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Sequence and Series
Contents
Function Sequence✔
Pointwise Convergence✔
정의 6.2.1 함수열의 점별수렴(pointwise convergence of function sequence)
각
-
또는 라고도 표기한다. -
예시
에 대한 함수 를 로 정의하면 이다. 즉, 함수 은 에서 로 점별 수렴한다. 다음 그림은 함수열 이 로 점별 수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함수열을 이루는 함수가 연속이어도 극한 함수가 불연속 일 수도 있다. 또한 함수열을 이루는 함수가 미분가능이어도 극한 함수가 미분불가능 일 수도 있다.
-
예시
구간
에서 정의된 함수 에 대하여 이고 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함수 에 대하여 점별로 이다.
Uniform Convergence of Function Sequence✔
정의 6.2.3 함수열의 균등 수렴(고른 수렴, uniform convergence of function sequence)
-
이는 어떤
을 적절히 택하면 모든 에 대하여 이 성립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점별수렴과 균등 수렴을 차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점별수렴을
의 관계가 보이도록 재정의해보자."
을 집합 에서 정의된 함수로 이루어진 함수열이라 하자. 임의의 와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게 하는 이 존재하면 함수열 이 에서 극한 함수 로 점별 수렴한다고 한다."점별 수렴의 경우
이 에 의존적이지만, 균등 수렴의 경우 을 주어진 과 모든 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균등 연속도 주어진 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
예시
함수
는 고정된 에 대하여 이므로 함수 에 대하여 함수열 이 로 점별수렴한다.균등수렴 여부를 조사해보자.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그러면 주어진
에 대하여 에 의존하지 않는 을 택하여 모든 에 대하여 다음을 성립시킬 수 있다.정의에 의하여
은 에서 으로 균등수렴한다. -
예시
은 에서 로 점별수렴하지만 균등수렴하지 않는다. 다음이 성립한다. 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을 로 택해야 한다. 이는 에 의존적이므로 모든 에 동시에 적용되는 동일한 은 존재하지 않는다. -
함수열
이 균등수렴할 때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극한함수 의 밴드를 잡으면 이 존재하여 일 때 각 들이 극한함수의 밴드 안에 완전히 포함된다.
함수열
이 균등수렴하지 않을 때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극한함수 의 밴드를 잡으면 각 들이 극한함수의 밴드 안에 포함되지 않는다.
Cauchy Criterion for Uniform Convergence of Function Sequence✔
정리 6.2.5 함수열의 균등 수렴의 코시 판정법(cauchy criterion for uniform convergence)
집합
- 증명
Continuity of Limit Function✔
정리 6.2.6 함수열의 극한 함수의 연속
-
이 정리는 함수열의 극한 함수가 연속일 조건을 말해준다.
점별수렴하는 함수열의 함수들이 연속이어도 극한 함수가 불연속일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 정리는 균등수렴하는 함수열의 함수들이 연속이면 극한 함수도 연속임을 말해준다.
-
증명
를 고정하고 임의의 양수를 이라 하자. 함수열 이 함수 로 균등수렴하므로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을 잡을 수 있다. 이 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어떤 가 존재하여 다음을 성립시킨다.따라서 삼각부등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따라서
는 에서 연속이다. ■
Differentiable of Limit Function✔
정리 6.3.1
닫힌 구간
-
이 정리는 점별수렴하는 미분가능한 함수열의 도함수열이 어떤 함수로 균등 수렴하면, 도함수열의 극한함수가 극한 함수의 도함수가 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
하지만 사실은 도함수열
이 균등 수렴한다는 조건은 이 균등 수렴한다는 사실을 내포하므로 각 점에서 를 가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도함수가 같은 두 함수는 최대 상수만큼 차이가 나므로 인 점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것은 가정해야 한다. 이 사실은 정리 6.3.2 에서 정리된다. -
증명
임의의 양수를
으로 두고, 실수 를 고정하자. 가 존재하고 임을 보이면 된다. 이때 이므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의 존재성을 보이면 된다.▲
삼각부등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도함수열
이 로 수렴하므로 다음을 성립하게 하는 이 존재한다.▲
이 균등수렴하므로 정리 6.2.5 에 의하여 다음을 성립하게 하는 가 존재한다. 로 두면 함수 은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다음을 성립하게 하는 가 존재한다.▲
인 를 고정하고 와 에 대하여 구간 에서 에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에 의하여 이 성립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이므로 일 때 극한과 부등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에 의하여 은 다음과 같다.■
정리 6.3.2
닫힌 구간
-
증명
가 일반성을 잃지 않고 라고 둘 수 있다. 각 들이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를 함수 에 대하여 구간 에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임의의 양수를
으로 두자. 도함수열 이 에서 균등수렴하므로 함수열의 균등 수렴의 코시 판정법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이 존재한다.그러면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한편, 함수열
이 수렴하므로 코시 수렴 판정법에 의하여 이는 코시 수열이고, 코시 수열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가 존재한다.▲
그러면
로 두면 삼각 부등식에 의하여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이
은 에 독립적이다. 따라서 함수열의 균등 수렴의 코시 판정법에 의하여 은 에서 균등 수렴한다. ■
정리 6.3.3 함수열의 극한 함수의 미분가능성
닫힌 구간
-
정리 6.3.1 로부터 이어진 논증의 결론이 이 정리이고, 이 정리는 함수열의 극한 함수의 미분가능성의 조건을 말해준다.
-
이 정리는 정리 6.3.1 에 정리 6.3.2 를 적용하여 정리 6.3.1 보다 더 강한 정리를 얻어낸 것이다.
정리 6.3.1 는 점별수렴하는 미분가능한 함수열의 도함수열이 어떤 함수로 균등 수렴하면, 도함수열의 극한함수가 극한 함수의 도함수가 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정리 6.3.2 는 도함수열
이 균등수렴하고, 어떤 점 가 존재하여 각 이 수렴할 때 함수열 이 균등수렴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따라서 정리 6.3.1 에서의 함수열
이 점별수렴한다는 가정을 어떤 점 가 존재하여 각 이 수렴한다는 가정으로 바꾼 것이다. 이는 강한 가정을 약한 가정으로 바꾼 것이다. 가정에 조건이 많을수록 정리를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이 줄어들어서 쓸모없는 것이 되고, 가정이 약하면 정리는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가치있는 것이 된다. -
증명
정리 6.3.1 과 정리 6.3.2 를 종합한 결과이다. ■
Function Series✔
정의 6.4.1 함수급수(function series)
각
-
이 로 점별수렴하면 다음 무한급수가 에서 로 점별수렴한다고 한다. -
수열
가 에서 로 균등 수렴하면 함수급수 가 에서 로 균등수렴한다고 한다.
두 경우 모두에서
-
이 연속함수면 연속성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함수급수 의 부분합도 연속함수이다. 이 미분가능하면 미분가능한 함수와 사칙연산에 의하여 함수급수 의 부분합도 미분가능하다.
Continuity of Function Series✔
정리 6.4.2 연속과 함수급수
집합
-
정리 6.2.6는 함수열의 극한함수가 연속일 조건을 말해주고, 이 정리는 함수급수의 극한함수가 연속일 조건을 말해준다.
-
증명
이 에서 연속이면 연속성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부분합 도 에서 연속이다. 부분합의 극한, 즉 함수급수 이 로 균등수렴하고 각 가 에서 연속이므로 정리 6.2.6이 성립하여 도 에서 연속이다. ■
Differentiable of Function Series✔
정리 6.4.3 미분가능성과 함수급수
집합
-
함수급수
이 미분가능한 함수 로 균등수렴한다. 즉, 이다. -
에서 이다. 즉, 이다.
-
증명
부분합
에 대하여 가 에서 로 균등수렴하고, 어떤 점 에서 각 가 수렴하므로 정리 6.3.3 이 성립하여 이 미분가능한 함수 로 균등수렴하고, 이다. ■
Cauchy Criterion for Uniform Convergence of Function Series✔
정리 6.4.4 함수급수의 균등 수렴의 코시 판정법(cauchy criterion for uniform convergence)
함수급수
-
증명
부분합
에 정리 6.2.5 를 적용하면 바로 증명된다. ■
Weierstrass M-test✔
따름정리 6.4.5 바이어슈트라스
각
무한급수
-
이 정리가 일반적으료 사용되는 균등수렴 판정법이다.
-
증명
이 수렴하므로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이 존재한다.그런데 다음이 성립하므로 정리 6.4.4 에 의하여
이 균등수렴한다.■
Power Series✔
멱급수(power series)
체
-
다음과 같은 중심이
인 멱급수가 자주 사용된다.
정리 6.5.1
멱급수
-
절대수렴 판정법에 의하여 무한급수가 절대수렴하면 수렴한다. 이 정리는 멱급수가 어떤 점
에서 수렴하면 인 모든 에서 수렴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멱급수의 수렴하는 점의 집합은 을 중심으로 하는 유계구간이거나 이거나, 전체이다.수렴하는 점 집합이 유계 구간일 경우 부등식
에 등호가 없으므로 구간의 경계점에서의 수렴 여부는 불명확하다. 즉, 수렴 구간이 일 수 있다.이
을 멱급수의 수렴반지름(radius of convergence)라 하고, 수렴 구간이 이거나 이면 을 또는 로 쓴다. -
증명
가 수렴하므로 정리 2.7.3 에 의하여 수열 은 으로 수렴하고, 정리 2.3.2에 의하여 은 유계이다. 따라서 인 이 존재한다. 에 대해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다음은 공비가
인 등비급수이므로 수렴한다.비교판정법에 의하여
은 수렴한다. 즉, 은 절대수렴한다. ■
Continuity of Power Series✔
정리 6.5.2
멱급수
-
증명
로 두면 가정에 의하여 이 수렴한다.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바이어슈트라스
-판정법에 의하여 이 에서 균등 수렴한다. ■
보조정리 6.5.3 아벨의 보조정리(Abel's lemma)
-
증명
로 두면 가정에 의하여 이다. 부분합 공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6.5.4 아벨 정리(Abel's theorem)
반대로 멱급수가
-
아벨의 극한 정리(Abel's Limit Theorem)이라고도 부르지만 이 정리가 너무 유명해져서 극한을 빼고 아벨 정리라고 부른다.
-
이 정리는 유한 수렴반경을 갖는 멱급수가 수렴 반경 끝점에서 수렴하면, 그곳에서의 멱급수의 연속성을 보장해준다.
-
증명
먼저
이다.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의 존재를 보이면 정리 6.4.4 에 의하여 증명이 끝난다. 이 수렴하므로 무한급수의 코시 수렴 판정법에 의하여 임의의 양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이 존재한다. 이 단조 감소하고, 급수 의 부분합이 유계 를 가지고, 에 대하여 이므로 보조정리 6.5.3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정리 6.5.5
멱급수가 집합
-
이 정리와 정리 6.4.2 에 의하여 멱급수는 수렴하는 모든 지점에서 연속임을 알 수 있다.
정리 6.5.2, 보조정리 6.5.3, 아벨정리의 결론이 이 정리이다.
-
증명
문제 3.3-1에 의하여 콤팩트 집합
는 최댓값 와 최솟값 를 모두 포함하고, 가정에 의하여 이다.멱급수가 집합
에서 수렴하므로 아벨 정리에 의하여 구간 에서 균등 수렴한다. 따라서 에서도 균등 수렴한다. ■
Differentiable of Power Series✔
정리 6.5.6
임의의
-
정리 6.4.3
-
증명
먼저
인 에 대한 이 모든 에 대하여 유계임을 보이려 한다.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비율 판정법에 의하여
은 수렴한다. 정리 2.7.3에 의하여 수열 은 으로 수렴한다. 따라서 이 수열은 모든 에 대하여 유계이다. ▲이제
이 수렴함을 보이려 한다. 임의의 에 대하여 인 를 선택하자. 먼저 다음이 성립한다. 이므로 앞선 논의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계 이 존재한다.이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이므로 가정에 의하여 은 수렴한다. ★ 비교 판정법에 의하여 은 절대수렴하고 절대수렴 판정법에 의하여 는 수렴한다. 그러면 정리 6.5.5 에 의하여 안의 콤팩트 집합에서 균등 수렴한다. ■
Properties of Power Series✔
정리 6.5.7
멱급수
-
는 에서 연속이다. -
가 임의의 열린 구간 에서 미분가능하다. -
의 도함수는 이다. -
는 에서 무한번 미분가능하고, 각각의 도함수는 급수를 항별로 미분하여 얻을 수 있다.
-
지금까지의 논의의 결론이 이 정리이다.
-
이 정리는 멱급수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허락해준다. 즉, 멱급수를 마치 다항함수처럼 받아들이는 것을 허락해준다. 수렴하는 구간에서 멱급수는 연속이고, 무한번 미분 가능하며, 도함수는 각 항을 미분하여 얻을 수 있다.
-
증명
1:
가 수렴하므로 정리 6.5.5에 의하여 는 균등 수렴한다. 정리 6.4.2 에 의하여 균등수렴하는 함수는 연속이다. ■2, 3:
가 에서 수렴하므로 정리 6.5.6 에 의하여 도 에서 수렴한다. 정리 6.5.5 에 의하여 와 는 안의 콤팩트 집합에서 균등 수렴한다. 이 균등수렴하고 가 수렴하므로 정리 6.4.3이 성립하여 가 미분가능하고, 그 도함수를 3) 과 같이 구할 수 있다. ■4:
미분한 급수도 멱급수이다. 정리 6.5.6 은 급수가 특정한 끝점에서 수렴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수렴반지름 자체는 불변함을 말해준다.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멱급수는 무한번 미분할 수 있다. ■
Taylor Series✔
정리 6.6.2 테일러 공식(Taylor's formula)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이 정리는 중심
을 가지는 모든 멱급수의 계수를 일정한 규칙으로 결정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즉, 위와 같은 중심
을 가지는 모든 멱급수는 다음과 같다. -
수학자들은
같은 삼각함수나 같은 함수들을 멱급수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 그런데 어떤 함수를 멱급수로 나타낼 수 있으면 정리 6.5.7에 의하여 다항함수처럼 다룰 수 있으므로 계산이 쉬워진다. 이로써 계산할 수 있는 함수의 종류가 많아진다.그렇다면 자연스럽게 "무한번 미분 가능한 성질 같이 미적분학에서 다루기 좋은 성질을 갖는 모든 함수를 멱급수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한가?" 라는 질문이 생긴다. 또한 "만약
를 무한번 미분가능한 다음과 같은 멱급수로 타나냈다면 그 계수 는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 라는 질문도 생긴다.이 정리는 무한번 미분가능하고 멱급수 전개를 가지는 함수의 멱급수 계수를 알려준다.
-
증명
함수
를 미분해나가면 다음이 성립한다.따라서
이고, 이 연산 과정이 정당함은 정리 6.5.7이 보장해준다. ■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
무한히 미분 가능한 함수
-
일 때의 테일러 급수가 자주 사용된다. -
예시
의 테일러 급수를 만들어보자. 정리 6.6.2 를 사용하면 의 멱급수 계수는 다음과 같다.이로써 다음을 얻는다.
이 급수가
와 같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정리 6.6.3 이 필요하다. -
이렇게 멱급수 전개를 가지는 함수들을 쉽게 멱급수로 나타낼 수 있고, 정리 6.5.7 에 의하여 다항함수처럼 다룰 수 있어서 편하다. 그렇다면 그 역은 성립할까? 즉,
에 대한 멱급수가
로 수렴하는가? 애초에 이 급수가 발산하지 않고 수렴하기는 할까? 만약 수렴한다면 정리 6.5.7에 의하여 그 극한함수가 무한번 미분가능하고, 원점에서의 도함수가 의 도함수와 같다. 그러면, 이 시점에서 테일러 급수가 원래의 함수와 다른 함수로 수렴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해진다.
Lagrange's remainder theorem✔
정리 6.6.3 라그랑주 나머지항 정리(Lagrange's remainder theorem)
함수
-
이 정리는 테일러 급수가 원래의 함수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함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이로써 테일러 급수가 원래의 함수와 얼마나 다른 함수로 수렴하는지 판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는 와 동치이므로 테일러 급수가 원래의 함수로 수렴함을 보이는 것은 을 보이는 것으로 귀결된다. -
이 정리가 테일러 급수가 원래 함수로 수렴한다는 보장을 해주는 것이 아니다. 무한번 미분가능한 함수의 테일러 급수가 원래의 함수로 수렴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예시
의 테일러 급수가 와 같다는 사실을 증명해보자.가령
에서 의 절댓값이 을 넘지 않으므로 에 대하여 인 점 가 존재하여 다음이 성립한다.팩토리얼은 지수함수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므로 함수열
은 에서 으로 균등 수렴한다. 이 를 임의의 로 바꾸어도 되므로 테일러 급수가 에서 로 균등수렴한다고 할 수 있다. -
증명
의 계수는 부터 계도함수까지 의 계도함수와 같다. 즉, 모든 에 대하여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양수
에 대한 구간 에서 와 에 대하여 코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점 가 존재한다.구간
에서 함수 와 에 대하여 코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점 를 얻는다.이 과정을
번 반복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점 을 얻는다. 로 두자. 이므로 이고 다음이 성립한다.■
Power Series Expansion for Sine/Cosine✔
사인함수 멱급수 전개
-
증명
의 테일러 급수를 만들어보자. 정리 6.6.2 를 사용하면 의 멱급수 계수는 다음과 같다.이로써 다음을 얻는다.
이 급수가
와 같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정리 6.6.3 이 필요하다. ▲가령
에서 정리 6.6.3 의 오차함수의 의 절댓값이 을 넘지 않으므로 에 대하여 인 점 가 존재하여 다음이 성립한다.팩토리얼은 지수함수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므로 함수열
은 에서 으로 균등 수렴한다. 이 를 임의의 로 바꾸어도 되므로 테일러 급수가 에서 로 균등수렴한다고 할 수 있다. ■
코사인함수 멱급수 전개
- 증명
-
증명
사인함수의 멱급수 전개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이 멱급수는
에서 수렴하므로 정리 6.5.7 에 의하여 다항함수(유한합)처럼 다룰 수 있다.이 멱급수의 해는
의 이 아닌 근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의 계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이 식에
를 곱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Analytic Function✔
실해석함수(real analytic function)
열린 구간
함수
-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는 해석함수이다.
The Weierstrass Approximation Theorem✔
정리 6.7.1 바이어슈트라스 근사 정리(Weierstrass approximation theorem)
연속함수
-
이 정리는 닫힌 구간에서 정의된 연속함수를 어떤 다항함수로 균등하게 근사시킬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바이어슈트라스 근사 정리는 페예르 정리의 따름정리이다.
-
증명
Interpolation✔
정의 6.7.2 다각형 함수(polygonal)
연속함수
이 존재하면
-
Interpolation(보간)이란 주어진 점들을 지나가는 함수를 찾는 과정이다.
-
예시
가령 다음과 같은 점들을 지나는 다각형 함수가 있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함수
가 위 점들을 모두 지나가는데, 위 점들을 지나는 다각형 함수가 함수 를 근사했다.
정리 6.7.3 은 이러한 다각형 함수가 연속함수에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보장해준다.
정리 6.7.3
연속함수
-
이 정리는 연속함수를 다각형 함수로 균등하게 근사시킬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