • 함수의 극한을 위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다음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f(x)L<ϵf(x)Vϵ(L) |f(x) - L| < \epsilon \iff f(x) \in V_{\epsilon}(L)
    xc<δxVδ(c) |x-c| < \delta \iff x \in V_{\delta}(c)

    함수의 극한을 위상적으로 생각하면 함수의 극한을 다음과 같이 기하학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image

  • 예시

    f(x)=3x+1f(x) = 3x + 1 에 대하여 limx2f(x)=7\displaystyle \lim_{x \to 2} f(x) = 7 를 증명해보자.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양수 δ\delta 의 존재성을 보이면 된다.

    0<x2<δf(x)7<ϵ0 < |x - 2| < \delta \implies |f(x) - 7| < \epsilon

    f(x)7=3x6=3x2|f(x) - 7| = |3x - 6| = 3|x - 2| 이므로 δ=ϵ/3\delta = \epsilon /3 으로 택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0<x2<δf(x)7=3x2<3(ϵ/3)=ϵ 0 < |x-2| < \delta \implies |f(x) - 7| = 3|x - 2| < 3(\epsilon /3) = \epsilon

    따라서 limx2f(x)=7\displaystyle \lim_{x \to 2} f(x) = 7 이다.

  • 예시

    g(x)=x2g(x) = x ^{2} 에 대하여 limx2g(x)=4\displaystyle \lim_{x \to 2} g(x) = 4 를 증명해보자.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다음을 성립시키는 δ\delta 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보이면 된다.

    0<x2<δg(x)4<ϵ 0 < |x-2| < \delta \implies |g(x) - 4| < \epsilon

    g(x)4=x+2x2|g(x) - 4| = |x + 2||x - 2| 인데 xx22 로 다가가는 극한이므로 x2|x - 2| 는 임의로 작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x2|x - 2| 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c=2c = 2 를 중심으로 하는 δ\delta-근방의 반지름이 δ=1\delta = 1 보다 크지 않는 한 다음이 성립한다.

    xVδ(c){c}:x+23+2=5 \forall x \in V_{\delta}(c) \setminus \{c\} : |x + 2| \leq |3 + 2| = 5

    따라서 supx+2=5\sup |x + 2| = 5 이다. 그러면 δ=min{1,ϵ/5}\delta = \min \{1, \epsilon /5\}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0<x2<δx24=x+2x2<5ϵ5=ϵ 0 < |x - 2| < \delta \implies |x ^{2} - 4| = |x + 2||x - 2| < 5 \cdot \dfrac{\epsilon }{5} = \epsilon

    따라서 limx2g(x)=4\displaystyle \lim_{x \to 2} g(x) = 4 이다.

Sequential Criterion for Functional Limits

정리 4.2.3 함수 극한의 수열 판정법(Sequential Criterion for Functional Limits)

함수 f:ARf:A \to \RAA 의 극한점 cc 에 대하여 다음은 동치이다.

  1. limxcf(x)=L\displaystyle \lim_{x \to c} f(x)=L

  2. xnc(xn)cx_n \neq c \land (x_n) \to c 인 모든 수열 (xn)A(x_n) \subset A 에 대하여 f(xn)Lf(x_n) \to L 이다.

  • 증명

    121 \implies 2:

    1) 을 가정했으므로 임의의 양수 ϵ\epsiloncxc \neq xxAx \in A 에 대하여 xVδ(c)x \in V_{\delta}(c) 이면 f(x)Vϵ(L)f(x) \in V_{\epsilon}(L)Vδ(c)V_{\delta}(c) 가 항상 존재한다. 2) 의 가정부에 의하여 xncx_n \neq c 인 임의의 수열 (xn)A(x_n) \subset A(xn)c(x_n) \to c 이므로 어떤 항 xNx_N 이후에 항상 xnVδ(c)x_n \in V_{\delta}(c) 이다. 그러면 1) 에 의하여 nNn \geq N 일 때 f(x)Vϵ(L)f(x) \in V_{\epsilon}(L) 이다. ■

    212 \implies 1:

    2) 를 가정하고 limxcf(x)L\displaystyle \lim_{x \to c} f(x) \neq L 라고 두자. 이는 어떤 양수 ϵ0\epsilon_0 에 대응하는 적절한 δ\delta 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δ>0\delta >0 를 어떻게 정하든지 다음을 만족하는 xx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xcxVδ(c)f(x)∉Vϵ0(L) x \neq c \land x \in V_{\delta}(c) \implies f(x) \not\in V_{\epsilon_0}(L)

    그렇다면 δn=1/n\delta _n = 1/n 으로 두어도, 각 nNn \in \N 마다 다음을 만족하는 xnVδn(c)x_n \in V_{\delta_n}(c) 를 선택할 수 있다.

    xncxnVδn(c)f(xn)∉Vϵ0(L)x_n \neq c \land x_n \in V_{\delta_n}(c) \implies f(x_n) \not\in V_{\epsilon_0}(L)

    이는 xnc(xn)cx_n \neq c \land (x_n) \to c 인 어떤 수열 (xn)(x_n) 에 대한 함숫값 수열 f(xn)f(x_n)LL 로 수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2) 와 모순이다. 따라서 limxcf(x)=L\displaystyle \lim_{x \to c} f(x) = L 이다. ■

Algebraic Limit Theorem for Functional Limits

따름정리 4.2.4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Algebraic Limit Theorem for Functional Limits)

정의역 ARA \subset \R 에서 정의된 함수 f,gf, gAA 의 극한점 cc 에 대하여 limxcf(x)=L\displaystyle \lim_{x \to c} f(x) = L 이고 limxg(x)=M\displaystyle \lim_{x \to \infty} g(x) = M 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1. kR:limxckf(x)=kL\forall k \in \R : \displaystyle \lim_{x \to c} kf(x) = kL

  2. limxc[f(x)+g(x)]=L+M\displaystyle \lim_{x \to c} [f(x) + g(x)] = L + M

  3. limxc[f(x)g(x)]=LM\displaystyle \lim_{x \to c} [f(x) g(x)] = L M

  4. limxc[f(x)/g(x)]=L/M\displaystyle \lim_{x \to c} [f(x) / g(x)] = L / M (단, M0M \neq 0)

Divergence Criterion for Functional Limits

따름정리 4.2.5 함수의 극한의 발산 판정법(Divergence Criterion for Functional Limits)

AA 에서 정의된 함수 ffAA 의 극한점 cc 에 대하여 수열 (xn)A(x_n) \subset A(yn)A(y_n) \subset Axnc,yncx_n \neq c, y_n \neq c 이고 다음을 만족하면 극한값 limxcf(x)\displaystyle \lim_{x \to c} f(x) 는 존재하지 않는다.

limxn=limyn=climf(xn)limf(yn) \lim x_n = \lim y_n = c \land \lim f(x_n) \neq \lim f(y_n)
  • 이 정리는 어떤 지점으로 다가가는 모든 수열의 극한값이 똑같지 않으면 발산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래서 정리 4.2.3 은 어떤 지점으로 다가가는 모든 수열의 극한값이 똑같아야 극한이 정의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 예시

    다음과 같은 함수 y=sin1xy = \sin \dfrac{1}{x}00 에서 극한을 가지지 않음을 증명하자.

    image

    xn=1/2nπ,yn=1/(2nπ+π/2)x_n = 1/2n \pi , y_n = 1/(2n \pi + \pi /2) 이면 limxn=limyn=0\lim x_n = \lim y_n = 0 이지만 limsin(1/xn)=0limsin(1/yn)=1\lim \sin (1/x_n) = 0 \neq \lim \sin (1/y_n) = 1 이다. 따라서 limx0sin(1/x)\displaystyle \lim_{x \to 0} \sin (1/x) 은 존재하지 않는다.

Divergence to Infinity

상수로 다가갈 때의 무한대 극한

함수 f:ARRf: A \subset \R \to \R 와 정의역 AA 의 극한점 cc 에 대하여

M>0:δ>0:xA:0<xc<δM<f(x) \forall M > 0 : \exists \delta > 0 : \forall x \in A : 0 < |x - c| < \delta \implies M < f(x)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xcf(x)= \lim_{x \to c} f(x) = \infty
  • 예시

    limx01x2=\displaystyle \lim_{x \to 0} \dfrac{1}{x ^{2}} = \infty 를 증명해보자. δ=1M\delta = \displaystyle \sqrt[]{\frac{1}{M}}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0<x<δx2<1MM<1x2 0 < |x| < \delta \implies x ^{2} < \frac{1}{M} \implies M < \frac{1}{x^2}

    따라서 limx01x2=\displaystyle \lim_{x \to 0} \dfrac{1}{x ^{2}} = \infty 이다.

상수로 다가갈 때의 음의 무한대 극한

함수 f:ARRf: A \subset \R \to \R 와 정의역 AA 의 극한점 cc 에 대하여

M>0:δ>0:xA:0<xc<δf(x)<M \forall M > 0 : \exists \delta > 0 : \forall x \in A : 0 < |x - c| < \delta \implies f(x) < -M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xcf(x)= \lim_{x \to c} f(x) = -\infty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상수 극한

함수 f:RRf: \R \to \R 에 대하여

ϵ>0:K>0:xR:K<xf(x)L<ϵ \forall \epsilon > 0 : \exists K > 0 : \forall x \in \R : K < x \implies |f(x) - L| < \epsilon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xf(x)=L \lim_{x \to \infty } f(x) = L
  • 예시

    limx1x=0\displaystyle \lim_{x \to \infty} \frac{1}{x} = 0 을 증명해보자. K=1ϵK = \dfrac{1}{\epsilon } 으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x>K=1ϵ1x<ϵ x > K = \frac{1}{\epsilon } \implies \frac{1}{x} < \epsilon

    따라서 limx1x=0\displaystyle \lim_{x \to \infty} \frac{1}{x} = 0 이다.

음의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상수 극한

함수 f:RRf: \R \to \R 에 대하여

ϵ>0:K>0:xR:x<Kf(x)L<ϵ \forall \epsilon > 0 : \exists K > 0 : \forall x \in \R : x < -K \implies |f(x) - L| < \epsilon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xf(x)=L \lim_{x \to -\infty } f(x) = L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무한대 극한

함수 f:RRf: \R \to \R 에 대하여

M>0:K>0:xR:K<xM<f(x) \forall M > 0 : \exists K > 0 : \forall x \in \R : K < x \implies M < f(x)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xf(x)= \lim_{x \to \infty } f(x) = \infty
  • 예시

    limxx=\displaystyle \lim_{x \to \infty} \sqrt[]{x} = \infty 임을 증명해보자. K=M2K = M^2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K<xM<x K < x \implies M < \sqrt[]{x}

    따라서 limxx=\displaystyle \lim_{x \to \infty} \sqrt[]{x} = \infty 이다.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음의 무한대 극한

함수 f:RRf: \R \to \R 에 대하여

M>0:K>0:xR:K<xf(x)<M \forall M > 0 : \exists K > 0 : \forall x \in \R : K < x \implies f(x) < -M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xf(x)= \lim_{x \to \infty } f(x) = - \infty

음의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무한대 극한

함수 f:RRf: \R \to \R 에 대하여

M>0:K>0:xR:x<KM<f(x) \forall M > 0 : \exists K > 0 : \forall x \in \R : x < -K \implies M < f(x)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xf(x)= \lim_{x \to -\infty } f(x) = \infty

음의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음의 무한대 극한

함수 f:RRf: \R \to \R 에 대하여

M>0:K>0:xR:x<Kf(x)<M \forall M > 0 : \exists K > 0 : \forall x \in \R : x < -K \implies f(x) < -M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imxf(x)= \lim_{x \to -\infty } f(x) = - \infty

Left and Right-Hand Limit

정의 4.6.2 우극한(right-hand limit)

집합 AA 의 극한점 cc 와 함수 f:ARf: A \to \R 와 임의의 ϵ>0\epsilon > 0 에 대하여

0<xc<δf(x)L<ϵ 0 < x - c < \delta \implies |f(x) - L| < \epsilon

을 만족하게 하는 δ\delta 가 존재하면 LLcc 에서 함수 ff 의 우극한이라 하고 다음과 같이 쓴다.

limxc+f(x)=L \lim_{x \to c+} f(x) = L

좌극한(left-hand limit)

집합 AA 의 극한점 cc 와 함수 f:ARf: A \to \R 와 임의의 ϵ>0\epsilon > 0 에 대하여

0<cx<δf(x)L<ϵ 0 < c - x < \delta \implies |f(x) - L| < \epsilon

을 만족하게 하는 δ\delta 가 존재하면 LLcc 에서 함수 ff 의 좌극한이라 하고 다음과 같이 쓴다.

limxcf(x)=L \lim_{x \to c-} f(x) = L

정리 4.6.3

함수 f:ARf: A \to \RAA 의 극한점 cc 에 대하여 다음은 동치이다.

  • limxc=L\displaystyle \lim_{x \to c} = L

  • limxcf(x)=limxc+f(x)=L\displaystyle \lim_{x \to c-} f(x) = \lim_{x \to c+} f(x) = L

  • 증명

    \implies:

    limxcf(x)=L\displaystyle \lim_{x \to c} f(x) = L 를 가정하면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게 하는 δ\delta 가 존재한다.

    0<xc<δf(x)L<ϵ 0 < | x - c | < \delta \implies |f(x) - L| < \epsilon

    이는 좌극한과 우극한의 정의를 만족시킨다. ■

    \impliedby:

    좌극한과 우극한을 가정하면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게 하는 양수 δ1,δ2\delta_1, \delta _2 가 존재한다.

    0<xc<δ1f(x)L<ϵ 0 < x - c < \delta_1 \implies |f(x) - L| < \epsilon
    0<cx<δ2f(x)L<ϵ 0 < c - x < \delta_2 \implies |f(x) - L| < \epsilon

    δ=min{δ1,δ2}\delta = \min \{\delta _1, \delta _2\} 를 정의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0<xc<δf(x)L<ϵ 0 < | x - c | < \delta \implies |f(x) - L| < \epsilon

    이로써 증명이 끝났다. ■


        Abbott, S. (2015). Understanding analysis. Spri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