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Function Sequence and Series

Function Sequence

Pointwise Convergence

정의 6.2.1 함수열의 점별수렴(pointwise convergence of function sequence)

nNn \in \N 에 대하여 fnf_n 을 집합 ARA \subset \R 에서 정의된 함수라 하자. 모든 xAx \in A 에 대한 실수열 fn(x)f_n(x)f(x)f(x) 로 수렴할 때 함수열 (fn)(f_n)AA 에서 함수 ff 로 점별수렴한다고 하고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limnfn(x)=f(x) \lim_{n \to \infty} f_n(x) = f(x)
  • fnff_n \to f 또는 limfn=f\lim f_n = f 라고도 표기한다.

  • 예시

    nNn \in \N 에 대한 함수 fn(x):RRf_n(x): \R \to \Rfn(x)=(x2+nx)/nf_n(x) = (x^2+nx)/n 로 정의하면 limnfn(x)=x\displaystyle \lim_{n \to \infty} f_n(x) = x 이다. 즉, 함수 (fn)(f_n)R\R 에서 f(x)=xf(x) = x 로 점별 수렴한다. 다음 그림은 함수열 (fn)(f_n)f(x)=xf(x) = x 로 점별 수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image

  • 함수열을 이루는 함수가 연속이어도 극한 함수가 불연속 일 수도 있다. 또한 함수열을 이루는 함수가 미분가능이어도 극한 함수가 미분불가능 일 수도 있다.

  • 예시

    구간 [0,1][0, 1] 에서 정의된 함수 gn(x)=xng_n(x) = x^n 에 대하여 0x<1xn00 \leq x < 1 \implies x^n \to 0 이고 x=1xn1x = 1 \implies x^n \to 1 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함수 gg 에 대하여 점별로 gngg_n \to g 이다.

    g(x)={00x<11x=1 g(x) = \begin{cases} 0 & 0 \leq x < 1\\ 1 & x = 1 \\ \end{cases}

Uniform Convergence of Function Sequence

정의 6.2.3 함수열의 균등 수렴(고른 수렴, uniform convergence of function sequence)

(fn)(f_n) 을 집합 ARA \subset \R 에서 정의된 함수로 이루어진 함수열이라 하자. 임의의 ϵ>0\epsilon > 0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게 하는 NNN \in \N 이 존재하면 함수열 (fn)(f_n)AA 에서 극한 함수 ff 로 고르게 수렴한다고 한다.

nNxAfn(x)f(x)<ϵ n \geq N \land x \in A \implies |f_n(x) - f(x)| < \epsilon
  • 이는 어떤 NN 을 적절히 택하면 모든 xAx \in A 에 대하여 fn(x)f(x)<ϵ|f_n(x) - f(x)| < \epsilon 이 성립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점별수렴과 균등 수렴을 차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점별수렴을 ϵ,N,x\epsilon , N, x 의 관계가 보이도록 재정의해보자.

    "(fn)(f_n) 을 집합 ARA \subset \R 에서 정의된 함수로 이루어진 함수열이라 하자. 임의의 ϵ>0\epsilon > 0xAx \in A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게 하는 NNN \in \N 이 존재하면 함수열 (fn)(f_n)AA 에서 극한 함수 ff 로 점별 수렴한다고 한다."

    nNfn(x)f(x)<ϵ n \geq N \implies |f_n(x) - f(x)| < \epsilon

    점별 수렴의 경우 NNxx 에 의존적이지만, 균등 수렴의 경우 NN 을 주어진 ϵ\epsilon 과 모든 xx 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균등 연속도 주어진 δ\delta 를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 예시

    함수 gn(x)=1n(1+x2)g_n(x) = \displaystyle \frac{1}{n(1 + x^2)} 는 고정된 xRx \in \R 에 대하여 limgn(x)=0\lim g_n(x) = 0 이므로 함수 g(x)=0g(x) = 0 에 대하여 함수열 (gn)(g_n)g(x)g(x) 로 점별수렴한다.

    균등수렴 여부를 조사해보자. xR:1/(1+x2)1\forall x \in \R:1/(1+x^2) \leq 1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gn(x)g(x)=1n(1+x2)01n |g_n(x) - g(x)| = \left| \frac{1}{n(1+x^2)} - 0 \right| \leq \frac{1}{n}

    그러면 주어진 ϵ>0\epsilon > 0 에 대하여 xx 에 의존하지 않는 N>1/ϵ(1/N<ϵ)\displaystyle N > 1/ \epsilon (\iff 1/N < \epsilon) 을 택하여 모든 xRx \in \R 에 대하여 다음을 성립시킬 수 있다.

    nNgn(x)g(x)<ϵ n \geq N \implies |g_n(x) - g(x)| < \epsilon

    정의에 의하여 gng_nR\R 에서 00 으로 균등수렴한다.

  • 예시

    fn(x)=(x2+nx)/nf_n(x) = (x^2 + nx)/nR\R 에서 f(x)=xf(x) = x 로 점별수렴하지만 균등수렴하지 않는다. 다음이 성립한다.

    fn(x)f(x)=x2+nxnx=x2n |f_n(x) - f(x)| = \left| \frac{x^2+nx}{n}-x \right| = \frac{x^2}{n}

    fn(x)f(x)<ϵ|f_n(x) - f(x) | < \epsilon 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NNN>x2/ϵ(x2/N<ϵ)N > x^2/\epsilon (\iff x^2/N < \epsilon) 로 택해야 한다. 이는 xx 에 의존적이므로 모든 xx 에 동시에 적용되는 동일한 NN 은 존재하지 않는다.

  • 함수열 (fn)(f_n) 이 균등수렴할 때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극한함수 ffϵ\epsilon 밴드를 잡으면 NNN \in \N 이 존재하여 nNn \geq N 일 때 각 fnf_n 들이 극한함수의 ϵ\epsilon 밴드 안에 완전히 포함된다.

    image

    함수열 (gn)(g_n) 이 균등수렴하지 않을 때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극한함수 ggϵ\epsilon 밴드를 잡으면 각 gng_n 들이 극한함수의 ϵ\epsilon 밴드 안에 포함되지 않는다.

    image

Cauchy Criterion for Uniform Convergence of Function Sequence

정리 6.2.5 함수열의 균등 수렴의 코시 판정법(cauchy criterion for uniform convergence)

집합 ARA \subset \R 에서 정의된 함수열 (fn)(f_n)AA 에서 균등수렴하는 것과 임의의 ϵ>0\epsilon>0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NNN \in \N 이 존재하는 것은 동치이다.

m,nNxAfn(x)fm(x)<ϵ m,n \geq N \land x \in A \implies |f_n(x) - f_m(x)| < \epsilon
  • 증명

Continuity of Limit Function

정리 6.2.6 함수열의 극한 함수의 연속

ARA \subset \R 에서 정의된 함수열 (fn)(f_n)AA 에서 함수 ff 로 균등 수렴할 때 각 fnf_ncAc \in A 에서 연속이면 ffcc 에서 연속이다.

  • 이 정리는 함수열의 극한 함수가 연속일 조건을 말해준다.

    점별수렴하는 함수열의 함수들이 연속이어도 극한 함수가 불연속일 수도 있었다. 그러나 이 정리는 균등수렴하는 함수열의 함수들이 연속이면 극한 함수도 연속임을 말해준다.

  • 증명

    cAc \in A 를 고정하고 임의의 양수를 ϵ\epsilon 이라 하자. 함수열 (fn)(f_n) 이 함수 ff 로 균등수렴하므로 임의의 xAx \in A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NN 을 잡을 수 있다.

    fN(x)f(x)<ϵ3 |f_N(x) - f(x)| < \dfrac{\epsilon}{3}

    fNf_NcAc \in A 에서 연속이므로 연속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어떤 δ>0\delta >0 가 존재하여 다음을 성립시킨다.

    fN(x)fN(c)<ϵ3 |f_N(x) - f_N(c)| < \dfrac{\epsilon}{3}

    따라서 삼각부등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x)f(c)=f(x)fN(x)+fN(x)fN(c)+fN(c)f(c)f(x)fN(x)+fN(x)fN(c)+fN(c)f(c)<ϵ/3+ϵ/3+ϵ/3=ϵ \begin{align}\begin{split} |f(x) - f(c)|&=|f(x) - f_N(x) + f_N(x) - f_N(c) + f_N(c) - f(c)| \\ &\leq |f(x) - f_N(x)| + |f_N(x) - f_N(c) |+ |f_N(c) - f(c)| \\ &< \epsilon/3 + \epsilon/3 + \epsilon/3 = \epsilon \\ \end{split}\end{align} \tag*{}

    따라서 ffcAc \in A 에서 연속이다. ■

Differentiable of Limit Function

정리 6.3.1

닫힌 구간 [a,b][a, b]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로 이루어진 함수열 (fn)(f_n) 이 함수 ff 로 점별수렴할 때 [a,b][a, b] 에서 도함수열 (fn)(f'_n) 이 함수 gg 로 균등 수렴하면 극한 함수 ff 는 미분가능하고 f=gf' = g 이다.

  • 이 정리는 점별수렴하는 미분가능한 함수열의 도함수열이 어떤 함수로 균등 수렴하면, 도함수열의 극한함수가 극한 함수의 도함수가 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 하지만 사실은 도함수열 (fn)(f'_n) 이 균등 수렴한다는 조건은 (fn)(f_n) 이 균등 수렴한다는 사실을 내포하므로 각 점에서 fn(x)f(x)f_n(x) \to f(x) 를 가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도함수가 같은 두 함수는 최대 상수만큼 차이가 나므로 fn(x0)f(x0)f_n(x_0) \to f(x_0) 인 점 x0x_0 가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것은 가정해야 한다. 이 사실은 정리 6.3.2 에서 정리된다.

  • 증명

    임의의 양수를 ϵ\epsilon 으로 두고, 실수 c[a,b]c \in [a, b] 를 고정하자. f(c)f'(c) 가 존재하고 f(c)=g(c)f'(c) = g(c) 임을 보이면 된다. 이때 f(c)=limxcf(x)f(c)xcf'(c) = \displaystyle \lim_{x \to c} \frac{f(x) - f(c)}{x - c} 이므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δ>0\delta > 0 의 존재성을 보이면 된다.

    0<xc<δf(x)f(c)xcg(c)<ϵ 0 < |x - c| < \delta \implies \left| \frac{f(x) - f(c)}{x - c} - g(c) \right| < \epsilon

    삼각부등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x)f(c)xcg(c)f(x)f(c)xcfn(x)fn(c)xc+fn(x)fn(c)xcfn(c)+fn(c)g(c)(1) \begin{align}\begin{split} \left| \frac{f(x) - f(c)}{x - c} - g(c) \right|& \leq \left| \frac{f(x) - f(c)}{x - c} - \frac{f_n(x) - f_n(c)}{x - c} \right| \\ & \qquad + \left| \frac{f_n(x) - f_n(c)}{x - c} - f'_n(c) \right| + |f'_n(c) - g(c)| \\ \end{split}\end{align} \tag{1}

    도함수열 (fn)(f'_n)gg 로 수렴하므로 다음을 성립하게 하는 N1N_1 이 존재한다.

    mN1fm(c)g(c)<ϵ3(2) m \geq N_1 \implies |f'_m(c) - g(c) | < \dfrac{\epsilon}{3} \tag{2}

    (fn)(f'_n) 이 균등수렴하므로 정리 6.2.5 에 의하여 다음을 성립하게 하는 N2N_2 가 존재한다.

    m,nN2x[a,b]fm(x)fn(x)<ϵ3(3) m,n \geq N_2 \land x \in [a, b] \implies|f'_m(x) - f'_n(x)| < \dfrac{\epsilon}{3} \tag{3}

    N=max{N1,N2}N = \max \{N_1, N_2\} 로 두면 함수 fNf_Ncc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다음을 성립하게 하는 δ>0\delta > 0 가 존재한다.

    0<xc<δfN(x)fN(c)xcfN(c)<ϵ3(4) 0 < |x - c| < \delta \implies \left| \frac{f_N(x) - f_N(c)}{x - c} - f'_N(c) \right| < \dfrac{\epsilon}{3} \tag{4}

    0<xc<δ0 < |x - c| < \deltaxx 를 고정하고 와 mNm \geq N 에 대하여 구간 [c,x][c, x] 에서 fmfNf_m - f_N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α(c,x)\alpha \in (c, x) 가 존재한다.

    fm(α)fN(α)=(fm(x)fN(x))(fm(c)fN(c))xc f'_m(\alpha) - f'_N(\alpha) = \dfrac{(f_m(x) - f_N(x)) - (f_m(c) - f_N(c))}{x-c}

    (3)(3) 에 의하여 fm(α)fN(α)<ϵ/3|f'_m(\alpha) - f'_N(\alpha)| < \epsilon/3 이 성립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fm(x)fm(c))(fN(x)fN(c))xc<ϵ3 \left| \dfrac{(f_m(x) - f_m(c)) - (f_N(x) - f_N(c))}{x-c} \right| < \dfrac{\epsilon}{3}

    fmff_m \to f 이므로 mm \to \infty 일 때 극한과 부등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x)f(c))(fN(x)fN(c))xcϵ3(5) \left| \dfrac{(f(x) - f(c)) - (f_N(x) - f_N(c))}{x-c} \right| \leq \dfrac{\epsilon}{3} \tag{5}

    (2)(2), (4)(4), (5)(5) 에 의하여 (1)(1) 은 다음과 같다.

    f(x)f(c)xcg(c)f(x)f(c)xcfn(x)fn(c)xc+fn(x)fn(c)xcfn(c)+fn(c)g(c)<ϵ/3+ϵ/3+ϵ/3=ϵ \begin{align}\begin{split} \left| \frac{f(x) - f(c)}{x - c} - g(c) \right|& \leq \left| \frac{f(x) - f(c)}{x - c} - \frac{f_n(x) - f_n(c)}{x - c} \right| \\ & \qquad + \left| \frac{f_n(x) - f_n(c)}{x - c} - f'_n(c) \right| + |f'_n(c) - g(c)| \\ & < \epsilon/3+\epsilon/3+\epsilon/3=\epsilon \end{split}\end{align} \tag*{}

정리 6.3.2

닫힌 구간 [a,b][a, b]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로 이루어진 함수열 (fn)(f_n) 에 대하여 도함수열 (fn)(f'_n)[a,b][a, b] 에서 균등수렴하고, 어떤 점 x0[a,b]x_0 \in [a, b] 에서 각 fn(x0)f_n(x_0) 가 수렴하면 (fn)(f_n)[a,b][a, b] 에서 균등 수렴한다.

  • 증명

    x[a,b]x \in [a, b] 가 일반성을 잃지 않고 x>x0x > x_0 라고 둘 수 있다. 각 fnf_n 들이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를 함수 fnfmf_n - f_m 에 대하여 구간 [x0,x][x_0 ,x] 에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α[x0,x]\alpha \in [x_0, x] 가 존재한다.

    (fn(x)fm(x))(fn(x0)fm(x0))=(fn(α)fm(α))(ba) (f_n(x) - f_m(x)) - (f_n(x_0) - f_m(x_0)) = (f'_n(\alpha) - f'_m(\alpha))(b - a)

    임의의 양수를 ϵ\epsilon 으로 두자. 도함수열 (fn)(f'_n)[a,b][a, b] 에서 균등수렴하므로 함수열의 균등 수렴의 코시 판정법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N1N_1 이 존재한다.

    n,mN1c[a,b]fn(c)fm(c)<ϵ2(ba) n, m \geq N_1 \land c \in [a, b] \implies |f'_n(c) - f'_m(c)| < \dfrac{\epsilon}{2(b - a)}

    그러면 ba>0b - a > 0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n,mN1(fn(α)fm(α))(ba)<ϵ2(ba)(ba) n, m \geq N_1 \implies |(f'_n(\alpha) - f'_m(\alpha))(b - a)| < \dfrac{\epsilon}{2(b - a)}(b - a)

    한편, 함수열 (fn(x0))(f_n(x_0)) 이 수렴하므로 코시 수렴 판정법에 의하여 이는 코시 수열이고, 코시 수열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N2N_2 가 존재한다.

    n,mN2fn(x0)fm(x0)<ϵ2 n, m \geq N_2 \implies |f_n(x_0) - f_m(x_0)| < \dfrac{\epsilon}{2}

    그러면 N=max{N1,N2}N = \max \{N_1, N_2\} 로 두면 삼각 부등식에 의하여 n,mNn, m \geq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n(x)fm(x)(fn(x)fm(x))(fn(x0)fm(x0))+fn(x0)fm(x0)=(fn(α)fm(α))(ba)+fn(x0)fm(x0)<ϵ2(ba)(ba)+ϵ2=ϵ \begin{align}\begin{split} |f_n(x) - f_m(x)| & \leq |(f_n(x) - f_m(x)) - (f_n(x_0) - f_m(x_0))| + |f_n(x_0) - f_m(x_0)| \\ &=|(f'_n(\alpha) - f'_m(\alpha))(b-a)| + |f_n(x_0) - f_m(x_0)| \\ &< \dfrac{\epsilon}{2(b - a)}(b - a) + \dfrac{\epsilon}{2} = \epsilon \end{split}\end{align} \tag*{}

    NNxx 에 독립적이다. 따라서 함수열의 균등 수렴의 코시 판정법에 의하여 (fn)(f_n)[a,b][a, b] 에서 균등 수렴한다. ■

정리 6.3.3 함수열의 극한 함수의 미분가능성

닫힌 구간 [a,b][a, b]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로 이루어진 함수열 (fn)(f_n) 에 대하여 도함수열 (fn)(f'_n)[a,b][a, b] 에서 함수 gg 로 균등수렴하고, 어떤 점 x0[a,b]x_0 \in [a, b] 에서 각 fn(x0)f_n(x_0) 가 수렴하면 (fn)(f_n) 이 균등 수렴하고, 극한 함수 f=limfnf = \lim f_n 이 미분가능하며 f=gf' = g 이다.

  • 정리 6.3.1 로부터 이어진 논증의 결론이 이 정리이고, 이 정리는 함수열의 극한 함수의 미분가능성의 조건을 말해준다.

  • 이 정리는 정리 6.3.1 에 정리 6.3.2 를 적용하여 정리 6.3.1 보다 더 강한 정리를 얻어낸 것이다.

    정리 6.3.1 는 점별수렴하는 미분가능한 함수열의 도함수열이 어떤 함수로 균등 수렴하면, 도함수열의 극한함수가 극한 함수의 도함수가 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정리 6.3.2 는 도함수열 (fn)(f'_n) 이 균등수렴하고, 어떤 점 x0[a,b]x_0 \in [a, b] 가 존재하여 각 fn(x0)f_n(x_0) 이 수렴할 때 함수열 (fn)(f_n) 이 균등수렴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따라서 정리 6.3.1 에서의 함수열 (fn)(f_n) 이 점별수렴한다는 가정을 어떤 점 x0[a,b]x_0 \in [a, b] 가 존재하여 각 fn(x0)f_n(x_0) 이 수렴한다는 가정으로 바꾼 것이다. 이는 강한 가정을 약한 가정으로 바꾼 것이다. 가정에 조건이 많을수록 정리를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이 줄어들어서 쓸모없는 것이 되고, 가정이 약하면 정리는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가치있는 것이 된다.

  • 증명

    정리 6.3.1 과 정리 6.3.2 를 종합한 결과이다. ■

Function Series

정의 6.4.1 함수급수(function series)

nNn \in \N 에 대해 fnf_nff 가 집합 ARA \subset \R 에서 정의된 함수라고 하고, 부분합의 수열 sk(x)s_k(x)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sk(x)=f1(x)+f2(x)++fk(x) s_k(x) = f_1(x) + f_2(x) + \dots + f_k(x)
  1. sk(x)s_k(x)f(x)f(x) 로 점별수렴하면 다음 무한급수가 AA 에서 f(x)f(x) 로 점별수렴한다고 한다.

    n=1fn(x)=f1(x)+f2(x)+f3(x)+ \sum_{n=1}^{\infty}f_n(x) = f_1(x) + f_2(x) + f_3(x) + \dots
  2. 수열 sk(x)s_k(x)AA 에서 f(x)f(x) 로 균등 수렴하면 함수급수 n=1fn(x)\displaystyle \sum_{n=1}^{\infty}f_n(x)AA 에서 f(x)f(x) 로 균등수렴한다고 한다.

두 경우 모두에서 f=n=1fn\displaystyle f = \sum_{n=1}^{\infty}f_n 또는 f(x)=n=1fn(x)\displaystyle f(x) = \sum_{n=1}^{\infty }f_n(x) 라 쓴다.

  • fnf_n 이 연속함수면 연속성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함수급수 n=1fn\displaystyle \sum_{n=1}^{\infty}f_n 의 부분합도 연속함수이다.

    fnf_n 이 미분가능하면 미분가능한 함수와 사칙연산에 의하여 함수급수 n=1fn\displaystyle \sum_{n=1}^{\infty}f_n 의 부분합도 미분가능하다.

Continuity of Function Series

정리 6.4.2 연속과 함수급수

집합 ARA \subset \R 에서 정의된 연속함수 fnf_n 에 대한 함수급수 n=1fn\displaystyle \sum_{n=1}^{\infty}f_nAA 에서 함수 ff 로 균등수렴하면 ffAA 에서 연속이다.

  • 정리 6.2.6는 함수열의 극한함수가 연속일 조건을 말해주고, 이 정리는 함수급수의 극한함수가 연속일 조건을 말해준다.

  • 증명

    fnf_nAA 에서 연속이면 연속성과 사칙연산에 의하여 부분합 sk=f1+f2++fks_k = f_1 + f_2 + \dots + f_kAA 에서 연속이다. 부분합의 극한, 즉 함수급수 limxsk=n=1fn\displaystyle \lim_{x \to \infty} s_k = \sum_{n=1}^{\infty}f_nff 로 균등수렴하고 각 sks_kAA 에서 연속이므로 정리 6.2.6이 성립하여 ffAA 에서 연속이다. ■

Differentiable of Function Series

정리 6.4.3 미분가능성과 함수급수

집합 AA 에서 정의된 미분가능한 함수 fnf_n 에 대하여 n=1fn(x)\displaystyle \sum_{n=1}^{\infty}f'_n(x)AA 에서 함수 g(x)g(x) 로 균등수렴하고, 어떤 점 x0[a,b]x_0 \in [a, b] 에서 n=1fn(x0)\displaystyle \sum_{n=1}^{\infty}f_n(x_0) 이 수렴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함수급수 n=1fn(x)\displaystyle \sum_{n=1}^{\infty}f_n(x) 이 미분가능한 함수 f(x)f(x) 로 균등수렴한다. 즉, n=1fn(x)=f(x)\displaystyle \sum_{n=1}^{\infty}f_n(x) = f(x) 이다.

  • AA 에서 f(x)=g(x)f'(x) = g(x) 이다. 즉, f(x)=n=1fn(x)\displaystyle f'(x) = \sum_{n=1}^{\infty}f'_n(x) 이다.

  • 증명

    부분합 sk=f1+f2++fks_k = f_1 + f_2 + \dots + f_k 에 대하여 sks_k'AA 에서 gg 로 균등수렴하고, 어떤 점 x0[a,b]x_0 \in [a,b ] 에서 각 sk(x0)s_k(x_0) 가 수렴하므로 정리 6.3.3 이 성립하여 limsk=n=1fn(x)\lim s_k = \displaystyle \sum_{n=1}^{\infty}f_n(x) 이 미분가능한 함수 ff 로 균등수렴하고, f=gf' = g 이다. ■

Cauchy Criterion for Uniform Convergence of Function Series

정리 6.4.4 함수급수의 균등 수렴의 코시 판정법(cauchy criterion for uniform convergence)

함수급수 n=1fn\displaystyle \sum_{n=1}^{\infty}f_nARA \subset \R 에서 균등 수렴하는 것과 임의의 ϵ>0\epsilon>0 에 대하여 NNN \in \N 이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것은 동치이다.

n>mNxAfm+1(x)+fm+2(x)++fn(x)<ϵ n > m \geq N \land x \in A \implies |f _{m+1}(x) + f _{m+2}(x) + \dots + f_n(x)| < \epsilon
  • 증명

    부분합 sk=f1+f2++fks_k = f_1 + f_2 + \dots + f_k 에 정리 6.2.5 를 적용하면 바로 증명된다. ■

Weierstrass M-test

따름정리 6.4.5 바이어슈트라스 MM-판정법(Weierstrass MM-test)

nNn \in \N 에 대한 집합 ARA \subset \R 에서 정의된 함수 fnf_n 과 모든 xAx \in A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실수 Mn>0M_n > 0 을 가정하자.

fn(x)Mn |f_n(x)| \leq M_n

무한급수 n=1Mn\displaystyle \sum_{n=1}^{\infty}M_n 이 수렴하면 함수급수 n=1fn\displaystyle \sum_{n=1}^{\infty}f_nAA 에서 균등 수렴한다.

  • 이 정리가 일반적으료 사용되는 균등수렴 판정법이다.

  • 증명

    n=1Mn\displaystyle \sum_{n=1}^{\infty}M_n 이 수렴하므로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NN 이 존재한다.

    n>mNMm+1+Mm+2++Mn<ϵ n > m \geq N \implies | M _{m+1} + M _{m+2} + \dots + M _{n}| < \epsilon

    그런데 다음이 성립하므로 정리 6.4.4 에 의하여 n=1fn\displaystyle \sum_{n=1}^{\infty}f_n 이 균등수렴한다.

    fm+1(x)+fm+2(x)++fn(x)Mm+1+Mm+2++Mn<ϵ |f _{m+1}(x) + f _{m+2}(x) + \dots + f_n(x)| \leq | M _{m+1} + M _{m+2} + \dots + M _{n}| < \epsilon

Power Series

멱급수(power series)

K{R,C}\Bbb{K} \in \{\R, \Bbb{C}\} 에 대한 상수 x0,a0,a1,Kx_0, a_0, a_1, \dots \in \Bbb{K} 에 대하여 중심 x0x_0 의 멱급수는 다음과 같은 꼴의 급수이다.

n=0an(xx0)n=a0+a1(xx0)+a2(xx0)2+ \sum_{n=0}^{\infty}a_n(x - x_0)^{n} = a_0 + a_1(x - x_0) + a_2(x - x_0) ^{2} + \dots
  • 다음과 같은 중심이 00 인 멱급수가 자주 사용된다.

    n=0anxn=a0+a1x+a2x2+ \sum_{n=0}^{\infty}a_nx^{n} = a_0 + a_1x + a_2x ^{2} + \dots

정리 6.5.1

멱급수 n=0anxn\displaystyle \sum_{n=0}^{\infty}a_nx ^{n} 이 어떤 점 x0Rx_0 \in \R 에서 수렴하면 x<x0|x| < |x_0| 인 모든 xx 에서 절대수렴한다.

  • 절대수렴 판정법에 의하여 무한급수가 절대수렴하면 수렴한다. 이 정리는 멱급수가 어떤 점 RR 에서 수렴하면 x<R|x| < |R| 인 모든 xx 에서 수렴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멱급수의 수렴하는 점의 집합은 x=0x = 0 을 중심으로 하는 유계구간이거나 {0}\{0\} 이거나, R\R 전체이다.

    수렴하는 점 집합이 유계 구간일 경우 부등식 x<R|x| < |R| 에 등호가 없으므로 구간의 경계점에서의 수렴 여부는 불명확하다. 즉, 수렴 구간이 (R,R),[R,R),(R,R],[R,R](-R, R), [-R, R), (-R, R], [-R, R] 일 수 있다.

    RR 을 멱급수의 수렴반지름(radius of convergence)라 하고, 수렴 구간이 {0}\{0\} 이거나 R\R 이면 RR00 또는 \infty 로 쓴다.

  • 증명

    n=0anx0n\displaystyle \sum_{n=0}^{\infty}a_nx_0 ^{n} 가 수렴하므로 정리 2.7.3 에 의하여 수열 (anx0n)(a_nx_0 ^{n})00 으로 수렴하고, 정리 2.3.2에 의하여 (anx0n)(a_nx_0^n) 은 유계이다. 따라서 nN:anx0nM\forall n \in \N: |a_nx_0^n| \leq MM>0M>0 이 존재한다. xRx \in \R 에 대해 x<x0|x| < |x_0| 이면 다음이 성립한다.

    anxn=anx0nxx0nMxx0n |a_nx ^{n}| = |a_nx_0 ^{n}|\left| \frac{x}{x_0} \right| ^{n} \leq M \left| \frac{x}{x_0} \right| ^{n}

    다음은 공비가 xx0<1\displaystyle \left| \frac{x}{x_0} \right| < 1등비급수이므로 수렴한다.

    n=0Mxx0n \sum_{n=0}^{\infty}M \left| \frac{x}{x_0} \right| ^{n}

    비교판정법에 의하여 n=0anxn\displaystyle \sum_{n=0}^{\infty}|a_nx ^{n}| 은 수렴한다. 즉, n=0anxn\displaystyle \sum_{n=0}^{\infty}a_nx ^{n} 은 절대수렴한다. ■

Continuity of Power Series

정리 6.5.2

멱급수 n=0anxn\displaystyle \sum_{n=0}^{\infty}a_nx^n 이 어떤 점 x0x_0 에서 절대수렴하면 멱급수가 c=x0c = |x_0| 에 대한 닫힌 구간 [c,c][-c , c] 에서 균등 수렴한다.

  • 증명

    Mn=anx0nM_n = |a_nx_0^n| 로 두면 가정에 의하여 n=0Mn\displaystyle \sum_{n=0}^{\infty}M_n 이 수렴한다. x[c,c]x \in [-c , c]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nxnanx0n=Mn |a_nx^n| \leq |a_nx_0^n| = M_n

    바이어슈트라스 MM-판정법에 의하여 n=0anxn\displaystyle \sum_{n=0}^{\infty}a_nx^n[c,c][-c, c] 에서 균등 수렴한다. ■

보조정리 6.5.3 아벨의 보조정리(Abel's lemma)

b1b20b_1 \geq b_2 \geq \dots \geq 0 인 수열 (bn)(b_n) 과 부분합이 유계 AA 를 갖는 급수 n=1an\displaystyle \sum_{n=1}^{\infty}a_n 과 임의의 nNn \in \N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1b1+a2b2++anbnAb1 |a_1b_1 + a_2b_2 + \dots + a_nb_n| \leq Ab_1
  • 증명

    sn=a1+a2++ans_n = a_1 + a_2 + \dots + a_n 로 두면 가정에 의하여 snA|s_n| \leq A 이다. 부분합 공식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k=1nakbk=snbn+1+k=1nsk(bkbk+1)Abn+1+k=1nA(bkbk+1)=Abn+1+(Ab1Abn+1)=Ab1 \begin{align}\begin{split} \left| \sum_{k=1}^{n}a_kb_k \right| &= \left| s_nb _{n+1} + \sum_{k=1}^{n}s_k(b_k - b _{k+1}) \right| \\ &\leq Ab _{n+1} + \sum_{k=1}^{n}A(b_k - b _{k+1}) = Ab _{n+1} + (Ab_1 -Ab _{n+1}) = Ab_1 \\ \end{split}\end{align} \tag*{}

정리 6.5.4 아벨 정리(Abel's theorem)

x=R>0x = R > 0 에서 수렴하는 멱급수 g(x)=n=0anxng(x) = \displaystyle \sum_{n=0}^{\infty}a_nx^n 는 구간 [0,R][0, R] 에서 균등수렴한다.

반대로 멱급수가 x=Rx = -R 에서 수렴하면 멱급수가 [R,0][-R, 0] 에서 균등수렴한다.

  • 아벨의 극한 정리(Abel's Limit Theorem)이라고도 부르지만 이 정리가 너무 유명해져서 극한을 빼고 아벨 정리라고 부른다.

  • 이 정리는 유한 수렴반경을 갖는 멱급수가 수렴 반경 끝점에서 수렴하면, 그곳에서의 멱급수의 연속성을 보장해준다.

  • 증명

    먼저 g(x)=n=0anxn=n=0(anRn)(xRn)g(x) = \displaystyle \sum_{n=0}^{\infty}a_nx^n = \sum_{n=0}^{\infty}(a_nR^n)\left( \frac{x}{R}^{n} \right) 이다.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NN 의 존재를 보이면 정리 6.4.4 에 의하여 증명이 끝난다.

    n>mNx[0,R] n > m \geq N \land x \in [0, R] \implies
    (am+1Rm+1)(xR)m+1+(am+2Rm+2)(xR)m+2++(anRn)(xR)n<ϵ \left| (a _{m+1}R ^{m+1})\left( \frac{x}{R} \right)^{m+1} + (a _{m+2}R ^{m+2})\left( \frac{x}{R} \right)^{m+2} + \dots + (a _{n}R ^{n})\left( \frac{x}{R} \right)^{n} \right| < \epsilon

    n=0anRn\displaystyle \sum_{n=0}^{\infty}a_nR^n 이 수렴하므로 무한급수의 코시 수렴 판정법에 의하여 임의의 양수 ϵ\epsilon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NN 이 존재한다.

    n>mNam+1Rm+1+am+2Rm+2++anRn<ϵ2 n > m \geq N \implies |a _{m+1}R ^{m+1}+a _{m+2}R ^{m+2}+ \dots+a _{n}R ^{n}| < \dfrac{\epsilon }{2}

    (x/R)m+j(x / R)^{m+j} 이 단조 감소하고, 급수 j=1am+jRm+j\sum_{j=1}^{\infty}a _{m+j}R ^{m+j} 의 부분합이 유계 ϵ/2\epsilon/2 를 가지고, x[0,R]x \in [0, R] 에 대하여 (xR)m+11\left( \dfrac{x}{R} \right)^{m+1} \leq 1 이므로 보조정리 6.5.3 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m+1Rm+1)(xR)m+1+(am+2Rm+2)(xR)m+2++(anRn)(xR)n \left| (a _{m+1}R ^{m+1})\left( \frac{x}{R} \right)^{m+1} + (a _{m+2}R ^{m+2})\left( \frac{x}{R} \right)^{m+2} + \dots + (a _{n}R ^{n})\left( \frac{x}{R} \right)^{n} \right|
    ϵ2(xR)m+1<ϵ\leq \dfrac{\epsilon}{2}\left( \frac{x}{R} \right)^{m+1} < \epsilon

정리 6.5.5

멱급수가 집합 ARA \subset \R 에서 점별수렴하면 임의의 콤팩트 집합 KAK \subset A 에서 균등 수렴한다.

  • 이 정리와 정리 6.4.2 에 의하여 멱급수는 수렴하는 모든 지점에서 연속임을 알 수 있다.

    정리 6.5.2, 보조정리 6.5.3, 아벨정리의 결론이 이 정리이다.

  • 증명

    문제 3.3-1에 의하여 콤팩트 집합 KK 는 최댓값 x1x_1 와 최솟값 x0x_0 를 모두 포함하고, 가정에 의하여 x1A,x0Ax_1 \in A, x_0 \in A 이다.

    멱급수가 집합 AA 에서 수렴하므로 아벨 정리에 의하여 구간 [x0,x1][x_0, x_1] 에서 균등 수렴한다. 따라서 KK 에서도 균등 수렴한다. ■

Differentiable of Power Series

정리 6.5.6

임의의 x(R,R)x \in (-R, R) 에 대하여 n=0anxn\displaystyle \sum_{n=0}^{\infty}a_nx^n 이 수렴하면 도함수 n=1nanxn1\displaystyle \sum_{n=1}^{\infty}na_nx ^{n-1} 도 각 x(R,R)x \in (-R, R) 에서 수렴한다. 이에 따라 (R,R)(-R, R) 에 포함되는 콤팩트 집합에서 균등 수렴한다.

  • 정리 6.4.3

  • 증명

    먼저 0<s<10 < s < 1ss 에 대한 nsn1ns ^{n-1} 이 모든 n1n \geq 1 에 대하여 유계임을 보이려 한다. an=nsn1a_n = ns ^{n-1} 로 두면 다음이 성립한다.

    limnan+1an=limnnsn+snnsn1=limns+1ns=s \lim_{n \to \infty} \left| \frac{a _{n+1}}{a_n} \right| = \lim_{n \to \infty} \left| \dfrac{ns ^{n} + s ^{n}}{ns ^{n-1}} \right| = \lim_{n \to \infty} \left| s + \frac{1}{n}s \right| = s

    비율 판정법에 의하여 an\sum a_n 은 수렴한다. 정리 2.7.3에 의하여 수열 (nsn1)(ns ^{n-1})00 으로 수렴한다. 따라서 이 수열은 모든 n1n \geq 1에 대하여 유계이다. ▲

    이제 nanxn1\sum |na_nx ^{n-1}| 이 수렴함을 보이려 한다. 임의의 x(R,R)x \in (-R, R) 에 대하여 x<t<R|x| < t < Rtt 를 선택하자. 먼저 다음이 성립한다.

    n=1nanxn1=n=11t(nxtn1)antn \sum_{n=1}^{\infty}|na_nx ^{n-1}| = \sum_{n=1}^{\infty}\frac{1}{t}\left( n \left| \frac{x}{t} \right|^{n-1} \right) |a_nt ^{n}|

    x/t<1|x/t|<1 이므로 앞선 논의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유계 LL 이 존재한다.

    nN:nxtn1L \forall n \in \N: n \left| \frac{x}{t} \right| ^{n-1} \leq L

    이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n=1nanxn1=n=11t(nxtn1)antnLtn=1antn \sum_{n=1}^{\infty}|na_nx ^{n-1}| = \sum_{n=1}^{\infty}\frac{1}{t}\left( n \left| \frac{x}{t} \right|^{n-1} \right) |a_nt ^{n}| \leq \frac{L}{t}\sum_{n=1}^{\infty}|a_nt ^{n}|

    t(R,R)t \in (-R, R) 이므로 가정에 의하여 n=1antn\displaystyle \sum_{n=1}^{\infty}|a_nt^n| 은 수렴한다. ★ 비교 판정법에 의하여 nanxn1\sum na_nx ^{n-1} 은 절대수렴하고 절대수렴 판정법에 의하여 n=1nanxn1\displaystyle \sum_{n=1}^{\infty}na_nx ^{n-1} 는 수렴한다. 그러면 정리 6.5.5 에 의하여 (R,R)(-R, R) 안의 콤팩트 집합에서 균등 수렴한다. ■

Properties of Power Series

정리 6.5.7

멱급수 f(x)=n=0anxnf(x) = \displaystyle \sum_{n=0}^{\infty}a_nx^n 가 구간 ARA \subset \R 에서 수렴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1. ffAA 에서 연속이다.

  2. ff 가 임의의 열린 구간 (R,R)A(-R, R) \subset A 에서 미분가능하다.

  3. f(x)f(x) 의 도함수는 f(x)=n=1nanxn1f'(x) = \displaystyle \sum_{n=1}^{\infty}na_nx ^{n-1} 이다.

  4. ff(R,R)(-R, R) 에서 무한번 미분가능하고, 각각의 도함수는 급수를 항별로 미분하여 얻을 수 있다.

  • 지금까지의 논의의 결론이 이 정리이다.

  • 이 정리는 멱급수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허락해준다. 즉, 멱급수를 마치 다항함수처럼 받아들이는 것을 허락해준다. 수렴하는 구간에서 멱급수는 연속이고, 무한번 미분 가능하며, 도함수는 각 항을 미분하여 얻을 수 있다.

  • 증명

    1:

    ff 가 수렴하므로 정리 6.5.5에 의하여 ff 는 균등 수렴한다. 정리 6.4.2 에 의하여 균등수렴하는 함수는 연속이다. ■

    2, 3:

    ffAA 에서 수렴하므로 정리 6.5.6 에 의하여 ff'AA 에서 수렴한다. 정리 6.5.5 에 의하여 ffff'(R,R)(-R, R) 안의 콤팩트 집합에서 균등 수렴한다.

    ff' 이 균등수렴하고 ff 가 수렴하므로 정리 6.4.3이 성립하여 ff 가 미분가능하고, 그 도함수를 3) 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4:

    미분한 급수도 멱급수이다. 정리 6.5.6 은 급수가 특정한 끝점에서 수렴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수렴반지름 자체는 불변함을 말해준다. 수학적 귀납법에 의하여 멱급수는 무한번 미분할 수 있다. ■

Taylor Series

정리 6.6.2 테일러 공식(Taylor's formula)

00 을 중심으로 하고 00 외의 다른 점을 포함하는 구간에서 정의된 함수

f(x)=a0+a1x+a2x2+ f(x) = a_0 + a_1x + a_2x^2 + \dots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an=f(n)(0)n! a_n = \dfrac{f ^{(n)}(0)}{n!}
  • 이 정리는 중심 00 을 가지는 모든 멱급수의 계수를 일정한 규칙으로 결정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f(x)=a0+a1x+a2x2+ f(x) = a_0 + a_1x + a_2x^2 + \dots

    즉, 위와 같은 중심 00 을 가지는 모든 멱급수는 다음과 같다.

    f(x)=n=0f(n)(0)n!xn f(x) = \sum_{n=0}^{\infty}\dfrac{f ^{(n)}(0)}{n!}x^n
  • 수학자들은 arctan(x)\arctan (x) 같은 삼각함수나 1+x\sqrt[]{1+x} 같은 함수들을 멱급수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 그런데 어떤 함수를 멱급수로 나타낼 수 있으면 정리 6.5.7에 의하여 다항함수처럼 다룰 수 있으므로 계산이 쉬워진다. 이로써 계산할 수 있는 함수의 종류가 많아진다.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무한번 미분 가능한 성질 같이 미적분학에서 다루기 좋은 성질을 갖는 모든 함수를 멱급수로 나타내는 것이 가능한가?" 라는 질문이 생긴다. 또한 "만약 sin(x)\sin (x) 를 무한번 미분가능한 다음과 같은 멱급수로 타나냈다면 그 계수 ana_n 는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 라는 질문도 생긴다.

    sin(x)=a0+a1x+a2x2+ \sin (x) = a_0 + a_1x + a_2x^2 + \dots

    이 정리는 무한번 미분가능하고 멱급수 전개를 가지는 함수의 멱급수 계수를 알려준다.

  • 증명

    함수 ff 를 미분해나가면 다음이 성립한다.

    f(1)(x)=a1+2a2x+3a3x2+4a4x3 f ^{(1)}(x) = a_1 + 2a_2x + 3a_3x^2 + 4a_4x^3 \dots
    f(2)(x)=2a2+23a3x+34a4x2 f ^{(2)}(x) = 2a_2 + 2 \cdot 3a_3x + 3 \cdot 4 a_4x^2 \dots
    f(3)(x)=23a3+234a4x f ^{(3)}(x) = 2 \cdot 3a_3 + 2 \cdot 3 \cdot 4a_4x \dots
    \vdots
    f(n)(x)=n!an+(n+1)!an+1x f ^{(n)}(x) = n! a_n + (n+1)!a _{n+1}x \dots

    따라서 an=f(n)(0)n!a_n = \dfrac{f ^{(n)}(0)}{n!} 이고, 이 연산 과정이 정당함은 정리 6.5.7이 보장해준다. ■

테일러 급수(Taylor series)

무한히 미분 가능한 함수 f:RRf: \R \to \RaRa \in \R 가 주어졌을 때 ff 의 테일러 급수는 다음과 같은 멱급수이다.

Tf(x)=n=0f(n)(a)n!(xa)n T _{f}(x) = \sum_{n=0}^{\infty}\dfrac{f ^{(n)}(a)}{n!}(x - a)^{n}
  • a=0a = 0 일 때의 테일러 급수가 자주 사용된다.

  • 예시

    sin(x)\sin (x) 의 테일러 급수를 만들어보자. 정리 6.6.2 를 사용하면 sin(x)\sin (x) 의 멱급수 계수는 다음과 같다.

    a0=sin(0)=0 a_0 = \sin (0) = 0
    a1=cos(0)=1 a_1 = \cos (0) = 1
    a2=sin(0)/2!=0 a_2 = - \sin (0)/2! = 0
    a3=cos(0)/3!=1/3! a_3 = -\cos (0)/3! = -1/3!
    \vdots

    이로써 다음을 얻는다.

    xx33!+x55!x77!+ x - \dfrac{x^3}{3!} + \dfrac{x^5}{5!} - \dfrac{x^7}{7!} + \dots

    이 급수가 sin(x)\sin (x) 와 같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정리 6.6.3 이 필요하다.

  • 이렇게 멱급수 전개를 가지는 함수들을 쉽게 멱급수로 나타낼 수 있고, 정리 6.5.7 에 의하여 다항함수처럼 다룰 수 있어서 편하다. 그렇다면 그 역은 성립할까? 즉, an=f(n)(0)n!a_n = \dfrac{f ^{(n)}(0)}{n!} 에 대한 멱급수

    n=0anxn \sum_{n=0}^{\infty}a_nx^n

    f(x)f(x) 로 수렴하는가? 애초에 이 급수가 발산하지 않고 수렴하기는 할까? 만약 수렴한다면 정리 6.5.7에 의하여 그 극한함수가 무한번 미분가능하고, 원점에서의 도함수가 ff 의 도함수와 같다. 그러면, 이 시점에서 테일러 급수가 원래의 함수와 다른 함수로 수렴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해진다.

Lagrange's remainder theorem

정리 6.6.3 라그랑주 나머지항 정리(Lagrange's remainder theorem)

함수 ff(R,R)(-R, R) 에서 N+1N+1번 미분가능하고 하자. n{0,1,,N}n \in \{0,1,\dots,N\} 에 대하여 an=f(n)(0)n!a_n = \dfrac{f ^{(n)}(0)}{n!} 라고 정의하고, 다음과 같은 함수 ff 의 테일러 급수의 부분합을 정의하자.

SN(x)=a0+a1x+a2x2++aNxN S_N(x) = a_0 + a_1x + a_2x^2 + \dots + a_Nx^N

x(R,R){0}x \in (-R, R) \setminus \{0\} 가 주어지면 c<x|c| < |x| 인 점 cc 가 존재하여 오차함수 EN(x)=f(x)SN(x)E_N(x) = f(x) - S_N(x) 가 다음을 만족한다.

EN(x)=f(x)SN(x)=f(N+1)(c)(N+1)!xN+1 E_N(x) = f(x) - S_N(x) = \dfrac{f ^{(N+1)}(c)}{(N + 1)!}x ^{N+1}
  • 이 정리는 테일러 급수가 원래의 함수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함수를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이로써 테일러 급수가 원래의 함수와 얼마나 다른 함수로 수렴하는지 판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SN(x)f(x)S_N(x) \to f(x)EN(x)0E_N(x) \to 0 와 동치이므로 테일러 급수가 원래의 함수로 수렴함을 보이는 것은 EN(x)0E_N(x) \to 0 을 보이는 것으로 귀결된다.

  • 이 정리가 테일러 급수가 원래 함수로 수렴한다는 보장을 해주는 것이 아니다. 무한번 미분가능한 함수의 테일러 급수가 원래의 함수로 수렴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예시

    sin(x)\sin (x) 의 테일러 급수가 sin(x)\sin (x) 와 같다는 사실을 증명해보자.

    가령 [2,2][-2, 2] 에서 f(N+1)(c)f ^{(N+1)}(c) 의 절댓값이 11 을 넘지 않으므로 x[2,2]{0}x \in [-2, 2] \setminus \{0\} 에 대하여 c<x|c| < |x| 인 점 cc 가 존재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EN(x)=f(N+1)(c)(N+1)!xN+11(N+1)!2N+1 |E_N(x)| = \left| \dfrac{f ^{(N+1)}(c)}{(N + 1)!}x ^{N+1} \right| \leq \frac{1}{(N+1)!}2 ^{N+1}

    팩토리얼은 지수함수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므로 함수열 EN(x)E_N(x)[2,2][-2, 2] 에서 00 으로 균등 수렴한다. 이 22 를 임의의 RRR \in \R 로 바꾸어도 되므로 테일러 급수가 [R,R][-R, R] 에서 sin(x)\sin (x) 로 균등수렴한다고 할 수 있다.

  • 증명

    SNS_N 의 계수는 00 부터 NN계도함수까지 ffNN계도함수와 같다. 즉, 모든 0nN0 \leq n \leq N 에 대하여 f(n)(0)=SN(n)(0)f ^{(n)}(0) = S_N ^{(n)}(0)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n{0,1,,N}:EN(n)(0)=f(n)(0)SN(n)(0)=0 \forall n \in \{0,1, \dots,N\}:E_N ^{(n)}(0) = f ^{(n)}(0) - S_N ^{(n)}(0) = 0

    양수 xx 에 대한 구간 [0,x][0, x] 에서 EN(x)E_N(x)xN+1x ^{N+1} 에 대하여 코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시키는 점 x1(0,x)x_1 \in (0, x) 가 존재한다.

    EN(x)xN+1=EN(x1)(N+1)x1N \dfrac{E_N(x)}{x ^{N+1}} = \dfrac{E'_N(x_1)}{(N + 1)x_1^N}

    구간 [0,x1][0, x_1] 에서 함수 ENE'_N(N+1)xN(N+1)x^N 에 대하여 코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점 x2(0,x1)x_2 \in (0, x_1) 를 얻는다.

    EN(x)xN+1=EN(x1)(N+1)x1N=EN(x2)(N+1)Nx2N1 \dfrac{E_N(x)}{x ^{N+1}} = \dfrac{E'_N(x_1)}{(N + 1)x_1^N} = \dfrac{E''_N(x_2)}{(N+1)Nx_2 ^{N-1}}

    이 과정을 N+1N+1번 반복하면 다음을 만족하는 점 xN+1(0,xN)(0,x)x _{N+1}\in (0, x_N) \subset \dots \subset (0, x) 을 얻는다.

    EN(x)xN+1=EN(N+1)(xN+1)(N+1)! \dfrac{E_N(x)}{x ^{N+1}} = \dfrac{E ^{(N+1)} _N(x _{N+1})}{(N+1)!}

    c=xN+1c = x _{N+1} 로 두자. SN(N+1)(x)=0S_N ^{(N+1)}(x) = 0 이므로 EN(N+1)(x)=f(N+1)(x)E_N ^{(N+1)}(x) = f ^{(N+1)}(x) 이고 다음이 성립한다.

    EN(x)=f(N+1)(c)(N+1)!xN+1 E_N(x) = \dfrac{f ^{(N+1)}(c)}{(N+1)!}x ^{N+1}

Power Series Expansion for Sine/Cosine

사인함수 멱급수 전개

sin(x)=n=0(1)nx2n+1(2n+1)!=xx33!+x55!x77!+ \sin (x) = \sum_{n=0}^{\infty}\dfrac{(-1)^{n}x ^{2n+1}}{(2n + 1)!} = x - \dfrac{x^3}{3!} + \dfrac{x^5}{5!} - \dfrac{x^7}{7!} + \dots
  • 증명

    sin(x)\sin (x) 의 테일러 급수를 만들어보자. 정리 6.6.2 를 사용하면 sin(x)\sin (x) 의 멱급수 계수는 다음과 같다.

    a0=sin(0)=0 a_0 = \sin (0) = 0
    a1=cos(0)=1 a_1 = \cos (0) = 1
    a2=sin(0)/2!=0 a_2 = - \sin (0)/2! = 0
    a3=cos(0)/3!=1/3! a_3 = -\cos (0)/3! = -1/3!
    \vdots

    이로써 다음을 얻는다.

    xx33!+x55!x77!+ x - \dfrac{x^3}{3!} + \dfrac{x^5}{5!} - \dfrac{x^7}{7!} + \dots

    이 급수가 sin(x)\sin (x) 와 같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정리 6.6.3 이 필요하다. ▲

    가령 [2,2][-2, 2] 에서 정리 6.6.3 의 오차함수의 f(N+1)(c)f ^{(N+1)}(c) 의 절댓값이 11 을 넘지 않으므로 x[2,2]{0}x \in [-2, 2] \setminus \{0\} 에 대하여 c<x|c| < |x| 인 점 cc 가 존재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EN(x)=f(N+1)(c)(N+1)!xN+11(N+1)!2N+1 |E_N(x)| = \left| \dfrac{f ^{(N+1)}(c)}{(N + 1)!}x ^{N+1} \right| \leq \frac{1}{(N+1)!}2 ^{N+1}

    팩토리얼은 지수함수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므로 함수열 EN(x)E_N(x)[2,2][-2, 2] 에서 00 으로 균등 수렴한다. 이 22 를 임의의 RRR \in \R 로 바꾸어도 되므로 테일러 급수가 [R,R][-R, R] 에서 sin(x)\sin (x) 로 균등수렴한다고 할 수 있다. ■

코사인함수 멱급수 전개

cos(x)=n=0(1)nx2n(2n)!=1x22!+x44!x66!+ \cos (x) = \sum_{n=0}^{\infty}\dfrac{(-1)^{n}x ^{2n}}{(2n)!} = 1 - \dfrac{x^2}{2!} + \dfrac{x^4}{4!} - \dfrac{x^6}{6!} + \dots
  • 증명
n=11n2=1+14+19+116+=π26 \sum_{n=1}^{\infty}\frac{1}{n^2} = 1 + \frac{1}{4} + \frac{1}{9} + \frac{1}{16} + \dots = \dfrac{\pi ^2}{6}
  • 증명

    사인함수의 멱급수 전개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sinxx=1x23!+x45!x67!+ \dfrac{\sin x}{x} = 1 - \dfrac{x^2}{3!} + \dfrac{x^4}{5!} - \dfrac{x^6}{7!} + \dots

    이 멱급수는 R\R 에서 수렴하므로 정리 6.5.7 에 의하여 다항함수(유한합)처럼 다룰 수 있다.

    이 멱급수의 해는 sinx\sin x00 이 아닌 근 x=±π,±2π,±3π,x = \pm \pi , \pm 2 \pi , \pm 3 \pi , \dots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sinxx=1x23!+x45!x67!+=(1xπ)(1+xπ)(1x2π)(1+x2π)(1x3π)(1+x3π)=(1x2π2)(1x24π2)(1x29π2)=1+(1π214π219π2)x2+(14π4+19π4+)x4+ \begin{align}\begin{split} \dfrac{\sin x}{x} &= 1 - \dfrac{x^2}{3!} + \dfrac{x^4}{5!} - \dfrac{x^6}{7!} + \dots \\ &= \left( 1 - \dfrac{x}{\pi } \right)\left( 1 + \dfrac{x}{\pi } \right)\left( 1 - \frac{x}{2\pi} \right)\left( 1 + \frac{x}{2\pi} \right)\left( 1 - \frac{x}{3\pi} \right)\left( 1 + \frac{x}{3\pi} \right)\dots \\ &=\left( 1 - \dfrac{x^2}{\pi ^2} \right)\left( 1-\frac{x^2}{4\pi^2} \right)\left( 1 - \frac{x^2}{9\pi^2} \right)\dots \\ &= 1 + \left( - \frac{1}{\pi^2} - \frac{1}{4\pi^2} - \frac{1}{9\pi^2} - \dots \right) x ^{2} + \left( \frac{1}{4\pi^4} + \frac{1}{9\pi^4} + \dots \right) x ^{4} + \dots \end{split}\end{align} \tag*{}

    x2x^2 의 계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3!=1π214π219π2 - \frac{1}{3!} = - \frac{1}{\pi^2} - \frac{1}{4\pi^2} - \frac{1}{9\pi^2} - \dots

    이 식에 π2-\pi ^2 를 곱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π26=1+14+19+116+ \therefore \dfrac{\pi ^2}{6} = 1 + \frac{1}{4} + \frac{1}{9} + \frac{1}{16} + \dots \tag*{■}

Analytic Function

실해석함수(real analytic function)

열린 구간 (a,b)(a, b) 에서 매끄러운 실함수 ffξ(a,b)\xi \in (a, b)(c,d)(a,b)(c, d) \subset (a, b)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하면 ffξ\xi 에서 해석적이라 한다.

  1. ξ(c,d)\xi \in (c, d)

  2. x(c,d):f(x)=n=0(xξ)nn!f(n)(x)\forall x \in (c, d) : f(x) = \displaystyle \sum_{n=0}^{\infty}\dfrac{(x - \xi )^{n}}{n!}f ^{(n)}(x)

함수 ff 의 테일러 급수가 ff 로 수렴하면 ff 를 실해석 함수라 한다.

  •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는 해석함수이다.

The Weierstrass Approximation Theorem

정리 6.7.1 바이어슈트라스 근사 정리(Weierstrass approximation theorem)

연속함수 f:[a,b]Rf: [a, b] \to \R 와 상수 ϵ>0\epsilon>0 과 임의의 x[a,b]x \in [a, b]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다항함수 p(x)p(x) 가 존재한다.

f(x)p(x)<ϵ |f(x) - p(x)| < \epsilon
  • 이 정리는 닫힌 구간에서 정의된 연속함수를 어떤 다항함수로 균등하게 근사시킬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바이어슈트라스 근사 정리는 페예르 정리의 따름정리이다.

  • 증명

Interpolation

정의 6.7.2 다각형 함수(polygonal)

연속함수 ϕ:[a,b]R\phi :[a, b] \to \R 에 대하여 각 부분구간 [xi1,xi][x _{i-1}, x_i] 에서 ϕ\phi 가 선형인 분할

a=x0<x1<x2<<xn=b a = x_0 < x_1 < x_2 < \dots < x_n = b

이 존재하면 ϕ\phi 를 다각형 함수라 한다.

  • Interpolation(보간)이란 주어진 점들을 지나가는 함수를 찾는 과정이다.

  • 예시

    가령 다음과 같은 점들을 지나는 다각형 함수가 있는 것은 자명하다.

    (0,1),(14,32),(34,12),(1,0) (0, 1), \left( \frac{1}{4}, \dfrac{\sqrt[]{3}}{2} \right), \left( \frac{3}{4}, \frac{1}{2} \right), (1,0)

    한편, 함수 f(x)=1xf(x) = \sqrt[]{1 - x} 가 위 점들을 모두 지나가는데, 위 점들을 지나는 다각형 함수가 함수 ff 를 근사했다.

    image

    정리 6.7.3 은 이러한 다각형 함수가 연속함수에 항상 존재한다는 것을 보장해준다.

정리 6.7.3

연속함수 f:[a,b]Rf:[a, b] \to \R 와 어떤 ϵ>0\epsilon > 0 과 임의의 x[a,b]x \in [a, b]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하는 다각형 함수 ϕ\phi 가 존재한다.

f(x)ϕ(x)<ϵ | f(x) - \phi (x) | < \epsilon
  • 이 정리는 연속함수를 다각형 함수로 균등하게 근사시킬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증명


        Abbott, S. (2015). Understanding analysis. Springer.