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al Limit
Contents
Functional Limit✔
정의 4.2.1 함수의 극한(functional limit)
함수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함수의 극한(proofwiki)의 정의와 같다. 보편 양화사
나 존재 양화사 를 술어 에 지칭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된다.이때 이 명제 자체를
로 두고 에 또 다시 양화사를 지칭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이것을 풀어서 쓰면 이렇게 된다.
-
정의역의 원소
가 에 가까워지는데, 가 의 극한점이므로 가 닫힌 집합이 아닌 경우 인데, 이 경우에도 함수의 극한이 잘 정의된다. 이는 가 의 정의역에 속하지 않아도 극한을 정의할 수 있음을 뜻한다. -
라는 조건은 라는 것을 간결하게 말하기 위하여 추가된 것 뿐이다. -
라는 조건은 에서 함수 가 정의되어 있다는 것을 보장해준다. 하지만 보통 라는 표현 자체에 에서 함수 가 정의되어 있다는 것을 함축하여 라는 조건을 생략한다. -
정의역의 고립점에서의 함수의 극한은 정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고립점에서의 근방은 정의역과 교집합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정의역의 원소
가 고립점으로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의역의 극한점에서만 함수의 극한을 생각한다. -
이렇게 극한을 엄밀하게 정의하는 것을 엡실론-델타 논법(
논법)이라 한다.
정의 4.2.1B 위상으로 표현한 함수의 극한(topological version of functional limit)
함수
을 만족하게 하는
-
함수의 극한을 위상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다음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함수의 극한을 위상적으로 생각하면 함수의 극한을 다음과 같이 기하학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예시
에 대하여 를 증명해보자.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양수 의 존재성을 보이면 된다. 이므로 으로 택하면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다. -
예시
에 대하여 를 증명해보자.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다음을 성립시키는 가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보이면 된다. 인데 가 로 다가가는 극한이므로 는 임의로 작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는 걱정할 필요가 없다. 를 중심으로 하는 -근방의 반지름이 보다 크지 않는 한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다. 그러면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다.
Sequential Criterion for Functional Limits✔
정리 4.2.3 함수 극한의 수열 판정법(Sequential Criterion for Functional Limits)
함수
-
-
인 모든 수열 에 대하여 이다.
-
증명
:1) 을 가정했으므로 임의의 양수
와 인 에 대하여 이면 인 가 항상 존재한다. 2) 의 가정부에 의하여 인 임의의 수열 이 이므로 어떤 항 이후에 항상 이다. 그러면 1) 에 의하여 일 때 이다. ■ :2) 를 가정하고
라고 두자. 이는 어떤 양수 에 대응하는 적절한 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를 어떻게 정하든지 다음을 만족하는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그렇다면
으로 두어도, 각 마다 다음을 만족하는 를 선택할 수 있다.이는
인 어떤 수열 에 대한 함숫값 수열 이 로 수렴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2) 와 모순이다. 따라서 이다. ■
Algebraic Limit Theorem for Functional Limits✔
따름정리 4.2.4 함수의 극한과 사칙연산(Algebraic Limit Theorem for Functional Limits)
정의역
-
-
-
-
(단, )
-
증명
수열의 극한의 사칙연산과 정리 4.2.3 에 의하여 쉽게 증명된다. ■
Divergence Criterion for Functional Limits✔
따름정리 4.2.5 함수의 극한의 발산 판정법(Divergence Criterion for Functional Limits)
-
이 정리는 어떤 지점으로 다가가는 모든 수열의 극한값이 똑같지 않으면 발산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래서 정리 4.2.3 은 어떤 지점으로 다가가는 모든 수열의 극한값이 똑같아야 극한이 정의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
예시
다음과 같은 함수
가 에서 극한을 가지지 않음을 증명하자.
이면 이지만 이다. 따라서 은 존재하지 않는다.
Divergence to Infinity✔
상수로 다가갈 때의 무한대 극한
함수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예시
를 증명해보자.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다.
상수로 다가갈 때의 음의 무한대 극한
함수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상수 극한
함수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예시
을 증명해보자. 으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다.
음의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상수 극한
함수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무한대 극한
함수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예시
임을 증명해보자.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다.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음의 무한대 극한
함수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음의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무한대 극한
함수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음의 무한대로 다가갈 때의 음의 무한대 극한
함수
이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Left and Right-Hand Limit✔
정의 4.6.2 우극한(right-hand limit)
집합
을 만족하게 하는
좌극한(left-hand limit)
집합
을 만족하게 하는
정리 4.6.3
함수
-
증명
: 를 가정하면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게 하는 가 존재한다.이는 좌극한과 우극한의 정의를 만족시킨다. ■
:좌극한과 우극한을 가정하면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게 하는 양수 가 존재한다. 를 정의하면 다음이 성립한다.이로써 증명이 끝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